종교 개혁사

2007.05.20 17:22

선지자 조회 수: 추천:


선지자선교회              ■ 宗敎 改革史



                  목사 : 서영호


                목회자 양성원
               종교개혁사문제집

       1. 서      론

1-1 종교개혁이란 무엇인가?
종교개혁(the Reformation)이란 기독교 역사상 16-17세기간의 기독교회 개혁운동으로서, 기독교 신앙의 새로운 해석, 새로운 교리의 출현, 교회체제의 변혁 등을 포함한 개혁운동이다. 이 개혁운동은 교회뿐 아니라 유럽사회구조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1-2 종교개혁사의 구분은 어떠한가?
  (1) 종교개혁이전 선구자들 시대(1350-1500)
  (2) 종교개혁시대(1500-1650) : 개신교의 출현
  (3) 반동 종교개혁 또는 카톨릭 종교개혁(1500-1650)등으로 대별 할 수 있다.

1-3 개신교의 종교개혁 운동을 대별하라
  (1) 루터파 종교개혁(the Lutheran Reformation)
  (2) 개혁파 종교개혁(the Reformed Churches)
  (3) 재세례파 종교개혁(the Anabaptists)

1-4 종교개혁을 지역별로 구분하라
  (1) 독일 종교개혁
  (2) 스위스 지방 종교 개혁
  (3) 영국과 스코트랜드 종교개혁
  (4) 기타 각국의 종교개혁운동


    Ⅱ 종교개혁 선구자 시대 (the Age of Forerunners of the Reformation)

Ⅱ-5 종교개혁 선구자 시대란? (제15세기)
  종교개혁은 1517년 10월 31일 루터(Luther)가 95개조를 윗텐베르크(Wittenberg) 교회 문에 붙인 날을 그 시발 일로 삼으나 루터의 종교개혁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중세 암흑말기 즉 1350-1500년 사이에 걸쳐 서구 기독교 사회의 부패와 이를 개혁하려는 내적 열망의 결과로써 일어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선구시대에 이미 종교개혁운동의 씨가 뿌려지고 점점 자라나고 있었다.
   선구자시대는 대체로 르네상스 (문예부흥, Renaissance) 期와 일치하며 학자에 따라서는 이 시기를 종교개혁직전시대 또는 중세와 근세의 중간기라 칭하기도 한다.

Ⅱ-6 이 시대의 특성은 무엇인가?
   (1) 국민국가의 등장으로 중세의 보편적 세력의 하나인 황제권이 약화되었다.
   (2) 또 다른 중심세력인 교황권이 “ 교회의 바벨론 포로 ”(the Babylonian captivity of the             church 1309-1377)이후 약화되었다.
   (3) 수도단의 몰락
   (4) 지적인 고등 스콜라 철학이 쇠퇴하고 의지적이며 행동적인 후기 스콜라철학이 성하였             다.
   (5) 파리대학을 중심으로 한 교회법(canon law)의 발달로 “ 공의회운동 " (the conciliar               movements)이 일어났다.
   (6) 교회생활의 타락(면죄부 판매)
   (7) 개혁운동이 일어남
   (8) 과학의 발달
       따라서 이 시대는 새로운 시대의 도래와 새로운 종교생활의 요구 즉 개혁에 대한 열             망이 시대적 특징을 이루고 있다.

  A  <교회의 타락과 신앙생활의 침체>

Ⅱ-7 아비뇽(Avignon) 교황청의 상태는 여하?
   (1) 교황 보니파스 8세(Boniface Ⅷ)가 불란서 왕 필립 4세(Philip Ⅳ)와 투쟁 끝에 살해당하고,         교황청이 지금의 불란서 아비뇽으로 옮겨온 후 교황 클레멘트 5세(Clement V) 이후 아비         뇽 교황들은 불란서 국왕에게 사실상 복속되었다.  교황은 정치세력으로서 무력함을 드러         내었다.
   (2) 아비뇽 교황청의 교황들과 추기경들은 대체로 보편교회(Universal Church)의 지도자로써          합당치 않은 사치와 방종한 생활을 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교회의 재정 상태는 악화되고         부재성직(absenteeism), 탐욕, 이권 투쟁 등 전반적 부패상을 나타내었다.
   (3) 아비뇽 교황들은 정치세력이 약한 독일제국에 대하여 재정적, 정치적으로 손해를 끼치고          고자세를 취하였다.

Ⅱ- 8 敎會稅의 가중에 대해서 말하라
   배경 : 십자군 원정 이후 서유럽사회는 화폐경제시대로 발전하게 되었다.
   교황청은 서구사회에서 최초로 금력을 저축하는 기관이 되었다. 로마의 교황 영지를 잃어          버린 아비뇽 교황청은 교묘한 교회세 징수제도를 고안해 내었다.
  
    교황청의 수입원은?
   (1) 교황 영지의 수입
   (2) 피터스 페니(denarius S petri) : 영국 및 북구, 동구의 여러 나라 각 가정에서 일년에 한          페니를 교황청에 납부케 함.
   (3) 수도원, 감독교구에서 받는 세
   (4) 성직 임명세- (a)첫 수입세 (b)대주교 성의세(pallium money)
   (5) 각 교구의 전리품 취득세.
   (6) 각종 특혜에 대한 세금등 그 외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Ⅱ-9 수도단의 타락은 어떠하였는가?
     대 수도승단인 베네딕트파 수도원(Benedictine order), 클루니 수도원(Cluny order)등은 치부       와 안일에 빠지고, 탁발수도승단(Mendican Friars)들도 침체에 빠진 채 특별한 활력을 보이       지 못하였다.
     특별히 수도원, 수녀원들은 나태, 사치, 부정의 타락상을 보였는데 점차 세속권력가들이 자녀       들의 소일처, 은신처로 삼았고, 심지어는 왕들이 첩이나 첩의 소생들을 위해서 수도원과 수       녀원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와중에 북구 화란에 공동생활 형제단(the Brethren of Common Life)의 새로       운 형태의 종교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Ⅱ- 10 성직자의 타락은 어떠하였는가?
     성직자(聖職者)들의 축첩(蓄妾), 성직(聖職)매매(賣買)등이 성행하고, 대주교들은 성직은 돌보       지 않고 세속군주와 다름없이 행세하고, 수많은 사생아들이 교회의 직분을 맡아 호사로운 생       활을 하였다. 부재 성직자들이 교회직분을 몇 개씩 차지하여 그 수입만 취하고 직무는 하급       신부들이 대리하였다.

Ⅱ-11 서방교회의 대분열(the Great Schism 1378-1415) 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아비뇽 교황의 마지막이 되는 그레고리 11세(Gregory XI)는 모든 기독교인의 소원대로           교황청을 로마로 옮겼다.(1377) 그러나 그의 사후 로마 군중들의 압력으로 이태리 출신의         교황 우르반 6세(Urban VI)를 선출하게 되자, 대다수의 불란서 출신 추기경들이 불만을 품        고 아비뇽으로 회귀하며 불란서인 클레멘트 7세(Clement Ⅶ)를 선출하였으며, 이리하여 서        방 교회에는 2명의 교황이 서로 대적하게 되었다.  이것을 각각 아비뇽교황, 로마교황이라        부른다. 이에 따라 불란서, 스페인, 스코트랜드, 독일 일부는 전자를 : 중북부 이태리, 영국,        대부분의 독일, 스칸디나비아, 보헤미아, 포르투갈 등은 로마교황을 지지하여 서유럽 교회와        국가들이 분열하였다.

Ⅱ-12 공의회 운동이란 무엇인가?
     제14세기 서방교회의 대분열로 인하여 정상적인 교회생활이 불가능하여지고, 교회와 사회의       죄악(罪惡)을 제거할 능력이 없어지자, 파리대학을 중심으로 한 학자들(교회법학자)과 경건한       성도들이 공의회를 열어서 교회분열과 타락을 시정하려 하였다.
     이미 1325년에 “평화수호” (Defensor pacis)란 논쟁서에서 “공의회가 교황위에 있음”을 천명       한 이후, 공의회 운동은 파리대학의 교수 피터 데일리(Peter d' Ailli 1350-1420)와 쟝 제르       송(Jean Gerson, 1363-1429)에 의하여 교회개혁운동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15세기에 열린 공의회는 (1)피사(the Council of Pisa, 1409) (2)콘스탄스(the             Council of Constance, 1414-1418) (3)바젤(Basel, 1431-1449) 등을 들 수 있다.

Ⅱ-13 피사 공의회의 주요사항은 무엇인가?
     피사 공의회는 1409년 수백명의 추기경, 대사교, 대주교, 주교, 수도원장, 신학자, 대학의 대       표자 및 왕과 군주들이 참석하였으며 현존 아비뇽교황과 로마교황을 폐위시키고 새교황을        선출하였다.
     이 공의회의 주역은 파리대학교수인 피터 데일리와 쟝제르송이며 새교황으로 알렉산더 5세       (Alexander V)가 선출되었으나 곧 요한 23세가 그를 이어 교황이 되었다.  이것을 피사 교       황계통이라 부른다.  그러나 다른 두 교황이 사임을 하지 않으므로 그 당시 생존한 교황은 3       명이나 되었다.

Ⅱ-14 콘스탄스 세계공의회의 주요사항은?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는 이 공의회를 세계공의회(Ecumenical Council)로 간주한다.
     독일왕 시기스문트(Sigismund)와 피사계통 교황 요한 23세(John XXⅢ)에 의하여
     1414년 소집된 공의회로써
     과제 : (1)교회분열해결 (2)위클리프(John Wycliffe)소요의 진정 (3)교회개혁이었다.
     결정사항 : (1) 요한 23세 교황을 폐위시키고 로마교황과 아비뇽교황을 폐위시킨 다음 새로                      마르틴 5세(Martin V)를 교황으로 선출하여 대분열(1378-1415)을 종식 시                       킴
                (2) 교회내의 여러 가지 악을 근절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성직매매, 교황청의 세                      금징수, 한 사람에게 수개의 승록(benefice)을 주는 일을 금하는 금령 발표
                (3) 공의회 소집에 관한 결정 : 차기는, 5년후, 3차는 7년후, 4차는 10년후, 그 이                     후는, 매년마다 공의회를 소집. 공의회의 권한은 예수님에게서 직접 나오며,                      교황이라도 신앙과 분열과 교회개혁에 관한 제반사항의 결정에 순종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규정함.
                 (4) 1415년 요한 후스(John Huss, 1369 -1415)를 이단으로 정죄하여 화형 시킴.

Ⅱ-15 바젤 세계공의회 결정 사항?(The Council of Basel 1431-1449)
  로마카톨릭 교회에서 제17차 세계공의회로 인정하는 바젤공의회는 교황유진 4세(Eugene Ⅳ)가    1431년에 이 공의회의 소집이 합법적임을 선언하고
  (1) 후스파의 온건파와의 타협
  (2) 교회개혁으로써 성직매매를 금하고 성직자 독신강화 교회경내에서 오락을 금하였다
  (3) 반(反)교황적 결정 : 교황의 고위 성직자, 임명권, 면죄부 발행권, 교황선출 및 추기경                         선출을 규제하려 함.
                          그 결과 영국과 불란서는 자국내(自國內)교황의 세금 징수를 제한                        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게 되었다.

Ⅱ-16 공의회 운동의 실패와 교황권의 회복에 대하여 말하시오
      공의회 운동을 주장하는 과격한 이들이 1439년 바셀공의회  중에 공의회가 신앙문제에    대한 최고 권위임을 천명하는 교령을 발표하고, 또 다른 교령으로 교황 유진 4세를 폐    위시킨 후 펠릭스 5세(Felix V)를 새교황으로 선출하였다.
      유진 4세는 1437년 이미 공의회의 소수를 이태리로 옮겨 1438년에 페라라(Ferrara)1439    년에는 플로렌스(Florence)에서 공의회를 소집하고 동방교회(희랍정교회)와 연합칙령을    선포하여 교황권의 위신을 세웠다.
      펠릭스가 자진 사퇴하고, 유진 4세가 사망한 후, 바젤 공의회는 니콜라스 5세(Nicholas    V)를 정당한 교황으로 인정하였다.(1449)
      다시 서방교회는 단일교황의 지도하에 들어가게 되고 교황권을 통제하려던 과격한 공    의회 운동은 실패로 돌아갔다.  따라서 무능한 교황권을 억제하고 공의회가 종교개혁의    주체로 기독교신앙 회복 운동을 일으키려던 시도는 실패가 된 셈이다.

Ⅱ- 17 국본조칙(國本調勅, the Pragmatic Sanction of Bourges 1438)이란 무엇인가?
    교황유진 4세가 바젤공의회를 이태리로 옮기려하자 불란서 국왕는 국본조칙을 발표하고 자국에서 (1)공의회의 우위성 (2)성직의 첫수입 헌납금지 (3)고위성직의 결원시 교황의 임명을 반대하고 선거에 의하도록 명령하였다.  이로 인하여 교황청은 불란서로부터 수입원이 줄어들고 교황권이 현저하게 약화되었으며 불란서 교회는 사실상 국민교회(National Church)를 지향하게 되었다.

Ⅱ-18 제15세기 말 교황들의 타락상에 대해서 말하시오.
    통일된 서방교회의 교황 니콜라스 5세(1449) 때부터 종교개혁 직전까지의 교황들은 대개가 세속적 인문주의(secular humanism)의 영향을 받았다.  복음의 이상과 전연 거리가 먼, 사치와 허영, 심지어 15세기 말에는 르네상스시대의 악풍에 물들어 도덕적 타락의 정도는 최악의 상태였다.  대체로 교황 식스터스 4세(Sixtus Ⅳ, 1471-1484)로부터 교황들은 로마에 새로운 건물, 거리를 꾸미고, 이교적 학문과 예술을 권장하고 세속문화 건설에 치중하였다. 이것을 인문주의 교황들이라 한다.(humanist popes)
    도덕적으로 타락한 예는 인노선트 8세(Innocent Ⅷ, 1484-1492)의 경우 신부가 되기 전에 결혼하였고 사생아도 두 명이나 있었으며, 자금 충당을 위하여 성직을 매매하고 또 새로 신설하기도 하였다.  악명높은 알렉산더 6세(Alexander Ⅵ, 1492-1503)는 원명이 로드리고 보르기아(Rodrigo Borgia)인데 수많은 성직으로 호사한 생활을 하고, 세번이나 남의 아내가 되었던 여인을 첩으로 두어, 네 자녀를 낳고 또 다른 첩을 취하여 자녀를 두고, 그들에게 권세와 부를 주었으며, 그중 한 아들을 대주교, 추기경으로 만들었다. 그가 교황이 된 것도 추기경들에게 뇌물을 준 연고라 한다.
    세속군주와 같이 정치에 전념하였고 친가의 이익만 도모하였다.

Ⅱ-19 제15세기 세속 인문주의(secular humanism)이란 무엇인가?
    인문주의는 르네상스期의 문화적 이념으로써, 교회의 전제로부터 인간의 독립을 주장하고 인간의 독자적 능력을 확신하고 모든 전통적 가치관을 비판하여 새로운 인간 중심의  문화 건설을 표방하였다.
    인문주의자들은 “현세의 발견” “자연과 인간을 발견하여” 과학적 경험적 연구와 관찰을 중시하고, 금욕주의와 중세 스콜라철학을 반대하였다. 그들은 관능의 쾌락을 긍정하고(예 : 보카치오의 데카메론), 퇴폐풍조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기독교를 정면 부정하지는 않았으나 모든 인간사에서 신을 배제하여 구속의 필요성, 성육신, 영생등을 부정하였다.
    특별히 인문주의자들은 대학교수 정부의 고위 관리, 법률가, 외교관의 실무자계급이 되었으며 실용학자들로써 새시대의 역꾼이 되었으며, 대표자는 페트라르크(Petrarch, 1304 -1374), 보카치오(Bocaccio, Giovanni, 1313-1375)등이다. 모델을 고전(로마와 희랍)에 두고 인문과학을 연구하였으며 서구 문화의 근원(ad fontes = to the origins)으로 돌아가서 새로운 문화를 이루려 하였다.
    이러한 인문주의의 발달의 원인은
    (1)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등의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2) 십자군 원정으로 산업 발전
    (3) 교회와 사회의 침체
    (4) 동방교회와 동방문화의 유입으로 고전연 구가 활발하였기 때문이다.

B.<회복의 세력 : 신비주의자들>

Ⅱ-20 14세기말-15세기 여(女)신비가들에 대해서 말해보시오.
   (1) 시에나의 카다린(Catherine of Siena, 1347-1380) : 14세기말 이태리의 성녀로서, 자       기 부친 집에서 개인적 신앙생활을 하였다.
       가난한 자와 병자를 돕고, 신유의 은사를 받았다고 자타가 생각하였다.
       우르반 6세와 프로렌스시(市)를 화해시키고 아비뇽에 있던 교황을 로마로 돌아오게 하     는데 공헌하는 등 활동가로써 정치 종교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침.
       명상, 기도, 환상,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경배에 주력함. 당대 신앙생활에 활력을 주게     되었다.
   (2) 쟌 다크(Jeanne d' Arc 1412-1431)
      전적 하나님의 계시와 하나님께 헌신하였다. 불란서 왕위 계승전(백년전쟁)에서 불란서    왕 챨스 7세(Charles Ⅶ)를 왕위에 올리는데 도움을 주고 오르레앙(Orelean)성의 포위    를 푸는데 공헌함.  나중에 영국군에게 잡혀 이단으로 화형 당함.
      그도 침체한 시대에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내었다.

Ⅱ-21 실제적 신비가(Practical mystics)들은 누구인가?
    (1) 피터 데일리 : 기도와 명상에 힘쓰고 이것에 관한 책들을 써서 영적 지도를 함.
        파리대 총장, 신학자, 공의회 운동의  대표적 지도자.
    (2) 쟝 제르송 : 데일리의 제자, 파리대 총장, 콘스탄스 공의회의 주역,
       건전한 신비주의를 제창함. 부정적 신비주의(negative mysticism)에 반대하고 이성과     감정을 조화롭게 이용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 남구 신비주의의 특색인 도덕적 성        격을 강조하였다.
       북구의 라이스부룩(Ruysbroeck)을 범신적이라 비난하였다.
    (3) 쿠사의 니코라스(Nicholas of Cusa, 1401-1464)
       수도원 개혁 공의회 운동에 적극 참여 하였으며 주교 및 추기경이 되었다.
       신(神) 경험은 필설로 경험할 수 없다하여 유명한 “docta ignoratia : 현명한 무지        (learned ignorance) 란 말을 남겼다.

Ⅱ-22 독일신학(Theologia Germanica)이란 무슨 책인가 ?
    독일신비주의는 에카르트(Eckhart 1260-1327), 수소(Suso, Henry 1295-1366) 하나님의 친구들(Friends of God)에 의해 점차 발전하였는데, 익명의 “하나님의 친구파”에 속한 사람에 의하여 “독일신학”이 저술되었으며 실제적 영적생활에 대한 문답식 지도서이다.
    나중에 루터의 사상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

Ⅱ-23 “신경건” (New Devotion)신앙 서적들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화란, 북불란서지방을 중심으로 신비주의자 라이스부룩(Ruysbroeck, 1293 -1381)의 영향으로  신경건 운동이 일어났다.
    “공동생활 형제단” (the Brethren of the Common Life),
    "공동생활 자매단“ (the Sisters of the Common Life) 그리고 “빈데샤임집단”(the Congregation of Windesheim)이 그 중추를 이루고 있다.
    이들은 환상적 신비주의를 배격하고, 명상과 기도를 위하여 성경과 기독교회의 위대한 저작들을 읽고 발췌하여 기도에 사용하였다. 여기서 많은 실제 신앙생활을 위한 경건서적이 나왔는데 그 중에 토마스 아켐피스(Thomas A Kempis)의 “그리스도를 본받아”(lmitation of Christ) 라는 책이 유명하다.

Ⅱ-24 공동생활 형제단이란 무엇인가 ?
    제라드 그로트(Gerard Groote / Gerard the Great 1340-1384)와 프로렌스 라드윈    (Florentius Radewijns 1350-1400)의 지도하에 생긴 평신도 신앙생활집단으로써 남녀가 나뉘어져 있으며   평신도로써 수도생활원리를 매일생활에 적용하여 공동생활을 하였다.
    손으로 일하고 수입은 공동소유로 하였으며 매일 죄를 서로 고백하고 신앙서적을 읽고 전사(轉寫)하는데 힘썼다. 주로 독일과 네델란드등 북구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으며 프로렌스 라드윈은 “빈데샤임 집단”을 창설하고 수도원 개혁운동을 하였다.  1419년에는 20개의 수도원이 이 집단에 속하였다. 이곳에서 공부한 사람들이 후세 종교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Ⅱ-25 15세기 독일 신비주의 특색은 무엇인가 ?
    음울하고 자기 부정적이며 그리스도와 신비한 연합을 갈구하고, 대체로 도덕적 문제에 무관심하였다. 이것은 엑카르트의 사상과 모본이 크게 영향을 준 것이다.
    17세기의 야곱 베메(Jacob Bohme)가 그의 사상에 영향을 입었다.

Ⅱ-26 북구의 기독교 인문주의(Christian Humanism)에 대해서 설명하라.
    초기에 이태리 인문주의자들은 기독교에 대하여 적대적이었고 이교적 사상에 젖었다.  로렌티우스 발라(Laurentius Valla 1405-1457)는 “콘스탄틴 황제의 하사” 문서(the Donation of Constantine)가 가짜임을 밝히고 사도신경이 12제자의 저작이 아님을 밝힘으로 교회를 비판하고 벌켓트역(Vulgate) 라틴성경에 오류가 많은 것을 지적하고 희랍, 히브리등 고전어 연구를 주장하였다.
    한편 15세기 후반-16세기초의 북구의 기독교인들이 인문주의를 받아들였다. 이태리의 미란돌라(Mirandola 1463-1494), 불란서의 자크 레페브르(Jacques Lefevre d' Etaples C. 1455-1536), 독일의 아그리콜라(Rudolf Agricola 1443-1485), 로이클린(Johann Reuchlin 1455-1522), 영국의 콜레트(John Colet C. 1467-1519)와 토마스 모어(Thomas More 1478-1535), 그리고 화란의 에라스무스(Desiderius Erasmus C. 1466-1536)가 대표자이다.
    이들의 특색은
    (1) 성경 연구에서 원천으로 돌아가자 (Ad fonte)
    (2) 그리스도 사도들의 신앙을 찾으려  하였으나 윤리적 합리적 신앙에 역점을 두고 그리     스도를 도덕의 표본으로 삼았다. 이들은 성서원전을 연구하고 원어를 연구하여 순수한     복음, 순전한 신앙을 추구하였으나 실제 종교개혁과는 거리가 멀었다.
    (3) 생활 개선에 힘썼다. (Emendatio Vitaes)

Ⅱ-27 에라스무스의 종교 개혁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말하라.
    기독교 인문주의자의 왕자로써 로텔담(Rotterdam)에서 사생아로 태어나 일찍 부모를 잃고 데벤트(Deventer)에 있는 “공동 생활 형제단”에서 교육을 받았다. 위대한 학자는 아니나 라틴(Latin)문장에 능하여 서구 인문주의자의 총아가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카톨릭 교회를 탈퇴하지 않고 합리적 방법으로 인지를 계발하여 교회 생활과 사회 생활을 향상시키려 하였다. (생활의 향상 Emendatio Vitae)
     혹자는 에라스무스가 종교개혁이란 알을 낳고 루터가 그 알을 부화시켰다고 말한다. 그는 엔키리디온 (Enchiridion/Handbook of the Christion Soldier)이란 저서를 통하여 형식주의, 의식주의를 타파하고 도덕을 통하여 그리스도인의 생활 향상을 도모하려 하였다.
     신약성경을 라틴어로 새로 번역하고, 희랍어 원전을 출판하여 서구의 성경 연구열을 고취(鼓吹)시켰다.
* 1516 Novum Instrumentum omne
      * 1519년의 제2판은 루터가 독일역 대본으로 사용함. 1524년 자유의지에 대하여 루터와     다투었고 그의 종교개혁에 대한 중립적 태도의 비극적 종말은 모든 기독교 인문주의     자들의 종말을 대변한 것이다.

Ⅱ-28 위크리프(John Wycliffe 1329-1384)의 개혁운동에 대해서 설명하라.
     (1) 위크리프는 영국사람으로 본래 실재론자(Realist)였으나 스코트스(Scotus, Duns             1264-1308)의 영향을 많이 받아 하나님의 의지의 절대성을 주장하였다. 어거스틴의          신학에 심취하고 주교 로버트 그로세스테스테(Robert Grossesteste)의 영향을 받았다.
      (2) 중요 정치 원리 : ⓐ 모든 소유는 하나님의 것.
                          ⓑ 충성을 조건으로 소유의 사용권을 주심”
         이란 원리로 교황도 하나님께 충성치 않으면 세속군주가 폐위시킬 수 있다고 주장.       아비뇽 교황이 영국에 세금을 부과하자 여기에 반대하는 국민 여론이 대두. 이때에       국왕과 국민이 위클리프를 옹호함.
      (3) 위클리프는 예정론을 주장하였고 선택받은 자로 구성되는 보이지 않는 교회의 원리       를 주장하고, 가견적 교회 지도자나 감독이 구원을 결정지을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성물(聖物)숭배금지, 화체설(化體說)부정(否定), 면죄부(免罪符), 죽은 자를 위       한 미사를 반대했으나 연옥(煉獄)은 믿었다.
      (4) 主활동 : ①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고 ② 성경을 가르치려고 설교자들을 전도 여행       에 내보내었다. (itinerant preachers)
         그들은 길에서나 풀밭에서, 교회 마당에서 교회 안에서든 언제 어디서나 설교하           였다. 신약성경 말씀대로 행하기를 애썼으며 주기도문, 십계명,七罪를 가르쳤다.          위클리프의 전도 설교가들을 추종하는 사람들을 “롤라드 (Lollards)”라 불렀다. 이        들은 1381년의 "농민반란"과는 무관하였으나 의심을 받기도 하였으며 그후 15세기        에 헨리 5세(Henry V. 1413-1422)에게 박해를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헨리7세(1485-1509)때는 다시 이 운동이 크게 일어났으며 영국의 종교개혁에        큰 공헌을 하였다.
      (5) 위클리프의 영향은 보헤미아의 요한 후스로 이어지고 독일의 루터에까지 파급되어 종       교개혁을 낳게 했다.
         (종교개혁당시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요한 위클리프가 성냥불을 켜고, 후스가 촛불을       들고, 루터가 횃불을 들었다 하였다.)

Ⅱ-29 요한 후스 (John Huss C. 1375-1415)의 개혁운동에 대해서 말하시오.
      (1) 요한 후스는 평민 출신으로서 일찍 아버지를 잃고 프라하(Prague)대학에서 수학(修         學)후 30세 전후에 신부가 되었으며, 교회의 부패상을 보고 도덕개혁을 위해 노력하        였다. 보헤미아와 영국왕가의 결혼이 있은 후 많은 체코의 학생들이 옥스퍼드에 유학        했으며 이에 따라 위클리프의 저작이 보헤미아에 소개되어 후스도 이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후스의 주장 ⒜성경의 절대 권위 ⒝교회의 머리는 그리스도(De ecclesia, 1413)교황중        에도 불택자가 있을 수 있다. ⒞교권은 세속 권세가 아니고 영적 권세임 ⒟속죄는 하        나님만 하실 수 있고, 신부는 그것을 선포할 뿐임(면죄부 판매 반대) ⒠교회 개혁
          프라하 대학은 종교개혁과 민족운동의 중심이 되었으며 후스는 교황 요한 23세에 의       해 파문을 당하였다. 그러나 후스와 위클리프의 저작은 전 유럽에 파급되고 개혁의 소       리가 점차 높아지게 되었다.
      (2) 콘스탄스 공의회에 독일황제 시기스문트의 신변보장을 약속받고 참석하였으나 체포되       었다. 공의회는 위클리프를 이단으로 정죄하고 그의 저작을 금하였다. 이어서 후스를       이단으로 심문하였다. 심문을 받았을 때. “교황주교 고위 성직자라도 대죄를 지으면        교황주교 고위성직자가 될 수 없는 것이라고 천명한 사실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았       을 때 “왕들도 그러하다”고 답했다.
         오랫동안 연금되어 병들고 잘 자지 못했으나 끝까지 자기의 무죄를 주장하고 굽히지       아니하였다. 이단으로 정죄받아 신부직을 박탈당하고 지방관리들에 의해 화형당했을        때(1415년 7월6일) “주여, 당신의 손에 내 영혼을 맡기나이다” 라는 말을 남기고 최        후를 마쳤다.
      (3) 보헤미아의 국민영웅이였던 후스의 사후, 후스파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① 우트라키스트(Utraquists) : 성찬에 떡과 포도주를 사용하여 평신도에게도 포도주           를 나누어주었다. 복음의 자유로운 전파와 성경이 금하지 않는 것이면 카톨릭 습          관을 그대로 지키려 하였다.
          ② 타보라이트(Taborites) : 주로 천인(賤人) 출신들로써 성경에서 분명히 명한 것이                                  아니면 어떠한 행습(行習)도 지킬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보헤미아에 그전부터 독립된 신앙운동이 일어났는데 소위 유니타스 프라
             트룸(Unitas Fratrum, 형제일체회) 또는 “보헤미아 형제회”라 불리는 것으로 나중           에 후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후에 모라비아파(the Moravians)의 모체가 되었다.

Ⅱ-30 15세기말의 교회 개혁가들에 대해서 말하라
    (1) 곡의 요한 푸퍼(John Pupper of Goch 1400-1475) :
       네델란드 출신의 수도사로써 공동생활 형제회의 영향과 신학적으로는 어거스틴의 영향     을 받았다.  성경의 권위를 높여 교황과 교부들도 성경과 일치하지 않으면 잘못된 것이     라 단정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강조하였다.

    (2) 베젤의 요한(John of Wesel c, 1410-1481) :
        마인쯔(Mainz)와 보름스(Worms)의 명설교가(說敎家).
        그의 신념은 성경에 위배되는 것은 설교도 안하고 글도 안 쓰겠다는 것이었다.
        교황의 면죄권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하고 교황권에 위배되는 처사에 대한 벌은 교황이      면해 줄 수 있어도 하나님의 법에 위배되는 것에 대해서는 교황이 아무권리도 없다 하      였다. 성자들의 공적도 하나님께서 나눠주실 수 있을지 모르나 교회가 나눠 줄 수는 없      다 하였다.
    (3) 요한 웻셀(John Wessel 1420-1489) :
        화란의 그로닝겐(Groningen)출신으로 공동생활 형제회에서 교육을 받았다.
        후일에 “그리스도 외는 아무 것도 알지 않기로 작정하였다.”
        성경론에서 성경은 성령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신앙에 관하여 최종의 권위라 천명하       였다. 교회론에서는 교회는 성도의 교제(Communion of Saints)라 하였으며 성찬 자체      가 효력있는 은혜의 수단은 아니며 신부는 단지 하나님의 종일 뿐이지 성찬에 어떤 효      력도 부여할 수 없다 하였으며 면죄부를 전적 부정하였다.

Ⅱ-31 사보나롤라(Savonarola 1452- 1498) 에 대해서 말하시오.
    (1) 지롤라모 사보나롤라(Girolamo Savonarola)는 이태리 페라라(Ferrara)출신으로서 플로렌     스의 산말코(San Marco)수도원에서 설교가로 대성하였다.  1491년이후 플로레스와 여러     도시에서 임박한 하나님의 심판과 회개를 외치고 도미니칸 탁발수도회 지역장이 되었다.
       수도원 개혁과 개인적 경건 생활에 힘썼다.
    (2) 플로렌스시에 불란서군이 침입하여 그의 예언대로 점령 당하였으며, 불란서군이 풀로렌     스에서 물러간 후 그의 의견에 따라 플로렌스시는 도시 공화국 체제를 취하였으며, 그는     계속 플로렌스시(市)와 이태리가 그리스도를 왕으로 모시기를 권고하고 각인이 자기 소     용을 제외하고는 가난한 이들을 도우라고 권면하였다. 플로렌스시(市) 전체가 개혁되어      여인들은 사치를 버리고 은행가와 상인들은 부당한 이익을 돌려주고 대중들은 성경을      읽으며, 교회는 사람들이 몰려들고 가난한 이들을 동정하며 명문귀족들이 수도승이 되      었다. 1496년에는 연례행사인 소란한 카니발을 변화시켜 구제의 날로 삼고 아이들이 행      진하며 찬송가를 불렀다.  그 이듬해인 1497년에는 음란한 책들, 그림 축제가면 의상들      을 아이들이 모아다가  광장에서 불을 태우고 시민들이 둘러서서 찬송가를 불렀다.
    (3) 로마교황 알렉산더4세와 투쟁 : 1495년 교황이 설교를 금하고 산마르코수도원을 교황직     속에 두려는데 대해 항거하였다.
       투쟁의 발발 원인은 사보나롤라가 교황개인과 교회의 부패상을 공격했기 때문이며 정치     적으로는 플로렌스 도시 공화국이 불란서와 연합하여 로마가 속한 이태리 연맹과 대립     이 되었기 때문이다.  플로렌스시가 사보나롤라의 반대편에 서게 되자 역경을 만나고 교     황파에게 사로잡혀 화형을 당하였다. (1498년 5월 23일)
    (4) 플로렌스시(市)는 다시 타락의 길로 돌아갔으나 소수의 추종자들이 해마다 그의 순교일     에 개혁운동을 기념하였다. 수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감명을 받아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     였다. 그중에 화가 보티첼리(Botticelli), 인문주의자 미란들라(Mirandola)화가 미켈란젤로     (Michaelangelo)도 끼어 있었다.
       비록 정치적으로는 플로렌스는 다시 메디치(Medici)가(家)의 집권으로 대가문통치          (Patrician rule)로 회귀하였으나, 사보나롤라의 공화정치와 개혁운동은 위대한 교훈을       남겼다.
       그 당시 플로렌스는 이태리의 꽃으로 개혁사상과 인문주의의 중심지였으며, 또한 교육의     중심지로써 북구의 수많은 유학생들이 그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단테의 활동지요 플      라톤 학교(Platonic Academy 기독교 인문주의 중심지)가 있었고, 미켈란젤로, 보디첼리     가 활약하고 사보나롤라의 공화주의와 마키아델리의 절대군주제의 사상이 병립된 문화     의 중심지였다.

           < 동방 정세 >

Ⅱ-32 터키의 서방침공에 대해서
    (1) 중세의 끝은 마지막 남은 동로마제국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플이 1453년 오트만 터키(Ottman Turks)에 의해서 망하고 발칸반도와 오스트리아 일부까지 터키의 영토가 되므로 닥아온 것이다.
    (2) 황제와 대사교와 귀족들이 소피아(Sophia)사원에서 최후의 성찬을 행하였으며, 1453년 5월 30일 터키왕 모하메드2세(Mohammed Ⅱ) 가 입성하여 소피아사원에는 모슬렘 승전예배가 드려지고 이로부터 모슬렘사원이 되어 버렸다.  터키는 근동, 중동지방 이집트, 이태리남부까지 점령하고, 동구라파에서는 헝가리를 거쳐 종교개혁 당시는 오스트리아의 비엔나 성문까지 밀어 닥쳤다.
    (3) 이로 인하여 서구 기독교회는 서구의 종말을 예상하고 공포와 전율에 떨었다.
    한편 교황들은 터키를 막기 위해 그리스도인들의 단결을 호소하였고 많은 동방교회학자들이 서방으로 피난하고 서책과 문물들이 서방으로 흘러들었다.
    (4) 동방으로 가는 길이 막히게 되었다.

Ⅱ-33 러시아 정교회의 발전에 대해서
    1480년 모스크바 대공이 마지막 몽고통치를 물리치고 독립하여 대러시아의 시발을 이     루었다. 콘스탄티노플이 터키에 망한 다음 정교회의 전통을 모스크바가 계승하게 되었      다. 이후 러시아 혁명때까지 황제와 대사교가 협력하여 기독교 국가로 지내왔다. 그러나    터키의  세력 때문에 서방교회와는 연락이 끊어진 채 근세로 발전하게된다.


                Ⅲ.  종  교  개  혁

Ⅲ-1 16세기의 시대적 특징은? (제16세기)
    (1) 지리적 발견의 시대라 할 수 있고 미대륙의 발견으로 새로운 세계가 열리었다.
    (2) 과학의 시대였다.  베살리우스 (Vesalius, 1543) 의 해부학과 크페르니커스(Copernicus,      1473-1543)의 “천체회전”등이 등장
    (3) 신앙의 시대
    (4) 인문주의 시대
    (5) 사회의 점전적변화의시대(시민사회의 등장)

Ⅲ-2 16세기초 (1519) 서구의 정치적 형편은?
    (1) 서유럽에 국민국가가 발전하여, 영국, 스페인, 불란서등은 군주국가로 성장하였으며, 독일, 이태리는 분열된 상태로 있었다. 독일은 수많은 제후들의 독립된 영지와 제국도시(Imperial Cities)와 교황영지로 나뉘었으며 다만 선제후에 의하여 선출되는 신성 로마황제에 의하여 외견적 통일만을 유지할 뿐이었고 이태리는 교황영지와 수많은 도시국가들과 제후들의 영지로 나뉘어 있었다.
    (2) 찰스5세(Charles v 1519 -1556)가 신성로마제국황제로 선출되어 스페인과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가(家)의 연혼에 의한 지배가 계속되었다. 그는 불란서를 견제하여 잃어져가는 제국의 이상을 회복하려하여 ①단일 카톨릭신앙 ②이슬람 세력 격퇴(스페인, 오스트리아, 헝가리) ③대제국유지를 목표로 정치하였다.

Ⅲ-3 사회 경제적 형편은?
    (1) 농업중심사회가 상업과 산업중심사회로 전이하기 시작
    (2) 도시국가의 발달(예 : 프로렌스, 제네바, 스트라스붉등)
    (3) 단순한 화폐경제의 발달(아구스부르그의 은행가 푸거스, Fuggers of Augsburg)
    (4) 인문주의자들의 배출, 활약(새로운 직업)중산계급의 등장
    (5) 하급귀족(도적기사 Robber Barons)과 농민계급의 동요

Ⅲ-4 16세기초 카톨릭교회의 형편은 어떠하였는가?
      레오 10세(Leo X, 1475-1521)는 플로렌스의 메디치가(家)출신으로서 “르네상스 교황”으     로 세속군주와 같이 세금 징수등 정치에 힘썼고 인문을 발전시키려 하였을 뿐 신앙의 지    도적 역할을 못하였다. 베드로성당 치장에만 힘쓰고 루터의 항거의 이유를 파악치 못했     다.
  Ⅲ-5 종교개혁의 원인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도덕적, 사회적, 교리적 원인을 들지만 그 근본 원인은 교회의 부패에 대한 하         나님의 정화의 역사로 볼 수 있다. 하나님의 교회가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고 창조적 활동         을 할 수 있게 하려 하심이다.
       그러므로 도덕적, 사회적 문제는 하나님의 교회가 하나님을 대변하지 못하기 때문에 파생         된 것들일 뿐이다.

         A. <루터파 종교개혁>
  
  Ⅲ-6 루터의 생애에 대해서 말하시오.
       (1) 1483년 11월 10일 아이스레벤(Eisleben)生
          아버지는 전형적인 독일농부 혈통(독립,근면,절약)으로 광산업에 종사, 어릴때부터 종교            교육을 받음 (하나님을 두려워함)
      
      (2) 7세부터 공동생활 형제단계통의 선생에 의해 교육을 받기 시작. 1501년 에르푸르트              (Erfrut)대학에서 신 학문(Modernism)을 공부, 오캄의 신학방법을 터득함. (기독교의 진            리는 이성으로 증명할 수 없고 다만 성경과 교회의 권위에 따라 믿음으로 받아야 된다           고 함) 1505년 문학석사가 된 후 곧 법학공부를 시작 동년7월에 수도 생활에 헌신함(노           중벽력) 에르푸르트 소재의 엄격한 어거스틴파 수도원에 입소함.

(3) 1507년 신부가 된후 첫 성례를 집전. 자기의 부족과 구원의 불확실 때문에 공포를 느             낌, 수도단장의 권유로 신학공부, 성경, 후기 스콜라 철학을 공부함.(오캄Occam                  빌Biel, 제르송, 데일리) 그후에 어거스틴과 신비주의의 저작을 읽게됨.
      
      (4) “복음의 완전” (evangelical perfection)에 이르려는 노력은 오히려 깊은 “시험”                     (Anfechtung)에 빠지게 함. (※ Anfechtung=시험 야고보1:12절) “자비로운 하나님”               을 추구하였지만 자신의 섬세한 양심으로는 오히려 자기의 불완전함을 발견하고                 오히려 “두려운 하나님”만 만나게 되었음
      
      (5)  1508년 뷧텐베르그 수도원으로 옮김.
           1508-09 수도원장 스타우비츠(Johann von Staupitz)의 지도를 받음. 신학사(B.D)취득
           1510:로마 방문
           1512잠시 출타 후 돌아와서 신학박사(TH.D)를 취득 뷧텐베르그대 성경교수로 취임
      
      (6) 1511/12 성경을 가르치기 시작하여 1513년부터 시편강의와 주석을 시작하고 1515년               로마서 강의와 주석을 시작 이때 이신득의(以信得義) 교리 발견(하나님의 의의 의미              를 깨달음)  “객관적의”와 “주관적 신뢰” (Confidence, Fiducia)의 의미를 발견. 1515년             에는 수도원의 신학연구 지도자로서 11개 수도원을 감독하는 지원장(district-vicar)이             되고 뷧텐베르그 시립교회 설교자가 됨.
      
      (7) 1517년 10월 31일 뷧텐베르그 성곽 교회문에 면죄부의 효용에 대한 학술 토론을 촉구             하는 “95개조 논제”(the 95 theses)를 붙임. 루터는 1516년에 벌써 교황의 면죄권에 반            대하는 설교를 하였다. 즉, 교황은 연옥에 든 영혼을 해방시킬 아무런 힘도 없다는 것            이다. 이 95개조 논제는 곧 인쇄되어 온 유럽에 종교 개혁의 신호탄이 되었다.
      
      (8) 아구스부르그 제국회의(the Diet of Augusburg)에서 추기경 카젠탄(cardinal Cagetan)             의 공격을 받다.
          라이프찌히 논쟁(Leipzig Debate, 1519. 6. 27. 부터 7. 16.)
          루터의 동조자와 엑크(Eok)를 비롯한 카톨릭 대표들간의 논쟁에서 루터는 부지중 자             기가 후스파임을 선언하고 사실상 로마 교회가 절연함. 교황과 공의회를 공격하고 성             경의 권위를 천명함.
      
       (9) 1520년 다섯 논문을 저작하여 종교 개혁의 기본 입장을 밝힘.
          ①선행에 관한 설교
          ②로마 교황에 관하여
          ③독일 귀족에게 고함
          ④교회의 바벨론 포로
          ⑤기독자의 자유
          동년(1920) 12월 10일, 60일내에 순복하라는 교황이 보낸 교서(the Bull)를 불태우고 아            울러 교회 법령집을 불태움. 1521년 1월 교황이 루터를 파문하는 교서를 발표함.
      
       (10) 1521년 보름스 제국 회의(the Diet of Worms)에서 루터가 로마 황제 앞에 서다. 루터             의 저작들을 쌓아두고 신문관이 루터 자신의 저작 여부를 물었고 자신의 주장을 변호             하려는가라고 물었을 때 유명한 대답을 함 : “성경과 이성이 정죄하지 않으면 나는 아             무 것도 취소할 수 없고 취소하지 않을 것이다. 이유는 나는 서로 상반되는 교황이나             공의회를 권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양심을 거슬리는 것은 옳지 않을 뿐 아니라 안전하             지도 않기 때문이다. 하나님이여 도우소서. 아멘.”
           제국회의에서 신문한 죄목은 분열 정죄 반역이었으며 루터를 제국 금령(Ban of the              Empre)하에 두었다. 언제든지 제국 금령이 내리면 이어 교회 금령(church ban)이 내             려 하시라도 체포되면 화형을 받게 된다. 루터에게도 제국 전복죄가 적용된 것이다.              금령이 당장 집행되지는 않았으나 평생 이 금령하에 살게 되었다.
      
       (11) 1521. 5. 4-1522. 3. 1. 선제후 프레데릭(Elector Frederic the Wise)의 주선으로 발트              부르그(Wartburg) 성에 10개월간 은거함.
            이때에 3개월만에 신약성경을 독일어로 번역.
      
       (12) 1522-  뷧텐베르그시 종교 개혁을 다시 지도하며 칼슈타트(Carlstadt)와 마찰.
      
       (13) 1524, 25년 처음에 호의를 가졌던 농민 전쟁에 반대
      
       (14) 1529 마르부르그 회의(Marburg Colloquy)에서 개혁파 지도자들과 성찬 문제로 토론              함. (루터, 멜랑톤, 부스, 쯔윙글리)
      
       (15) 1530년 멜랑톤이 작성한 아구스부르크 고백서(the Augusburg Confession)를 루터가              인정하다.
  
        (16) 1546년 루터 사망. 만년에 독일어 성경 개역 주석을 계속함.
            1547년 황제에 의해 신교 제후들의 참패
            1552년 신교군에 황제군의 참패
            1555. 9. 25. 아구스부르그 평화안 체택(the peace of Augusburg) 독일의 종교적 분              할이 이루어짐.

III-7 면죄부(Indulgence)란 무엇인가?
   ⑴ 일종의 사면서(the letter indulgence, Ablassbrief)로써 교황이 연옥에 있는 영혼이나 산 사        람이 당하는 일시 형벌을 성자 성녀들의 여분의 공적을 힘입어 면해주는 것이다.
  
   ⑵ 역사적으로 11, 12세기에 그 예를 찾아 볼 수 있으며 처음에는 고해(고해성사, 참회)의 한         방편으로서 교회나 수도원에 선물(주로 헌금)하면 참회로서 해야 할 모든 고행을 면해 주었        다. 11세기 중엽부터 십자가 면죄(the cross indulgence)가 생겨 성전(십자군 전쟁)에 참석        한 신자들에게 일반 사면을 주었다. 그후 12세기에 헌금 면죄로서 십자군 전쟁에 헌금을 낸        사람이나 다른 선생을 한 자들에게 면죄를 해주었다. 1300년 희년 선포 이후 면죄는 교황청        의 중요 수입원이 되었다. 희년에 로마 순례(Pilgrimage, Wallfahrt mach Rom)를 하면 면        죄된다 하고 나중에는 돈을 내어도 되고 1393년 보니파스 9세 때는 고해성사 자체에까지         효력이 미치게 되어 지옥 형벌까지 면한다고 하였으며 1477년 식스터스 4세는 죽은 자에게        까지 효력이 미친다고 하였다.
   ⑶ 카톨릭 교회에서는 성경적 근거로서 마태 16:19을 들어 교회가 일시적 형벌을 면해 줄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았다 한다. 신학자들 특히 할르의 알렉산더, 아퀴나스들이 교회의 공적        보고(宝庫)(treasury of merits of the church)설을 주장하여 신학적 근거를 주었고 1343년        에는 교황 클레멘트 6세가 공식적으로 면죄 원리를 승인하였다.
  
  ⑷ 종교 개혁 당시 독일의 경우 : 1506년에 교황 율리우스 2세(Julius II)는 베드로 성당 신축을        위해 희년 면죄를 선포하고 1514년에는 레오 10세(Loe X)가 다시 선포하였다. 대체적으로        독일은 교황청의 수탈정책으로 빈한하여 국민 감정이 좋지 않던 차에 섹슨가의 알버트가         독일내 교회 영지의 주도권을 잡기 위하여 이미 할버슈터트(Halberstart)와 막데부르크           (Magdeburg)의 주교좌를 차지하였고 계속 공석인 마인즈(mainz) 주교직을 얻으려 교황청        과 교섭하였다. 교황청은 막대한 위임금(installation)을 요구하였다. 12 사도에 따라 12000두        캇트(ducats)를 요구하자 7죄(seven sins)에 따라 7000두캇트를 흥정하여 결국 10000두캇트        를 푸거家에서 빌려 지불하였다. 교황청에서 이 빛을 청산할 수 있도록 면죄부 판매권을 알        버트 마인즈 대주교에게 허락하고 그 수입의 ½은 알버트에게 ½은 교황청에 지불하에 하        였다. 이에 알버트는 면죄부는 형벌뿐 아니라 죄도 용서하며 면죄부를 산 후에 지은 죄는         자동적으로 용서받는다 하였다. 텟즐(Tetzel)은 도미니칸 탁발승으로 독일 지방 면죄부 판        매인이었다. “돈궤에 금전이 떨어지는 소리가 나자마자 연옥에 있는 영혼이 (천국으로) 올        라간다.” 하였다.

  III-8 루터의 95개조 논제의 내용은 무엇인가?
   ⑴ 제 5조에 교황은 자기가 내린 형벌이외에는 어떤 형벌도 면해 줄 수 없다.
   ⑵ 제 8조 : 참회법은 산 사람에게 해당된다.
   ⑶ 제 50조 : 교황이 부패한 면죄부 판매원의 가혹한 요구를 알기라도 한다면 베드로 성당이                   자기 양들의 가죽과 살과 뼈다귀로 건축되기보다는 잿더미가 되기를 원한 것이                  다.
   ⑷ 제 56, 58조: 그리스도나 성자들의 공로는 교황이 사면을 허락하는 근거로서의 교회의 보물                    이 될 수 없다. 오히려 그리스도와 성자들의 공로는 육신의 사람에게는 십자                     가와 죽음과 지옥의 고통을 주어도 속 사람에게는 교황이 없어도 은혜를 가져                    다준다 라고 함.
   ⑸ 제 62조 : 교회의 보물은 하나님의 은혜와 영광스러운 거룩한 복음이다.
   ⑹ 제 86조 : 왜 교황은 코로서스(Crosus)보다 더 부자이면서 자기 돈으로 베드로 성당을 짓지           않는가?
         이같이 속죄의 공로는 그리스도의 공로뿐이며 누구나 속 사람으로 이 은혜를 받을 수            있으면 겉으로는 형벌과 십자가와 고난을 달게 받아야 할 것이라 주장.
         면죄부 판매의 부당성을 지적하였다.

  III-9 루터의 사상에 대해서 설명하라.
    ⑴ “선행에 관한 설교” 최고의 선행은 그리스도를 믿는 것이라 함. 공적을 쌓으려 함은 하나         님과 하나되지 못하고, 불안을 느끼는 까닭이라 함. 하나님께 대한 확신을 가진 자는 순례,         고백, 금식 성자를 부르는 행위 따위는 하지 말고, 기쁨과 즐거움으로 매일 일에 정진하          라 하였다.
    ⑵ “독일 귀족에게 고함” : 로마 교회가 부당하게 세운 세 가지 장벽을 지적함.
       ① 교황과 성직자의 우위성에 반대함
          만인 제사장설을 주장하고, 사람 사이의 차이는 직분 뿐이라 함. 하나님께서 국가에 주            신 직분을 행정가들은 정당히 행사해야 하며 신부도 예외는 아니라 함.
       ② 교황의 성경 해석 전권에 반대함. 교황 중에도 불신자가 있었으며 교황만 전권을 가졌            다면 성경은 불태우고 교황만 믿자고 하였다. 믿는 자는 모두 제사장이므로 개인은 신            앙 문제에 대하여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한 능력을 가졌다 함.
       ③ 교황의 공의회 소집권을 부정함. 그리고 주교들의 첫 수입을 로마에 바치는 것을 거부            하였다. 그 이유로서 말하기를 “교황이 출장할 때는 3~4천 노새가 뒤따른다. 그러나             그리스도와 베드로는 그의 대리자(교황)가 이렇게 뽐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발로 걸            어 다녔다.”
          독일 귀족들에게 한 실제적 제의 :
            a. 민사건은 로마에 호소하지 말 것
            b. 순례를 금함
            c. 사제는 원하며 결혼하게 하라.
            d. 축제절을 폐하고 주일만 지켜라.
            e. 구걸 행각을 폐하라. 가난한 자는 시에서 책임져라.
            f. 대학 개혁 및 학교에서 성경 공부 강조.
   ⑶ “교회의 바빌론 포로” : 교리적으로 특히 성례에 있어서 로마 카톨릭 교회의 잘못을 신랄히        비난한 논문이다. 교황을 바빌론 왕국으로 보고 교회가 사로 잡혀 있다고 비유하였다.
      로마 교회의 잘못된 속박은 다음과 같다고 하였다.
       a. 성찬에서 잔을 평신도에게 주지 않는 속박
       b. 화체설의 속박()
       c. 미사가 희생이며 선행이라는 주장
       d. 세례의 자동적 효과. 루터는 세례가 사람을 의롭게 함이 아니고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믿음에 의한 뿐이며 평생 죄에 대해서는 죽고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삶으로써 세            례의 의미를 실행해야 한다고 주장. 침례를 주장.
       e. 그 외 카톨릭 교회의 다섯 성례도 속박이다.
       f. 맹세와 서원 : 사회적 제도로서의 맹세를 비성경적이라 함(영원한 동정, 영원한 청빈, 순            종 등) “농부의 일이나 주부의 일이 성직자의 일에 못지 않게 하나님의 눈에는 귀하다            함”(노동관)
   ⑷ “그리스도인의 자유” = “기독자는 완전한 자주자이며 누구에게도 종속되지 않는다. 동시에        기독자는 만인의 가장 충직한 충복이며, 누구에게나 종속된다.” 그리고 그리스도인의 생활,        칭의 자유의 유일한 근거는 하나님의 말씀이며 : 문자적 말씀이 아니라 그리스도와 그에 대        한 믿음만이 자유케 한다고 하였다. 이 자유는 결코 방종을 의미하지 않고 선한 사람이 되        면 선한 행실을 하게 한다고 하였다.
   ⑸ 중요 교리 : ① 믿음으로만 의롭게 됨
                 ② 만인 제사장
                 ③ 성경에 쓰인 말씀의 권위
                 ④ 개 기독교인의 성경 해석 권리와 의무

  III-10. 루터의 “성탑 경험(Tower Experience)이란 무엇인가?
     루터의 신앙은 경험적이고 주관적인 요소가 많다. 첫 상례 집행 후부터 그의 내적인 투쟁은       가중하여졌다. 하나님 앞에 용납될 수 있는 자신이 되려고 수도승의 고행으로 육신의 몸을        죽이는데(mortification) 온 힘을 기울이었으나, 그리스도의 심판에 대한 두려움을 더 하였다.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에 대한 내적인 확신과 평안은 오지 않고 불안과 우울은 더 하여 갔다.       그러나 성경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통하여 세상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의를 발       견하고, 이 하나님과 하나님의 약속에 자기를 맡겨버리게 되었다. 이때 믿음은 신뢰(Fiducia)       요,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전인적 호응이었다. 이때 소위 “중생의 경험”(Vivification)을 하게       되었다. 그는 로마서 1장 17절에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를 주석하면서, “여기에서 나는 완       전히 다시 태어나고 활짝 열린 문을 통하여 바로 낙원에 들어간 기분이었다.”라고 말하였다.

  III-11. 루터와 색슨 과격파 개혁가들에 대해서 논하라.
   ⑴ 루터는 1522년 봄 색슨 선제후의 만류를 뿌리치고 바르트부르크 성에서 뷧덴베르그 성에         돌아와서 개혁 운동의 지도권을 잡았다. 주조는 질서와 온건이었다. 루터 부재중 칼슈타트        의 개혁 운동은 과격하였고 수많은 거짓 선지자들이 나타나서 말세를 예언하였다.
   ⑵ 칼슈타르(Andreas Carlstadt C. 1480-1541) : 색슨의 과격파 개혁주의자로서 뷧텐베르그 개        혁, 올라문데(Orlamunde) 개혁의 지도자였다. 그는
       ① 교회내의 모든 성상을 파괴하고(십자가의 고난상까지)
       ② 교회 음악 폐지
       ③ 성찬을 상징이라 함. 유아 세례 반대
       ④ 사회적 평들주의 제창
      그는 신부들이 결혼하고 신부 옷을 벗고 “형제 안드레아스”라 부르고 자기 손으로 일하여       살도록 권함. 나중에 농민 전쟁 및 뮨쳐(Muntzer)의 연관 때문에 스위스로 도망하여 스위스       의 제세례파에 영향을 주었음.
   ⑶ 토마스 뮌쳐(Tomas Muntzer, 1490-1525)
      색슨 신부로서 한 때 루터의 제자였으나 중세 말의 요아킴(Joachim of Fiore)과 타울러           (Tauler) 계통의 과격한 신령파(Spiritualist)가 되었다. 직접 계시와 환상과 꿈을 믿고, 일종        의 자연 신론(Theologia Naturalis)을 신봉하였다. 쯔비카우(Zwickau)에서 과격한 신비주의        자의 영향을 받고 사회 개혁을 부르짖게 되었으며 무력으로 “새 예루살렘의 도래”를 준비        하려고 처음에 제후들에게 호소하다가 실패하자 마지막에는 농민 반란(the Peasant Revolt,        1524-1525)에 가담하여 처형당하였다. 1524년, 독일 제후에게 “경건치 못한 사람들을 진멸        하는데는 칼이 필요하다”라고 한 설교를 남기고 있다.
   ⑷ 루터는 이들에 대하여 반박하는 글을 썼다. “하늘 선지자들을 반박함”(Against the                Heavenly Prophets..... 1525) 여기에서 칼슈타트의 과격성을 지적하였다.

  

III-12.
   ⑴ 루터의 출생이전부터 농민들은 경제적 사회적 억압 때문에 한스 뵘(Hans bohm)같은 천년        왕국 설교가들의 자극을 받아 농민 결속(Bundschuh, 구두 동맹)을 이루었다. 수 차례의 소        규모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던 차에 루터의 저작과 개혁 운동에서 “해방적 요소”를 발        견하고 기대를 가졌으나, 루터는 “칼”에 대하여 반대하고 주된 관심을 교회 개혁에 그치려        하였다. 토마스 뮨쳐에게서 지도자를 발견하고 착취 계급인 대영주인 귀족들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다.
   ⑵ 루터는 여기서 분명히 귀족편에 섰다. 평민에 대한 의심을 갖게되고 종교적 신념과 현실적        상황의 괴리를 발견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루터의 개혁이 시대성을 넘지 못함을 알 수 있         다. “살인 강도 떼 농민들을 책함(Against the Murdrous and Thieving Hordes of                Peasants, 1525)에서 제후들에게 농민 반란을 진압하라고 하고, 현 체제를 유지해야 할 필        요성을 역설하였다. 그 다음의 팜플렛에서는 관용과 용서를 구하고 기독 제후들의 의무와         책임을 논하였다.

  III-13. 루터의 교회와 정부론에 대해서
   ⑴ 루터는 농민 전쟁에 대한 그의 태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현실 정치 질서는 어떻게 해서        라도 유지되어야 구원을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무정부주의에 반대한 것이다.
   ⑵ 두 왕국설(Two Kingdom Theory)을 주장하였다. 루터는 모든 인간의 제도나 조직에 개혁        을 기대할 수 없음을 더욱 느끼고 하나님의 말씀(the word of God)만이 새롭게 하는 능력        을 가졌다고 믿게 되었다. 그리하여 하나님의 왕국(교회)과 세속 왕국은 엄연히 구별되며         교회사에 제후들이 간섭하지 않고 세속사에 교회가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⑶ 혁명을 반대하고 위정자의 개선을 원하고 하나님께서 처리하시기를 바라야 하며 기독교인        들은 수난을 받아야 할 것을 가르쳤으나 사실상 루터는 색슨 선제후 현자 프레레릭              (Frederick the wise)과 복음적 제후들의 지대한 도움을 통하여 교회 개혁 운동을 일으켰다.        특히 헷세의 필립(Philip of hesse)은 중요한 제후였다.

  III-14. 1529년 스파이어 제국 회의(the Diet Speier)의 의의는 무엇인가?
     1526년 스파이어 제국 회의에서 어느 정도 각 지역에 종교 자유가 허용되었으나 1528년 제       국 회의에서 루터파 영지에서 로마 카톨릭 교회의 예배는 허용하나 카톨릭 영지에서는 루터       파 예배를 불허한다는 결정이 로마 카톨릭 다수 제후들에 의하여 이루어지자 소수 루터파        제후들이 정식 “항의(protest)”를 제출하였다. 이때부터 “프로테스탄트”(Protestants)란 이름이       생겼다.

  III-15. 마르부르그 종교 회의(Marburg Colloquy, 1529)의 성격과 의의에 대해서 말하시오.
   ⑴ 헷세의 필립공이 주도하여 루터파(루터, 멜랑톤)와 스위스 개혁가들(Zwingli, Oeclampadius)        과 스트라스 부르그의 부서(Bucer) 사이의 교리적 차이를 조정하여 카톨릭 세력을 막으려        하였다.(정치적 목적)
   ⑵ 주의제는 성찬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임재 양식(mode of Presence)이었다. 루터는 실재 임재        (Real Presence)를 주장하고 쯔윙글리는 상징적 임재(symbolic / memorial)를, 그리고 부서        는 영적 임재(Spiritual Presence)를 주장하였다. (종교적 목적)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루터는 개혁파에게 당신들은 “다른 영”을 가졌다고 선언하며 결별하다.

  III-16. 아구스부르그의 신앙고백서(, 1530, 1531)란 무엇인가?
   ⑴ 1530년 아구스부르그 제국 회의에 소수의 루터파 제후들이 황제에게 제출한 루터파의 교리        천명서이다. 첫 부분은 루터파의 교리가 교부들과 보편교회의 가르침에 위배되지 않음을 증        명하고 제 2부는 로마 교회의 잘못을 지적하고 있다.
   ⑵ 저자는 멜랑톤(Melanchton)이며, 루터가 즉시 승인하였다. 그러나 쯔윙글리와 부서는 서명        하지 않고 각기 다른 신앙 고백서를 제출하였다.
   ⑶ 제국 회의에서는 다수의 카톨릭 세력에 의해서 양대 세력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루터        파 제후들에게 1531년 4월까지 승복을 명령하였다.

  III-17. 필립 멜랑톤의 역할에 대해서 설명하라.
   ⑴ 필립 멜랑톤(Philip Melanchton 1497-1560)은 위대한 인문주의자이며 히브리어 학자인 로이        크린(Reuchlin)의 조카 손자로서 일찍부터 독일 인문주의 교육을 받았다. 로이클린의 추천        으로 약관 21세에 뷧덴베르그 대학의 희랍어 교수가 되고 (1518), 곧 루터의 영향으로 신학        공부를 하여 1519년 신학사(B.D)가 되고 평생 그의 동역 친구가 되었다.
   ⑵ 1521년 루터가 불세출의 명저라 칭찬한 최초의 조직 신학인 “기본적 신학 논제”(Loci              Communes theologicarum)를 저술하였다. 루터의 가르침을 토대로 기본적인 기독교 진리         를 성경적 근거를 토대로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기술하여 개신교의 신학의 내용이 무엇인         지를 분명하게 설명하였다.
   ⑶ 아구스부르그 신앙 고백서는 그의 저작이며 계속 개작하였다. (1540, 1542) 아우그부르그 제        국회의에서 멜랑통은 최대한의 양보로 카톨릭과의 연합을 바랐으나 실패하여 과격한 루터        파의 비난을 사게 되었다. 그는 평화주의자요, 역사적 기독교 진리를 믿었으며 카톨릭이 오        류만 수정하면 자기의 의견에 동조할 줄로 알았다.
   ⑷ 많은 오해를 받기도 하였으나 “독일의 선생”이란 칭호에 합당하게 루터를 이어 개혁 운동        에 힘썼고 기독교의 연합을 위하여 힘썼다. 나중에 루터파가 내부적으로 이분되자 온건파의        지도자가 되었다.

  III-18. 아구스부르그 평화(the Peace of Augsburg, 1555)란 무엇인가?
   ⑴ 1547년 개신교 연합군이 황제군에게 폐하고(Smalacaldian War) 황제의 강제로 “아구스부르        그 잠정서(Augsburg Interim)를 받아드리게 되었으나 재차 일어난 전쟁에서 황제군이 대패        하게 되었다.(1552)
   ⑵ 1555년 아구스부르그 제국 회의에서 황제 찰스 5세는 드디어 각 영주에게 종교 자유를 허        락하여 유명한 “영주의 종교가 영지(領地)의 종교”란 종교 정책이 수립되었다. 이것이 지금        까지 독일교회는 각 지방 교회(Landes Kirchen)로 발전하게 된 동기이다.

  III-19. 루터의 종교 개혁의 여타의 결과에 대해서?
   ⑴ 독일어 성경
   ⑵ 독일어 미사와 예배 규범
   ⑶ 대학 교육의 개선
   ⑷ 노동관(직업)
   ⑸ 기독교 가정
   ⑹ 정치와 교회
   ⑺ 음악(회중)

  III-20. 루터 교회의 “일치 신조”(Formula of Concord)란 무엇인가?
   1580년에 루터파 교회는 멜랑톤의 “협력설”(Synergism) 논의에 대한 종결로서 1530년의 아구     스부르그 고백서와 변증서(1531)를 받아드리고 성찬에 대해서도 루터의 주장을 재확인하였다.     이것이 최종적 교리로서 받아지게 되었다.

  III-21. 루터파 종교 개혁의 전파에 대해서 말하라
   ⑴ 스칸디나비아 제국들, 덴마크,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스웨덴이 16세기말까지는 모두 루터         파 신앙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⑵ 중앙 유럽에서는 먼저 루터파가 전해졌으나 상주하는 독일인 외는 나중에 칼빈파 신앙과         재세례파 신앙을 받게 되었다.

  B. <개혁파 종교 개혁 : 쯔윙글리와 츄리히 개혁>

  III-22. 개혁파 종교 개혁이 일어난 곳은 어떠한 곳인가?
   라틴 문화권의 변방으로서 독일과 이태리, 독일과 불란서 중간 지역들이었다. 따라서 스위스      일대와 라인강 유역 계곡을 따라 북쪽 네덜란드까지이고, 나중에는 영국과 스코틀랜드, 그리고     루터파 세력과 대치되고 있는 폴란드, 헝가리, 보헤미아 등이었다.


  III-23. 스위스 종교 개혁의 배경은 어떠한가?
   ⑴ 지역적 특색 : 1291년 8월 1일 루제른 호(湖)를 중심으로 우리(Uri), 스뷔츠(Schwyz), 니드        발덴(Nidwalden)의 세 마을이 “항구 계약(Perpetual Covenant)”을 맺어 외침 시 상호 방어        를 약속한 이후, 14세기말(1388)에는 오스트리아 세력을 방어하여 연방 체제를 굳혔다. 그러        나 정치적으로 신성 로마 제국에 부속되어 오다가 13개 지방으로 늘어난 스위스 연방은          1493-1517년에 세금 문제로 제국과 관계를 끊게 되었다.
   ⑵ 스위스의 특색은 중요한 도시 국가와 농경 지방으로 나누어지는데 예컨데 바젤(Basel), 베        른(Bern), 츄리히(Zurich) 그리고 제네바(Genewa)등은 구라파 전체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문        화가 낙후하였으나 중세 말기부터 상업, 산업, 학교등의 발달로 일어서기 시작하는 신흥 세        력들이었다. 정치적으로는 시의회를 중심으로한 대가문(Patrician Families) 정치를 통하여         공화 정치를 하고 자체의 군사적 실력으로 주위의 제 지방을 복속시켰다.
   ⑶ 도시 국가들은 인문주의의 영향을 크게 받아 생활 개선을 도모하였다. 비합리적 종교 행사        를 개혁하려는 시민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종교 개혁도 시의회 즉 시민들이 주도가 되어         이루어지게 되었다. 스위스 내부에서도 도시 국가들은 종교 개혁을 받아들이고 농경 지방은        중세 체제를 그대로 유지, 카톨릭으로 남게 되었다.

  III-24. 쯔윙글리(Hulbreich Zwingli, 1484-1531)의 일생에 대해서 말하라.
   ⑴ 1484년 1월 1일 토겐부르그(Toggenbrug) 읍장의 아들로 태어났다. 가업은 목축이었으나 친        척들 중에 수도사들이 있었다.
   ⑵ 루터와 달리 비교적 부유한 가정에서 아무런 어려움 없이 성장, 비엔나 대학에서 공부하고        다시 바젤 대학에서 인문주의 학문(철학과 신학)을 배웠다.
   ⑶ 1505년에 수도원에 들어갔다. 이때 바젤 대학에서 토마스 뷧텐바흐(Thomas Wyttenbach)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미 면죄부 판매가 불법이며 그리스도의 죽음만이 속죄의 대가라는 혁명        적 가르침을 받았다. 그의 문하에서 많은 개혁가가 태어났다. 또한 이태리의 인문주의자 미        란돌라의 영향도 입게 되었다.
   ⑷ 1506년 글라루스(Glarus)교구 신부로 재직시 교구민들의 용병 전쟁(Mercenaries)에 종군 신        부로 참석하였으며, 1516년 부사교(Vicar)가 되고 이 해에 바젤에서 에라스무스를 회견하였        으며 희랍어 원문 성경을 읽고 개혁에 관심을 두게 되었으며 1518년 쥬리히 대사원의 시민        의 신부(People's Priest )로 부임하여 스위스 종교 개혁을 주도하였다.
   ⑸ 1523년 쥬리히 종교 토론회(Zurich disputation)에 67개 논제(the 67 articles)를 제출하고 시        의회가 그것을 공적 승인을 하여 쥬리히시의 개혁이 이루어졌다. 동년 “하나님의 정의와 인        간의 정의에 관하여”(of Divine and Human Justice)를 저술하여 국교회(a state Church) 원        칙을 세우고 재세례파를 탄압하다.
   ⑹ 1521-1523년 스위스의 여러 지방에 개혁 운동을 일으키고 1529년에는 바젤의 시의회가 개        혁파 신앙을 승인하고 1528년 베른 시의회에서 열린 공개 토론회에 부서(Bucer), 외클람페        디우스(Oeclampadius0, 쯔윙글리(Zwingli)가 참석하여 개혁파 신앙을 승인하게 하였다. 베른        의 개혁으로 1534년 제네바(Geneva) 개혁이 가능하게 되었다.
   ⑺ 1529년, 마르부르그 종교회의 참석
   ⑻ 1530년, 아구스부르그 제국 회의에 참석. 1531년 스위스의 카톨릭 지방과 전쟁 끝에 전사함.        “몸은 죽어도 영혼은 죽이지 못한다.”를 유언으로 남김.

  III-25. 쯔윙글리의 교회 개혁의 성격에 대해서 말하시오.
   ⑴ 쥬리히시 개혁은 성경 강해와 설교에서 시작되었다. 마태복음 1장 1절부터 강해하여 가면서        성경에 맞지 않는 교회 행습을 제거하고 성경이 명령하는 대로 살기 시작하였다.
      1520년, 자신의 연금을 교황청에 반납하였다.
   ⑵ 그의 개혁은 실제 생활에서 시작되었다.
      ① 로마 카톨릭 교회의 식사법을 버렸다.(1522) 사순절(Lent)에 고기를 먹었으며
      ② 1523년에는 로마 카톨릭 미사 폐지, 각종의 맹세, 신부의 독신, 연옥설, 미사의 희생적            성격등을 부정하고 믿음에 의한 구원 교리를 공표 했다.
      ③ 1524년, 신부와 수녀들의 결혼, 쯔윙글리의 결혼
      ④ 1525년, 성상, 성물, 교회 음악(Organ) 폐지함.(그는 여섯 개의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루터보다 나은 음악가였음) 원리는 “육체는 무익하니라(요 6:63)하심에 따른 것이었다.
   ⑶ 교회 개혁의 수단으로서 경건한 행정가(civil magistrates)나 성경을 신봉하는 시의회(city         council)를 사용하였다. 성경적 진리에 근거한 시민들 자신의 개혁 운동을 주창하였으며 시        대적 형편으로 과격한 개인주의를 피하고 개혁라 교회의 신정 정치 원리(Reformed               Theocracy)를 가졌다. 말씀에 근거한 질서있는 시민 생활과 국가 생활을 이루려 하였다. 하        나님의 주권하에서 거룩한 나라(holy commonwealth)를 목표로 하였으며 시민 전체에 권징        (discipline)을 행하였다.
      ※ 개혁파(the Reformed)란 말은 루터파에 대항하여 루터파의 잘못을 개혁하여 한 걸음 더           진전시키려 함에서 비롯된 말이다. 쯔윙글리의 개혁 운동이 루터의 영향은 받았으나 차           후는 독자적으로 발전되어 나갔다. 스스로 말하기를 “나는 루터한테서 그리스도에 관한           교훈을 하나도 배우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에서만 배웠을 뿐이다.” 이미 믿은 바를 실천           에 옮길 용기만을 배웠다 한다. 이것은 루터의 개혁 운동보다 더 철저한 개혁을 의미하           는 신호이다.

  III-26. 쯔윙글리의 성찬론에 대해서 설명하라.
   쯔윙글리는 성찬에서 기념설(memorial theory)을 주장하고 주님은 하나님 아버지 우편에 앉아     계시므로 성찬의 떡은 다만 주님의 죽음을 상징하고 기념하는 것 뿐이라 함.(여기서도 원리는     “육체는 무익함이니라.”) 신자들은 성찬을 통하여 그들의 주님께 충성을 다짐하고 성도들끼리     의 단합을 도모하려 함이라 함.
   루터의 실재설은 로마 카톨릭의 잔재이며 미신적 성격을 띄었다고 생각하였다. 이 때문에 마르     부루그 종교 회의에서 루터와 합의하지 못하였다.

  III-27. 쯔윙글리의 후계자는 누구였는가?
   ⑴ 쯔윙글리의 전사 후에 합스부르그家에서는 정치적, 종교적 적수가 사라짐으로 개혁 운동이        실패할 것을 예상하고 루터도 과격분자의 죽음을 다행스럽게 여겼다.
   ⑵ 그러나 스위스 개혁운동은 그의 사후 쥬리히의 정치적 세력의 약화와 더불어 주위로 크게        발전하지 못하였으나 후계자 하인리히 불링거(Heinrich Bullinger, 1504-1575)에 의하여 계        속되었다. 그는 44년간 강단을 지켜 쯔윙글리의 개혁 운동을 공고히하고 수많은 개혁 동지        들의 지도자로서 스위스 개혁운동의 연합 전선을 이루었으며 각종 개혁파 신앙고백서 작성        자로서 활약하였다. 즉 쥬리히 협의서(Zurich agreement, 1549)
      제 2 헬베틱(스위스語) 신앙고백서(the second Helvetie Confession, 1566)를 통하여 독일어        를 쓰는 스위스가 1536년 뵛텐베르그 협정서(the Wittenberg Concord of 1536)를 근거로 한        루터파와의 연합을 끊고 불란서어를 쓰는 칼빈파 스위스와 연합하여 개혁교회(the                Reformed Church)를 탄생케 하였다.
      수많은 독일, 영국, 남부 독일의 개혁자들이 쥬리히에서 공부하였으며, 그들에 의하여 쯔윙        글리가 이루지 못한 개신교의 정치적 세력의 확장 대신에 신앙적 영역의 세계적 확대가 이        루어졌다.

     <칼빈과 제네바 개혁>

  III-28. 요한 칼빈(John Calvin, 1509-1564)의 일생에 대해서 말하라.
   ⑴ 1509년 7월 10일 파리 동북방 58마일 지점 피카디 지방(Picardy) 노용(Noyon)에서 태어났        다. 조상 전래 가업은 요이즈(Oise)강의 뱃사람(boatmen)이었으나 아버지 제라르 꼬벵            (Gerard Cauvin)은 노력 끝에 사법서사가 되었으며 노용 주교의 법률 비서가 되었다. 따라        서 칼빈은 비록 세 살 때 친어머니는 잃었으나 비교적 좋은 환경에서 자랐으며 귀족 자제        들과 함께 노용의 사립 학교에서 공부하고 나중에 파리 대학에 입학하였다.
   ⑵ 1528년 신학 공부로 문학 석사 학위 받음(M.A).
      파리 대학의 선생들 :
      ① 라틴어학자 꼬르디에(Cordier)에게서 라틴어와 인문주의를 수학.
      ② 텔테트(Temptete)에게서 엄한 규율을
      ③ 베타(Beda)에게서 변증술(dialectics)을 배웠다.
      ※ 교우 관계 : 먼 사촌 올리베땅(Olivetan), 왕실 의사 귀욤 부데(Guillaume Bude)의 자제           와 교우
         파리 대학의 형편 : 개혁을 주장하는 레페브르(Lefevre)의 저작과 루터(Luther)의 저작이           영향을 끼침.
   ⑶ 1528-1529, 아버지의 명령으로 오르레앙(Oreleans)에서 법률 공부 시작.
      ※ 선생 레뜨왈(Letoile)과 볼마(Wolmar)
         1529년 말에 부르쥬(Bourge)로 옮김, 그러나 법률보다 인문학에 취미를 가짐.
         1531년, 부친 사망으로 1532년 다시 오르레앙에서 법률 수업을 끝내고 1533년 법률 관계           직책을 맡게 됨.
         1532년, 첫 저작집을 냄 : “세네카의 관대한 조치에 대한 주해서”(Commentary on                Lucius Anneas Seneca's two books on Clemency)
   ⑷ 1533년 또는 1534년경 “돌연한 회개” 경험하다. 그의 1557년판 시편 주석 서문에 간단한 회        개(Conversion)에 대한 기록이 나타남.
      ① 교황의 미신에 젖은 완고한 마음(칼빈 자신의)을 하나님이 정복하심(Coeur)
      ② 참된 경건을 맛본 뒤 불같은 결심으로 이 순수한 가르침을 좇게 되었다.
      ③ 일년이 채 못되어서 많은 사람이 그에게서 이 교훈을 배우고자 해서 피하여 독일로 떠           남.
   ⑸ 1534년, 로마교회와 완전 결별, 고향 노용 교구에 자기가 받아오던 승직록(benefice)을 반납.
      친구인 파리대학 학장 니콜라스 콥과 함께 루터파로 몰려 파리를 탈출하여 앙굴렘               (Ahgouleme)시에서 레페브르를 만남. 카톨릭 교회 내부에서 개혁이 불가능함을 느낌. 고향        에 돌아왔을 때 형 살르(Charles)가 이단죄로 형벌을 받을 때 칼빈도 잠깐 감옥에 갇혔다.
   ⑹ 1535년 국왕 프란시스 1세의 대박해로 독일의 메츠(Metz), 스트라스부르그, 스위스 바젤로         피난 감. 불란서왕이 개혁교도들을 핍박하면서 그들이 “재세례파”이며 “무정부주의자”라고        비난함에 대해서 기독교강요 출판 계획을 세움.
   ⑺ 1536-1538(제 1제네바 교역) : 1536년 사면령으로 고향에 돌아가 가산을 정리하고 개신교         도시인 스트라스부르그에 가서 학자 생활을 하려 함. 그러나 전쟁으로 로렌(Lorraine)을 거        쳐 곧장 스트라스부르그로 가지 못하고 리용→제네바→바젤을 거쳐가려고 6월 마지막 주         어느 날 제네바 여관에서 하룻밤을 묵게 됨. 제네바 개혁운동을 하던 파렐(Farrel)이 그를         찾아내어 제네바 개혁에 동참케 함.
      칼빈은 ① 나이가 너무 어리고 ② 성품이 강력하지 못하고 ③ 학문 연구에 관심이 더 많다        는 이유로 거절하였으나 파렐이 강권함. “우리와 함께 일하기로 헌신하지 아니하면.... 하나        님께서 너를 정죄하시리라.” 뒤이어 제네바 시의회에서 성경 교수(professor of Sacred            letters)로 채용함.
      1537년에는 목사회(the Company of pastors)에 가입함, 칼빈이 임직성례(Ordinatian)를 받았        는가에 대한 논의가 있으나 이미 임직은 성례가 아니므로 노회(목사회)에서 안수 받았을 가        능성이 짙다.
   ⑻ 1537년, 제네바 교회 개혁안을 소의회(행정)에 제출 요리 문답 작성(Catechism), 신앙고백서        작성(Confession of Faith)
   ⑼ 1538년, 반대파(아뜨띠쇼드파)가 정권을 잡아 베른 예배의식을 도입하고 공개 성찬을 명령        하고 세 지도자(파렐, 칼빈, 꼬로오)를 추방시킴.
      칼빈은 바젤에서 또 숨어 학구 생활을 하려 함. 이때 스트라스부르그의 불란서 피난민 교회        를 돌보라는 부서(Bucer)의 또 하나의 무서운 경고를 받고 9월에 스트라스부르그로 감.
   ⑽ 1538-1541 스트라스부르그에서 목회(3년간) 부서(bucer)에게서 배움.
      ① 학교 교수 ② 종교회의 참석 ③ 500 신도의 목회자
      ④ 저작 생활 : 주석(로마서) 변증서 “사도레토 감독에게 답함”(Reply to Sadoleto) 그리고        기독교 강요 개정판(1539)
   ⑾ 1541-1564 : 제 2 제네바 교역
      1541년에 시의회의 초청을 받자 친구(Viret)에게 말하기를 “교수대에 가거나 감옥에서 신음        하는 편이 더 낫겠다. 내가 천하에 여기(제네바)보다 더 무서워하는 곳이 없다,”할 정도로         돌아오기가 싫었으나 다시 파렐의 엄명으로 제네바에 돌아왔다. 그의 문장(紋章)에 남긴 유        명한 말은 칼빈의 믿음의 성격을 잘 나타낸다. “내 힘으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줄 아는        고로 내 마음을 칼질하여 죽인 것처럼 주님께 희생으로 바친다.”(When I consider that I         am not in my own power, I offer heart a slain victim for a sacrfice to the Lord.) (Cor        meum velut mactatum Domino in sacrificium)
      또 다른 문장에는 prompte et sincere in opere Domini(주님의 일에는 성실하게, 빨리)
   ⑿ 1541년, 교회 정치 조례 작성, 시의회에서 통과 (교회 조직, 예배의 개혁) (Ordinance of the        Church)
   ⒀ 1541-1555년 투쟁과 마찰의 시기
      칼빈의 개혁 법안에 대한 반대 세력과 투쟁, 칼빈을 지지하는 시의회도 칼빈이 원하는 만큼        의 시자체의 권징권 포기와 교회의 파문권을 인정을 하지 않으므로 이들과도 다투어야 하        였다.
      ※ 반대세력
         ① 자유사상가(Libertines) : 정치적 자유와 독립에만 관심을 둠.
         ② 반율법주의자들(Antinomian) : 심한 권징을 신학적인 이유에서 반대함.
         ③ 이단자들 : 세베르투스(Severtus)
   ⒁ 1555-1564년(칼빈의 승리의 시기) 자유주의 운동이 전복됨.
      불란서 피난민이 몰려듬(1549-1559년 사이에 5017명 전체 인구가 17000명으로 늘어남)
   ⒂ 1559년, 제네바 대학 설립(the Academy of Geneve), 베자(Theodord Beza, 1519-1605)가 학        장에 취임.
      첫해 162명이었으며 1565년에는 1600명으로 늘어남. 개신교 신학 교육의 모델이며 기독교         국가의 전형이 됨(제네바시) 이 학교가 유럽 전역의 복음 전파 기지가 됨.
      1559년, 기독교 강요 최종판 완간.
   (16) 1564년 5월 27일 칼빈 소천.

  III-29. 칼빈 이전의 불란서 인문주의자 레페브르에 대해서 말하라.
   ⑴ 레페브르 데따브르(Lefevre d' Etaples)는 스타우 플렌시스(Stauplensis)또는 영어로 페이버        (Jacobus Faber)라 불린다. 기독교 인문주의자로서 칼빈과 같은 피카디 출신이며 불란서의        에라스무스라 할만큼 불란서 종교 개혁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⑵ 파리 대학을 거쳐 이태리의 미란돌라(Miranddola, 1463-1494)의 영향을 받았으며 파리 대학        에 신학문의 선풍을 일으켰다. 1512년 바울 서한의 라틴어 주석을 출판하여 로마 카톨릭 교        회의 화체설, 공적론 칭의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발표, 1509년 시편 주석과 함께 루터에게        영향을 끼쳤다. 1523년에는 신약 성경을 불란서어로 번역 출간하였다.
   ⑶ 그의 영향하에 모의 주교(Bishop of Meaux) 브리소네(Briconnet)는 불란서내 교회 개혁운        동을 일으켰고 나바레의 왕후 마가렛(Magaret Queen of Naarre)은 적극 이 운동에 동조하        였으며 이단으로 정죄받은 레페브르의 보호자가 되었다. 칼빈의 선도자인 파렐은 브리소네        의 열렬한 제자이었다.

  III-30. 칼빈의 선배 동역자인 파렐에 대해서 말하라.
   ⑴ 귀욤 파렐(Guillaume Farel, 1489-1565) 불란서 개혁 교회사에서 가장 정열적이고 투쟁적인        개혁가이었다. 키는 작으나 목소리가 크고 두려움이 없는 이 붉은 수염의 전도자는 도피네        지방 가(Gap of Dauphine) 출신으로서 레페브르의 영향으로 개혁파 설교자가 되었다. (그         당시는 루터파라 불리워 졌음) 1523년에 벌써 불란서에서 도망쳐서 이후 불란서어를 쓰는        스위스 지방 종교 개혁운동의 선구자가 되었다.
   ⑵ 베른(Bern) 중심의 활동. 후년에 뇌샤뜰(Neuchatel)에서 목회하였다. 삐에르 비레(Pierre            Viret, 1511-1571)를 로잔느의 개혁가로 만들고 칼빈을 제네바에서 일하도록 권하고 올리         베땅(Olivetan)과 함께 불란서 성경 번역에 착수하고 또 왈도파와 접촉하여 개혁 신앙을          가지게 하였다.
   ⑶ 저서 : 소책자로서 1524년 주기도문, 1525년 예배서, 1525년 신앙개요 등을 저술하여 비록                학적으로 깊은 저술은 아니나 개혁파 신앙의 기본(Fundamentals)을 제시하고 있다.

  III-31. 스트라스부르그의 종교 개혁과 부서에 대해서...
   ⑴ 마틴 부서 또는 부처(Martin Bucer / Butzer 1491-1551)는 카톨릭 신부로서 1518년 루터와        교신끝에 개신교 설교가가 되고 1522년 결혼하였으며 1523년 로마 교회에서 파문 당했다.
   ⑵ 그는 기독교 인문주의자로서 스트라스부르그를 시장 야곱 스트름(Jacob Sturm)과 함께 모        범적 기독교 도시로 개혁하였다. 스트라스부르그시의 특수한 지정학적 위치(스위스와 독일        의 중간 지점에 있는 제국 자유 도시)때문에 부서는 쯔윙글리와 루터를 화해시키려는 노력        을 하였다. 스트라스부르그를 중심한 남쪽 독일과 북부 스위스의 위대한 개혁가요 교회 설        립자가 되었다.
   ⑶ 부서의 이상은 나중에 칼빈에게 전해졌는바 그 내용은 이상적 기독교 사회(Respublica             Christiana : 교회나 사회뿐 아니라 인간 생활의 전영역에서 하나님의 뜻대로 사는 삶을          주장)의 건설이었다. 이것은 기독교의 재생(Renewal)을 의미하는 거대한 구상이었다. 그의         저서 “그리스도의 왕국론”(Regno Christi, 1550)에서 이러한 이상을 잘 나타내고 있다.
   ⑷ 부서는 성찬론에서 그리스도의 “영적 실재”(Spiritual real presence of Christ)를 주장하여         루터와 다른 입장에 섰다. 그의 성령론은 개혁파 교회의 중심 교리였으며 그의 예배 모범은        개혁파 교회의 원형이 되었다.
   ⑸ 부서의 영향은 컸다. 칼빈의 제네바가 생겨나고 영국의 개혁운동, 나중에 미국 뉴잉글란드        의 신앙생활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1548년 찰스 5세의 “잠정서”를 반대하다가 영국으로        건너가 1551년 사망하였다.

  III-32. 칼빈의 기독교 강요에 대해서 설명하라.
   ⑴ 칼빈이 26세 때 쓰고 다음 해 1536년 3월 스위스 바젤에서 초판이 익명으로 출간되었다. 8        절판 520페이지의 라틴어 판이었고 목적은 ①변증과 ②교육이었다. 모두 6장으로 되었는데        ①법(십계명) ②사도신경 ③ 주기도문 ④성례(세례와 성찬) ⑤잘못된 5성례 ⑥그리스도인의        자유. 이 순서는 루터의 요리문답서를 닮았다. 이 책은 즉각적인 성공이었고 곧 매진되었다.        재판이 요구되자 개정판을 내기로 하였다. 이때 벌써 국제적 명망을 얻게 되었다.
   ⑵ 1539년에 스트라스부르그에서 라틴어 개정판을 출간하였다. 모두 11장이었고 그 중에 “하나        님에 대한 지식”, “신구약 비교”, “예정과 섭리”, “그리스도인의 생활”등 세 장이 들어가고         여기 부서의 영향이 크게 보인다. 특히 “그리스도인의 생활”장은 부서의 “영혼의 참된 치         유”(The True cure of Souls)의 영향을 입었다.
   ⑶ 1541년 불란서어 판이 나오다. 불란서어 문장에 큰 영향을 끼침.
   ⑷ 1543년에는 전 21장으로 증보함, 1545년 재간, 1550, 1553, 1554 수정판(1545, 1551 불란서어        판)
   ⑸ 1559년 최종 라틴어판, 전 4권이며 사도신경의 순서를 따랐다.
      ①성부 ②성자 ③성령 ④거룩한 공회
   ⑹ 성격 : 성경의 진리를 단순(Simplicity) 명료(Clarity) 조직(System)적으로 설명하려 하였          으며 여러 차례의 개정판을 내었으나 근본적 원리는 변치 않았다.
      목적 : 신학생들에게 성경공부를 위한 준비를 시키려함.
      (to prepare students of theology for the reading of the Divine Word) 이 책은 칼빈             자신의 친구보다 책을 통해 전세계에 더 많은 친구를 만들어 내었고 개신교의 신학 교과서        로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총론(Summa Theologica)에 비견되며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에서 100년간 신학 교과서로서 쓰였다.

Ⅲ-33. 신학자 칼빈에 대해서 설명하라.
   (1) 칼빈은 제2세대 종교개혁가로서 루터와 쯔윙글리가 발상한 신학적인 문제를 발전시키고 난         제를 해결하여 견고한 신학체계를 수립하였다.
   (2) 루터의 종교개혁에 대한 외부로부터 공격을 신학적으로 방어하는 작업을 하였다. 그는 수         많은 소논문(tracts)을 저작하였다.
       ①사도레토에 답함(Reply to Sadoleto)
       ②니고데모당에 대한 변명(Calvin's Excuse to the Nicodemites...... 1544)
       ③교회개혁의 필요성(Of the Necessity of Reforming the Church)
       ④트렌트 공의회 행동록(Acts of Synod of Trent with the Antidote)
       ⑤재세례파에 대한 반박(Against the Sect of the Anabaptists 1544)
       ⑥세르베투스를 반박하는 논문등
   (3) 칼빈의 적극적인 신앙사상
       ① 칼빈의 기독교강요(1559)는 “이신득의” 교리로 시작하지 않고 “하나님께 대한 지식”으            로부터 시작한다.  사람은 자신의 구원보다 “하나님의 영광”과 “하나님의 뜻”에 더 관            심을 가져야 한다고 믿었다.  따라서 하나님의 주권(Sovereignty of God)은 그의 신학            의 중심 사상이 된다.  칼빈은 이중 예정교리(Double predestination)를 주장하였다. 영            원한 선택(election)과 영원한 유기(Reprobation)가 하나님의 “무서운 법령” (decretum             horrible)으로 정해졌으며 모든 일은 하나님의 온전한 섭리(Whole Counsel of God)하에            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함.
       ② 칼빈은 사상 최고의 성경신학자이었다. 성경의 권위와 충족성을 믿었다. 요한계시록을            제외한 전 성경의 주석이 이를 증명하고 기독교 강요를 비롯 설교, 기타의 소책자들은            성경에 근거하여 논술하고 있다.  이를 칼빈의 성경주의(Biblicism)라 한다.
          그는 구약에서 신약으로 이르는 점진적 계시(progressive revelation)를 믿었으며, 계시            의 발전에 있어서나 계시를 이해함에 있어서 성령의 역사와 활동을 믿었다.  따라서 성            경과 성령은 하나님의 말씀(The Word of God)인 예수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두 가지             기관이라 믿었다.(Cum Verbum說)
       ③ 칼빈신학의 특색 중 하나는 그의 성령론이다.  성령의 독자적 역사(독립성)를 강조하
          여 그리스도의 공로를 우리에게 전달시켜주고, 적용시킬 뿐 아니라 계속 성화를 책임지            고 역사하신다.

             그리스도의 공로------성   령-------나   :   결과 = 칭의 = 성화
                                   믿   음
          이로 인하여 우리 구원의 객관적 근거로서 성령의 역사를 강조하고 칭의 교리에 성화            교리를 첨가하여 설명할 수 있는 교리적 체계를 세웠다.
       ④ 칼빈의 성찬론은 성령론으로 해석해야 한다.  성찬의 자동적호력(ex opere operato)을             주장하는 로마카톨릭 교회에 반대하고 성령의 역사를 강조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 우편에 계시고 성도들은 다만 성령으로 인하여 믿음으로 그의 몸과 피를 먹고            마신다 하였다.
          따라서 감사, 기념, 재림에 대한 기대등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으며 성도들의 영적 교제            를 의미하기도 한다.
       ⑤ 칼빈의 교회론 : 택자로 구성됨. 그러나 가견적 교회는 불택자도 간혹 섞여 있다 함.
          참교회의 세 표징(mark)은
          a. 말씀을 올바로 선포하고 듣는 것   b. 예수께서 세운대로 성례를 행함.
          c. 권징.  사도신경 중 “성도가 서로 교통하며”를 해석하기를 영적 유익을 서로 나눈다              고 하였으며 “거룩한 공회”를 회복하려 하였다. 칼빈에게서 교회론은 특히 중요한 교              리중의 하나이다.

Ⅲ-34. 칼빈의 제네바시 개혁에 대해서......
   (1) 제네바市의 형편 : 1530년대 제네바는 정치적 종교적 혁명기에 처해 있었다.
      사보이家와 대주교의 통치를 번갈아 가며 받아 오던 중 1536년 1월에 베른市의 도움으로         독립市가 되었다.  1534년 베른시에서 보낸 개신교 설교가들이 나타났고 1535년에 성상을         버리고 카톨릭 미사를 중지하고 1536년 5월 21일 시민총회(General Assembly)에서 복음대        로 살 것을 가결하였다.  이어 그해 7월에 칼빈이 제네바로 부임하게 된다.
   (2) 제네바시는 12,000명 시민의 대표기관으로서 시민총회, 200인회(the two Hundred), 60인회        (the sixty), 소의회는 시민 직선에 의한 4명의 신딕스(Syndics)와 재무(theasurer)와 200인        회가 선출한 16인이 모여서 일상의 행정을 맡았으며, 200인회는 직종별 대표기관이고 중요        사는 총회의 의결을 거쳐야 되었으며 그리고 소의회가 시민들의 도덕생활에 대한 권징도         맡았다.
   (3) 칼빈의 제네바市 개혁은 스트라스부르그 피난시절(1539-1541)의 경험이 크게 작용하였다.         그러나 다시 돌아온 후 무려 14년이 지나서야 제네바시는 칼빈에 의한 개혁이 완전히 이         루어지게 되었다.(1541-1555)
       먼저 유명한 교회정치 조례(Ecclesiastical ordinances of the church of Geneva 1541)를 통         하여 교회와 제네바市 개혁의 기준을 세웠다.
       ① 예배 : 시내에 3교구가 있었는데, 주일새벽예배를 베드로 교회에서, 9시 오전 예배는 세            교회에서, 오후 3시 예배는 두 교회에서 예배를 드렸으며 각 교회에서 정오에 어린이들            의 공부가 있었다.  주중에는 각 교회에서 월, 수, 금, 아침에 몇 시간씩 설교가 있었다.
       ② 직분 : 목사, 선생, 장로, 집사.
        ③ 치리회(the consistory of Geneva)는 목사들과 장로 12인으로 구성되어 신앙과 생활의            제악을 치리하고 중요한 범죄는 다시 소의회에서 다루게 하였다.
       ④ 제네바시는 중세 때부터 도덕적 타락으로 유명한 음란한 도시였다 추한 오락을 금하고            통행금지를 실시하였다.  춤추는 것, 연극, 음란한 노래들도 금하였다.  치리회는 예배            불참석, 음주, 도박, 욕설, 가정불화, 아내구타, 간음등을 다스렸다.  치리회는 소위 “형            제적 교정” (Fraternal Correction)을 통하여 교정을 시도하였으며, 고하를 막론하고 수            많은 사람들이 책망을 받았고 나중에는 여기에 반대하는 세력이 커져서 칼빈에게 도전            하였다. 그러나 1555년경에는 영국감독 죤 베일(John Bale)이 “기적”이라 할만큼 제네            바시는 완전히 개혁이 되어 깨끗한 도시가 되었다.
       ⑤ 칼빈은 교육 개혁(어린아이들과 시민에게 요리문답 공부를 시키고 목회자를 위한 제네            바 학교를 설립했다.) 생활개선(거리청소, 야경, 난간 설치) 경제발전 (실직자를 구제하            기 위해 직조 공장 건설, 정직한 상업등을 장려) 병원과 빈민 구호 등에도 힘썼다.  개            혁된 제네바시는 각국에서 수많은 피난민과 신학생들이 모여들어 개혁운동의 모본이             되었으며 특히 스코트랜드 종교개혁(낙스)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Ⅲ-35. 칼빈의 예배모범에 대해서 말하라.
   (1) 칼빈이 스트라스부르그에서 작성한 예배모범(1540, 1545)은 부서(Bucer, 1491-1551)의 영향         이 크다. 초대교회의 예배형태를 회복하려 하였다.
      ①기원(Invocation) : 예 (시편 95 : 1-3)sursum Corda
      ②고백(Confession)
      ③용서의 선언(Declaration of absolution)
      ④십계명 송(1-4) “주여 긍휼히 여기소서” (Kyrie Eleison)
      ⑤십계명 송(5-10) “긍휼히 여기소서”
      ⑥설교(Sermon)
      ⑦연보(collection of alms)-구제헌금
      ⑧주기도문 해설(Lord‘s prayer)
              < 성  찬>
         ⓐ기도(consecration prayer)
         ⓑ권면(exhortation) : 경계, 성찬의 의미
        ⓒ분배(두 종류)......회중은 시편138편 노래
        ⓓ기도
      ⑨축도
        칼빈은 매주 성찬을 하려 하였으나 시의회와 절충하여 일년에 4차례 하도록 정하였으            며 “제한 성찬” (close Communion)을 하였다.

   (2) 칼빈은 예배에서 회중의 찬송(Congregational hymn)을 강조하였다.(로마카톨릭은 신부들이         하였음)
       1562년에 제네바 시편 찬송가(Geneva psalter)가 완성되었다. 일찍부터(1539)불리어진 것으         로, 칼빈, 마로(Clement Marot)베자의 시에다 루이 부르조아(Louis Bourgeois-d 1561?)의         곡을 사용하였다.
       이때에 칼빈은 멜로디만 사용하려 하였으나 부르조아는 4부를 주장하여 1557년 제네바를         떠나 파리에서 시편 100곡(1551)을 출간하였으며 종교개혁 시기의 최대의 찬송가 수확을          거두었다.

Ⅲ-36. 개혁교회의 네 직분에 대해서 설명하라.
   (1) 목사(pastor) : 특별히 개혁교회에서 목사를 지칭할 때 pastor란 말을 쓴다.  이것은 목양의         직분의 중요성을 가리킴이다.  목사는 말씀을 전하고 가르치고 권면하며 성찬을 집행하고         장로와 함께 형제적 교정(Fraternal corrections)의 성격을 가진 치리를 행한다.  특별히 성         도의 영혼에 대한 보살핌(Seelencur)을 강조하였다.  쯔윙글리는 “목사(pastor)" 라는 소책         자를 발간하였으며 목사의 직책 중에 상담과 심방이 포함되어 있다.
       칼빈의 제네바에서는 매주 목사회가 모여서 교구의 문제를 의논하고 일년 4차례의 목사회         가 모여 상호 권징(mutual discipline)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년4차 모임을 “목사회” (the Venerable Company of pastors)라 불렀다.
   (2) 선생(doctors) : 에베소서 4:11,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교리의 순수성 유지, 목사 양성         을 책임지게 하였다.
   (3) 장로(Elders) : 1539년 기독교강요에 설교하는 일과 분리된 치리하는 장로(ruling elders)가         하나님께서 정하신 제도라 믿었다.  평신도 중에서 교인들의 지도와 권징을 위해 “덕망있         고 믿을 수 있는“사람을 택하였다.  처음에는 소의회가 추천하여 시의회 회원 중에서 12명         을 뽑았으며 나중에는 각구역 별로 뽑았다.  이들이 목사들과 협동하여 ”시민의 도덕생활,         교회의 치리를 맡았다.
   (4) 집사 : ①재정집사 ②구제집사를 선출하였다.

Ⅲ-37. 칼빈의 국가와 교회論에 대해서 설명하라.
   (1) 칼빈은 국가와 교회의 유기적 관계를 주장한다.  1555년 이후 제네바시를 정복한 칼빈의          승리는 교권의 승리라 할 수 있다.  치리회가 영적 문제에 대해서 자율권을 행사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시의회 승인 없이도 수찬 정지(Excommunication)를 행할 수 있게 되었           음.)
       후일의 “자유교회(free church independent from the state)의 가능성이 싹트게 되었다.
   (2) 칼빈의 제네바는 성경통치(Bibliocracy)또는 신정(theocracy)이라 불리어졌다. 이는 국가의         통치권이 같은 하나님에게서 나오며 통치원리가 성경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성경적 원리로         정치, 사회, 문화, 생활을 하려하였다. 치리회는 국가의 도덕적 역할에 대해서 기준을 설정         하고, 국가로 하여금 교회와 협력하여 사회 질서 안녕을 유지케 하려 하였다. 그러므로 단         순한 자연권이나 다수결 원칙은 칼빈의 사상과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3) 또 하나의 유기성의 근거는 한 시민이 교회와 국가의 일원이며 시민들이 기독교 사회     (Respublica Christiana)를 이루기 때문이다. 이 기독교 사회에 목사와 행정가들은 하나님  의 일꾼일 뿐이다.

Ⅲ-38. 후계자 베자의 활동에 대해서 설명하라.
   (1) 테오도르 베자(Theodore Beza 1519-1605)는 불란서 부르군디 지방, 베즐레(Vezelay)의 오랜 전통의 카톨릭 가문에서 태어났다. 개신교 학자인 볼마르(Wolmar)에게 배우고 나중에 오르레앙에서 법학을 공부하였다.  1548년 카톨릭 신앙을 포기하고 제네바에서 결혼하였으며 1549년에 로잔느(Lausanne)에서 희랍어 교수가 되고 1556년 세베르투스 화형에 칼빈을 옹호하는 글을 쓰고 동년에 희랍어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하였다.
       1559년 제네바 대학의 학장으로 취임하였으며 1564년 칼빈 사후 40년간 칼빈의 후계자로서 개혁운동을 지도하였다.
   (2) 성경학자 : 1565년 희랍어 성경출간, 이것은 17개 사본과 스테파누스가 수집한 상이한 어   구(variant readings)와 1550년 스테파누스(R. Stephanus)의 희랍어 성경본을 참고하여    최초의 비평판(Critical edition)이 되었다.  여기에 불겟(vulgate)역과 베자의 라틴어역이   포함되었다.  1582년에는 유명한 베자 사본(Codex Bezae)을 참고하여 제2판을 출간하다.
       신학은 칼빈의 신학을 계승하였으며 칼빈보다 더 엄격한 하나님의 예정을 믿었다.
   (3) 불란서 교회 개혁가 : 1561년 불란서 포와시(Poissy)에서 불란서 내의 로마 카톨릭 교회와  개혁교회의 연합을 위한 종교회의(colloquy of Poissy)에 참석하였으며 이것이 실패한 후  불란서내 교회 개혁운동에 힘씀.  1571년에 라로셀에서 모인 전국 총회(National synod  of LaRocelle)를 주도하고 1580년에 “불란서 개혁교회사”를 편집하였다.  불란서 개혁교도  들(유그노 Hugenots)을 위한 국제 외교 활동도 주목할만 하다.

Ⅲ-39. 개혁교회의 전파에 대해서 말하라
   (1) 독일 개혁 교회(German Reformed Churches)
      ① 스트라스 부르그를 중심으로 개혁파 신앙이 남부 독일 라인강 유역으로 퍼지게 되었다.    그러나 1548년 “아구스부르그 잠정서”(Augsburg lnterim)이후 루터파와의 투쟁이 계속    되어 1591년에는 스트라스 부르그에 루터파 신앙이 승리하였다.
      ② 헷세(Hesse)지방도 필립공의 지도하에 개혁파 신앙을 견지했으나 1555년 “아구스부르     그 평화” 이후 루터파 신앙을 가지게 되었다.
      ③ 독일 서북방 화란과의 접경 지역에 개혁신앙이 전파되었으며 독일 서남쪽 파라티네이트    지방(the Palatinate)이 1545-1620년까지 독일 개혁교회의 중심지가 되었다. 선제후 프     레데릭 3세는 루터파 교회가 로마 카톨릭과 다름없이 타락하는 것을 보고 칼빈파 신앙     을 가지게 되었으며 독일 개혁파 교회의 선봉이 되었다.  1612년에는 동북방 프러시아     가 개혁파 신앙을 받아 들였다.
      ④ 여기에서 유명한 하이델 베르그 요리문답서가 우르시누스(Ursinus)와 올레비아누스        (Caspar Olevasnus)에 의하여 작성되었다.  멜랑톤과 칼빈의 사상을 조화시킨 개혁교     회 고백서이다.
      ⑤ 계약 신학의 발전 :  우르시누스와 요한 콕크(John Koch 1603-1669)
      ⑥ 30년 종교전쟁(1618-1648)과 웨스트팔리아 평화(the Peace of Westphalia)로 개혁파 교    회는 로마카톨릭 교회와 루터파와 대등한 권리를 획득하였다.
   (2) 불란서 개혁교회(the French Reformed Churches)
      ① 1555년 최초의 개혁교회가 파리에 설립되고 1557년 최초의 불란서 개혁교회 총공회(the           French national Synod) 전국 공회(A national synod)
      ② 1561-1598, 불란서 개혁교도(유그노, Huguenots)들이 프란시스 1세를 비롯 불란서 절대           군주에 대해 무력항쟁을 하다.  콘데 왕자(Prince Conde)와 수많은 남불의 나바레                (Navarre) 귀족들이 신흥시민 계급과 합세하여 정치적, 군사적으로 개혁운동을 하였다.           1572년 “성 바돌로메 축제일의 대학살”로 수많은 순교자를 내었으며 무력투쟁은 1589            년 개혁교도인 헨리 4세(Henry Ⅳ)가 불란서 왕위에 즉위함으로서 일단락이 났으나, 헨           리는 형식상 카톨릭 교도가 되고 1598년에 낭뜨 칙령(the Edict of Nantes)을 내려 개            혁 교도들에게 신교의 자유를 허용하였다.  한정된 지역 내에서만 활동하게 하였다.
      ③ 1598-1685, 90여년간 발전하였으나 그 동안 수 차례의 국내 전쟁으로 수많은 희생을 내           었으며 재상 리실루 추기경(Cardinal Richelieu)에 의하여 차츰 시민권을 잃기 시작하여            루이 14세(Louis XⅣ)때에는 낭트 칙령이 철회되었다.(the Revocation of Nantes 1685)           이 때 거의 50만에 달하는 유능한 유그노들이 영국, 화란, 독일, 심지어 미국으로 피난가           서, 영국의 경우 다음 세대의 대영제국의 위세를 떨치는 데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이들중 12000명의 군인, 9000명의 수부, 직조기술자, 인쇄기술자, 은행가, 상인들)
   (3) 화란 개혁교회(Dutch Reformed Churches)
      ① 화란 개혁교회의 설립은 루터파, 재세례파 개혁운동이 실패한 그 후속으로 설립되었               다.
          처음 개혁파교회는 1548-1550년대는 카톨릭의 탄압으로 외지에서 피난민 교회로 시              작하였으나 화란내의 교회는 그들 스스로를 “십자가 밑의 교회”라 불렀고 교인들은              장로와 집사들이 다스리고 목사는 순회목사가 비밀리 다니면서 설교하였다. 1550-1560            에 지방 교회가 생겼다.
      ② 1570년에 독일 엠덴(Emden)에서 최초의 화란 개혁 총공회가 모였다.(synod of Emden)           1571년에 속회를 열고 장로 정치 체제를 채택하고 노회(화란에서는 class라 부름)와 총           공회(National synod)는 개교회의 독립성을 깨뜨리지 않는 한도내에서 전체 교회사를 의           결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신앙고백서로서 벨직 신앙고백서(the Belgic Confession, 1561)           와 하이델베르그 요리 문답을 채택하였다.
      ③ 화란 개혁 교도들이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전쟁에 가담하여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드브           레(De Bres)화란의 개혁가로서 남쪽 화란에서 개혁운동을 일으키고 이것이 독립운동의           시발이 되었으며 오렌지공(the Prince of Orange)도 이에 가담하였다. 이때 화란 개혁교           도들에게 “혁명권”(the right to revolt)이 신학적 신앙적 난제이었다. 그들의 해답은 a.            합법적 기관을 통한 반란은 법적으로 간주한다. b. 폭군에 대하여 시민의 권리를 보호하           기 위하여 위정자(magistrate)들의 항거는 용납되어야 한다. c. 참된 종교가 거짓 종교에           의하여 탄압을 받을 때는 항거도 가능하다. 화란의 독립전쟁은 오렌지공 윌리암이 화란           의 직접 통치자로서 안트웹(Duke of Antwep)의 공작으로서 폭군 스페인 왕으로부터 시           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벌린 의로운 투쟁이란 것이다. 이 전쟁은 북쪽 화란은 개혁파 신           앙을 받아들이므로 끝났으나 남쪽은 스페인에 의해 점령당하고 북쪽(지금의 화란)은              1648년 웨스트팔리아 조약으로 완전 독립하였다.
      ④ 라이덴 대학 창설(Leyden university, 1575) 이 학교 교수인 알미니우스(Arminius,                 1560-1609)와 베자의 작정 신학 논쟁으로 1618-1619년에 도르트 공의회가 열려(the               synod of Dordt) 정통적 칼빈주의가 승리하였다. 고마러스(Francis Gomarus,                     1563-1641) 푸티어스(Gijsbert Voetius, 1589-1676)등의 정통신학자들이 도르트신경(the            Canons of Dordt, 1619)를 채택하고 칼빈주의 5대교리를 확정하다.
          a. 이중 예정(선택과 유기 : Unconditinal election to grace)
          b. 제한적 대속(Limted atonement)
          c. 전적 타락(Total depravity)
          d. 불가항력적 은혜(Irresistible grace)
          e. 성도의 견인(perseverance of the saints)
          도르트공의회 이후 화란은 약 70년간 경제 문화적으로 최성기(Golden age)를 이루게             되나 18세기 이후 침체하게 된다.
   ⑷ 그외 스코트랜드 장로교회, 영국 종교개혁들이 일어났으며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등에 개혁교회와 개혁파 신앙이 전파되었으며 지금도 체코, 헝가리, 개혁교회가 잔존하고         있다.

C. <재세례파(Anabaptists)>

Ⅲ-40. 재세례파의 종류에 대해서 말하라.
   ⑴ 현대에 와서 제3 종교개혁파(the third Reformation) 또는 종교개혁 좌파(the left wing of          the Reformation)라는 이름으로 불리워지는 재세례파는 그 당시에 이단 또는 과격한 종교         개혁가들이었다.(the Radical Reformation)
   ⑵ 이 운동은 대개 그 성격상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① 복음적 재세례파(Evangelical Anabaptists) : 스위스 형제단(Swiss Brethren), 메노나이           트(the Menonites)등 복음적이며 독립교회주의(Free Church)자들을 가리키며, 주로 스위           스와 남부 독일 지방에서 일어난 교회운동이다.
      ② 신령주의자(Spiritualists) : 주로 동부 독일을 근거로 한 이들로써 과격파와 온건파로 나           누인다.
      ③ 합리주의자(Rationalists) : 합리주의, 인문주의자들로서 나중에 소시니안파 등이 이에 속           한다.

Ⅲ-40. 복음적 재세례파의 활동과 성격에 대하여
   ⑴ 스위스 형제단은 쯔윙글리의 종교개혁이 성경의 원리에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더 철저        한 성경적 개혁을 요구함으로서 시작되었다. 그러므로 이들의 주장은 개혁교회가 일어난 동        일한 환경에서 더 철저한 성경적 교회 형태와 신앙생활을 원하였다. 그들의 모토는 “초대교        회”로 돌아가자 함이었다.
      ① 문자적 성경 해석
      ② 신자들만의 교회(believers Church) / 국가교회 반대
      ③ 권징으로서 출교(the Ban)
      ④ 유아 세례 반대
      ⑤ 정,교의 분리
      ⑥ 전쟁 반대
      ⑦ 도덕 생활 강조
      ⑧ 전도 강조
   ⑵ 쥬리히의 귀족 출신인 그레벨(Conrad Grebel C. 1498-1526)과 만쯔(Felix Manz)는 이미           1523년부터 쯔윙글리의 개혁이 너무 더디다고 헤어진 후 1524년에 유아세례를 반대하여          1525년에는 시의회와 마찰하게 되었으며 재세례를 베풀기 시작하였다.
   ⑶ 1527년 시의회에 잡혀 만쯔가 익사를 당하고(재세례파의 첫 순교자) 몇 달 후 그레벨도 병        사하였다. 1528년에는 후브마이어(Balthasar Hubmaier)가 신부직을 버린 후 재세례를 받고        수천 명의 개신자를 배출한 후 오스트리아 대공에 의하여 화형당하였다.
      1520년대에 스위스, 오스트리아, 남부 독일, 네덜란드까지 급속히 퍼져나갔다.
      개혁교회, 루터파교회, 카톨릭에 쫓겨다니며 숨어서 신앙생활을 하다가 1648년 웨스트 팔리        아 종교 평화 이후에 신앙 자유를 얻게 되었다.

Ⅲ-42. 메노파란 무엇인가?
   ⑴ 메노나이트(Mennonites)파는 로마카톨릭 신부이었던 메노 시몬스(Menno Simons,                 1496-1561)의 설교와 전도로 이루어진 종교 집단이다. 그는 화란 출신으로서 신부가 된지         1년만에 미사의 효력을 의심하고 고향에서 재세례파의 순교를 보고 감동하여 성경을 연구         한 끝에 유아세례를 반대하게 되었고 재세례파가 되었다.(1536)
   ⑵ 그는 과격한 정치적 세력으로 변한 과격주의를 피하고 온건파 노선을 취하였고 독일과 화        란 등지로 다니며 전도한 끝에 수많은 신자를 얻었다.
      스위스 형제단과 같은 신앙생활을 하며 독립교회를 주장하였다. 높은 도덕적 생활을 주장하        고 그 방법으로 수찬금지를 행하고 파문당한 자와 교제를 금하였다.(Shun)
      전쟁에 참여하지 않는 평화주의자이다.

Ⅲ-43. 신령파란 무엇인가?(the Spiritualists)
   ⑴ 성령론에 있어서 과격한 해석을 하는 이들을 가리킨다.
      ① 쯔비카우 선지자들(Zwikau prophets)이라 불리어지는 일군의 거짓 선지자들이 나타나서           성령의 직접적 계시를 받았다 하며 방언을 말하고 환상을 보며 임박한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과 새 예루살렘 도래를 전파하였다.
         토마스 뮌쳐(Muntzer)가 그들의 영향을 크게 입어 대표적 신령주의자가 되었다.
      ② 멜키오르 호프만(Melchion Hoffman C. 1500-1543)이 스트라스부르그에 새 예루살렘이            선다고 하였으며 그가 감옥에 갇히자, 네덜란드의 문스터(Munster)에 새 예루살렘이 도           래한다고 하여 많은 재세례파가 모여들었다. 1534년에 시를 점령하고 요한 마타이스              (John Matthys)의 지도로 로마 카톨릭 세력과 싸웠다. 그가 전사하자 라이든의 요한             (Joth of Leyden)이 시의회를 해산하고 12장로와 함께 신정(theocracy)을 베풀었다. 성내           에서 모든 물건을 공유하고 일부다처제를 허용했으며 재림을 대망하였으나 1535년 루터           파와 카톨릭파의 군대에 의해 성이 함락되었다.
   ⑵ 복음적 신령주의자(Evangelical Spiritualists)로는 슈펭펠트(Caspar Schwenckfeld,                  1489-1545)가 있다.
      ① 모든 육체적인 것의 이면에 신령한 것이 있으며, 하나님의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한 것이           아니며 하나님과 성령께서 다스리는 영적 왕국이며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도 “신령과 진           정”으로 해야 하며 기록된 성경 말씀과 제 2위인 “말씀”과의 차이를 주목하고 문자 배후           의 참된 뜻을 찾아야 된다고 하였다.
         성찬론에 있어서 “영적 음식”이란 주장을 하고 합당하게 먹을 수 있을 때까지 성찬중지           (Standstill)를 권하였다. 또한 “영화된 그리스도의 육체”(Spiritualized flesh of Chist)설           을 주장하였다.
      ② 슈펭펠트는 실레지아(Silesia)의 기사로서 궁전 관리이었으나 초기에는 루터의 종교개혁           에 동조하여 실레지아 개혁운동을 주도하였으나 카톨릭 반대파 때문에 지하에서 문서운           동과 설교를 통하여 일하였다. 수많은 저작을 남겼으며 루터와 칼빈에 의하여 이단으로           정죄 받기도 하였다.
   ⑶ 평화적 신령주의자 세바스챤 프랑크(Sebastian Franck, 1499-1542)는 조직교회를 부정하고        극도의 개인주의적 신앙생활을 강조하였다. 영적교회(Ecclesia Spiritualis)를 주장하고 성령        께서 인간 내부에 하나님의 말씀을 조명하여 주며 성경의 문자적 기록은 무가치하다고 주        장하였다.

Ⅲ-44. 합리주의자들이란 누구를 가리키는가?
   ⑴ 이들은 주로 반 삼위일체론자들로서(anti Trinitarian) 세르베투스(Servetus), 카스테리오           (Castellio) 나중에 소시니안파(Socinians)를 이루었다.
   ⑵  파우스트 소시니(Fausto Sozzini, 1539-1604)는 메디치家의 비서로 있다가 바젤을 거쳐 폴         란드에서 반 삼위일체설을 주장하며 교회를 세웠다. 폴란드의 개혁교회가 이 주장으로 일         색이 되었다. 그의 주장은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노를 다 풀어드리지 못하고 다만 어떻게         그 노를 풀어드릴 수 있는지 그 방법을 우리에게 보여주었을 뿐이다. 성령도 인간의 마음         속에 부어주신 하나님의 능력일 뿐이라 하였다.
   ⑶ 합리주의자들은 이성에 호소하고 종교자유를 옹호하고 사상자유를 주장하였다. 따라서 기독        교 인문주의자들 중에 동조하는 이들이 많았으며 특히 개혁교도들 사이에 이 사상이 많이        퍼지게 되었다.

Ⅲ-45. “신앙집단생활”파(Communitarian 또는 Christian Communism)란 무엇인가?
   ⑴ 타이롤(Tyrol)의 재세례파 야곱 훗터(Jacob Hutter d, 1536)는 뮨스터 함락 이후 재세례파에        대한 박해가 일어나자 타이롤의 재세례파를 규합하여 모라비아에 “신앙집단생활”을 시작하        였다.(1529-1536)
   ⑵ 권위주의적 장로체제를 통하여 엄격한 집단생활을 하였으며 특히 파문(Excommunication)        과 접촉금지(Ban)가 강화되었으며 재산공유, 생산공유는 특색을 이룬다.
      외부 사회와의 접촉을 끊고 하나님의 선택 받은 무리로써의 공동생활을 강조하고 스스로를        남은 자(the Remnanto)로서 예수님의 재림을 기다린다 하였다.
   ⑶ 신학적으로는 “포기”(Gelassenheit)와 “고난”(Suffering)을 내면적 평화와 명정(clarity)을 이        룰 수 있는 방법으로 간주하여 중세 수도원의 신비적 요소를 엿보이기도 했다. 이 집단           (Gemeinschaft)밖에는 구원이 없다고 믿었다.
   ⑷ 이들 외에 메노파, 아미시파(Amish)들도 공동생활을 하였다.

D. <로마 카톨릭 종교 개혁>

Ⅲ-46. 로마 카톨릭 종교개혁(Roman Catholic Reformation)이란 무엇인가?
   ⑴ 일명 반동 종교개혁(the Counter-Reformation)이라 하는데 개신교의 종교개혁의 영향으로        카톨릭 자체의 신학과 신앙을 재정의하고 정비하려는 운동이었다. 종교개혁과 터키의 콘스        탄티노플 점령으로 로마 카톨릭 교회는 “카톨릭”적 성격을 잃어버리고 남구라파에 국한된        기독교의 일부가 되었다. 1500년 이후 교황은 이태리인에 국한되고 30년 전쟁 이후에는 로        마 카톨릭 지역이 한정되었다.
   ⑵ 개혁운동은 ①개신교도들과 재연합하려는 운동과 ② 더 엄격한 카톨릭 노선을 주장하는 두        가지 운동으로 나타났다. 후자가 주도권을 잡은 카톨릭 개혁운동은 추기경 카라파(Cardinal        Caraffa 나중에 교황 바울 4세)의 주도하에 여러 개의 개혁 종단을 발생케 하였다.
      프란시스파의 지파인 카푸친(the Capuchins)과 예수회(the Jesuits)가 개혁 기관으로서 중요        한 역할을 하였다.
      교리적 재정비를 위해 트렌트 공의회(the Council of Trent, 1545-1563)를 열었다.

Ⅲ-47. 로욜라의 개혁운동에 대해서 말하라
   ⑴ 카톨릭 개혁운동의 주체는 스페인이었다. 이미 교회 내부에서 지메네스(Ximenes de               Cisneros)의 노력으로 성경 출간(최초로 인쇄된 희랍어 성경 : Complutensian polyglot,           1522), 도덕 향상, 알카라 대학(University of Alcala) 설립등으로 교육 향상을 가져왔다. 또         한 후앙 발데스(Juan Valdes)의 개혁 사상의 영향도 컸다.
       전통적으로 스페인은 카톨릭 신앙에 전투적이었으며, 찰스 5세는 신성로마제국 황제를 겸         하고 있어서 스페인 내의 종교적 통일을 이루어 놓았다. 한편 교황권에 대해서도 독립하여         독자적 교회로 발전하였으며 이들은 로마 카톨릭 교회의 교황을 옹호하기보다 전통적 카         톨릭 신앙을 옹호하려 하였다.
   ⑵ 익나티우스 로욜라(Ignatius Loyola C. 1491-1556)는 귀족 출신으로서 경험을 통하여 개혁        운동에 헌신하게 되었으며 강한 종교적 경험을 통하여 개혁운동에 헌신하게 되었으며 그의        “영적 수련”(Spiritual Exercises)이란 책에는 하나님과 교황에 대한 전투적 복종이 나타나         고 있다.
      “오, 주여! 내가 가진 모든 것, 내 의지, 지능, 기억, 자유를 받아주소서. 당신이 내게 주셨으         니 당신께 돌려드리나이다. 모든 것은 당신의 것입니다. 전적 당신의 뜻대로 처분하시고          내게는 당신의 은혜만, 사랑만 주옵소서. 그것이면 만족하겠나이다.”
       이런 정신으로 예수회(the Jesuit Order)를 창단하고 하나님과 교황과 교단 총수(general          of the order)에게 절대 충성하는 교회 기관이 되었다.
   ⑶ 이들은 교육을 강조하고 개신교도들을 권면, 강권하여 다시 카톨릭으로 개종시키고 해외전        도로 교세를 펼치는데 힘을 썼다. 교육과 해외전도는 그들이 남긴 업적이다. 이들이 폴란드        를 다시 카톨릭으로 동구라파를 다시 카톨릭으로 되돌리었고 동양 선교, 아메리카 선교를         시작하였다.

Ⅲ-48. 트렌트 종교회의(the Council of Trent)에 대해서 설명하라.
   ⑴ 종교개혁으로 인하여 카톨릭의 교리를 재정비할 필요에서 개최된 이 회의는 로마 카톨릭         교회의 하나의 분수령이 되었다.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 제 19차 세계공의회라 인정하는 이        회의는 1545년 교황 바울 3세의 주제로 열렸다. 황제 찰스 5세는 루터파와 로마교와의 화해        를 바랐으나 교황은 자파 세력을 공고히 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갔다. 1563년에 끝난 18년간        의 긴 회의였다.
   ⑵ 루터의 “이신득의” 교리를 반대하고 겉으로는 “아구스부르그 고백서”와 비슷하나 가장 근본        이 되는 구원론에 있어서 신인 협동설과 믿음을 선행으로 보는 주장을 양보하지 않았다. 이        회의에서는 다름 교리를 재확인하였다.
      ① 성경의 권위 : 구약, 신약, 외경.
      ② 표준 성경 : 라틴 벌게트역(the Vulgate)
      ③ 교회만 성경 해석권을 가짐.
      ④ 7 성례의 집행은 안수 받은 신부만 할 수 있음.
      ⑤ 만인 사제설 반대.
      ⑥ 성례는 은혜의 힘을 가지고 있음. 자동적 효력.
      ⑦ 화체설 인정.
      ⑧ 미사는 희생이다.
   ⑶ 교회 내의 부정을 근절하는 법률을 만들고 면죄부 판매를 강요치 않았다. 개혁 교황들이 나        올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