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교회사

2007.05.20 17:26

선지자 조회 수: 추천:

          ■ 現代 敎會史
선지자선교회

(1) 상식 문제집

< 0. 서  론 >
0-1. 현대 교회사(the Modern Age)의 시대적 구분에 대하여 말하라.
  현대 교회사는 1648년 웨스트팔리아 宗敎平和(the Peace of Westphalia)이후 지금까지의 기독교    회의 역사를 말한다.
  편의상 다음과 같이 세분할 수 있다.
    (1) 1648 - 1789 웨스트팔리아 평화에서 불란서 혁명까지
    (2) 1789 - 1870 혁명이후 19세기 전반
    (3) 1870 - 1914 제19세기 말에서 제1차 세계대전까지
    (4) 1914 - 19.... 1차대전에서 세기말까지
  
   ( * 본 강의에서는 제17, 18세기만 다루고, 지난 학기에 이어서 영국 종교개혁과 그 영향이        어떻게 제17, 18세기로 이어지는 것을 배우고자 한다.)

0-2. 현대 교회사의 시대적 특성은 무엇인가 ?
    (1) 脫敎會的 世俗國家의 形成
    (2) 世俗文化의 發達
    (3) 市民 社會 形成
     (4)機械文明의 發達

0-3. 현대 교회의 특성은 무엇인가 ?
   (1) “西歐의 世俗化” (the Secularization of the West)에 따라 敎會專制의 活動을 지양하고,
       獨立된 종교적 영역을 찾아 독립교회(Free Churches)로 존재하고, 개인의 경건생활에
       힘쓰며, 신자들만으로 구성된 독립기관(Voluntary associations)을 창설하여 종교운동을
       하게 되었다.
   (2) 이 時期에 로마 카토릭교회는 중남미(中南美)지역과 아세아로 세계 선교를 하였으나 종교         적 세력이 미약하고, 그 대신 개신교회(protestant Churccches)는 먼저 미국의 건국과 더불         어 신 세계의 북음화에 이어,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세계 각지로 선교활동을 벌려 소위          “개신교 시대” (the Protastant Era)를 이루게 되었다.
   (3) 現代 敎會는 문화적으로 정치적 민주주의(political democracy), 박애주의(humanitarianism),
        현대기술(modern technclogy), 자본주의 경제체제(capitalism)등 현대사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교파주의(denominationalism)의 발생
        전통적 로마 카토릭 교회관은 지상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대표한다는 교황중심의 唯一교          회(the Church)와 이에 반대하는 “이단 종파” (sects / sectaries)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현대교회의 특색은, 로마 카토릭 교회까지도 기독교회의 일개 敎団
       (a denomination)으로 간주하며, 群小 교회들도 기독교의 한교단으로 용납한다.
       이것은 제17세기 영국과 화란의 칼빈주의자들의 독립교회(the Free Churches)운동의 결과
       이며, 전통적인 기독교 교리를 견지하고 성경을 유일한 권위로 삼은 여러 가지 교단의 병         존이 가능하게 되었다.
       Roma 교회는 교회의 傳統을 권위로 보고 성경도 전통으로 본다.
   (5) 敎理史的으로 볼 때 淸敎主義에서 正統主義와 敬虔主義로 거기서 복음주의로 이행하고 있         다.  또한 合理主義 영향으로 합리주의 신앙사상이 교회에 침투하고 있다. (자유주의)

      < 1. 英國 宗敎改革(제16, 17세기 ) >
1-4. 영국 종교개혁의 意義를 말하라.
제16세기 종교개혁 운동의 마지막 활동이 영국에서 일어나고 개신교의 한 형태인 영국 국교회
(the Anglican Church)의 성립으로 세계 교회에 미친 영향이 지대하다.  영국이 개신교 신앙의 수호국이 되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발달과 함께 대영제국을 이루게 됨으로, 마치 초대교회를 로마 사람들이 중세교회를 독일인들이 주도한 것처럼, 현대교회는 영국사람들이 주도하게 되었다.

1-5. 영국 종교개혁의 예비적 단계에 대해서 말하라.
(1) 종교개혁의 불씨가 오래 전부터 계승되어 왔다.  제10세개 던스탄(Dunstan 908-988)의 수도      원 개혁운동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스콜라 철학에 반기를 든 던스 스코투스(Duns Scotus       C. 1264-1308)와 윌리암 오캄(William of Occam C. 1300- 1340) 의 신 스콜라 신학의 발달,      그리고 위대한 종교개혁의 선구자 요한 위클리프(John Wycliff c. 1320-84)와 그의 “롤라드       운동(Lollards)들이 벅써 제14세기에 개인적 신앙, 절대적 권위를 가진 성경관, 하나님의 선택      에 대한 바른 신앙을 가지고, 로마 교황과 신부들의 종교행사가 비성경적음을 가려내어 공격      하였다.
    한동안 폅박을 받았으나 제15세에 이르러 큰 사회적, 동교적 세력이 되었다. 제16세기 초에는      기독교 인문주의자들이 나타나서 종교개혁의 길을 열게 되었다.
  
(2) 1531년 토마스 빌네이(Thomas Bilney C.1495-1531)는 루터의 종교개혁사상에 힘입어 개혁을     주장하다가 순교하였다. 루터의 저작이 케임브릿지와 옥스퍼드 대학에서 읽혀졌고, 에라스무스     의 희랍어 성경과 라틴어 역본이 옃향을 미쳤다.  휴 라티머(Hugh Latimer C. 1485-1555)는      빌네이의 감화를 받아 영국 종교개혁 은동의 지도자가 되었다.

(3) 1536년에는 유명한 성경 번역가인 위리암 틴테일(William Tyndale C. 1494-1536)이 교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그는 대룩에 건너가서 신 . 구약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였느데 (첫 출판은      1525년 콜론느와 보름스에서 함) 신약은 에러스무스의 라틴역, 루터역, 벌게트역을 참고로 하      고, 구약은 70인역과 루터역을 참고하여, 원어에서 직선적이고 생동감이 넘치는 영어로 번역하     였다. 이것이 나중에 흠정역 성경(the Authorized Version)의 기초가 되었다. 루터의 이신득의     교리와 성경의 최고 권위성을 가르쳣으며, 성찬론은 쯔윙글리의 주장을 따랐다.

1-6. 영국 종교개혁 당시의 류더 王家의 계보를 약술하라.
  英國 宗敎改革에 류더王家(the House of Tudor 1485-1603)의 역할이 컸다.
  (1) 헨리 7세(Henry Ⅶ, 1485-1509)
  (2) 헨리 8세(Henry Ⅷ, 1509-1547) : 종교개혁을 주도한 왕이며 6명의 왕비를 차례로 맞았다.
  (3) 에드워드 6세(Edward Ⅵ, 1547-1553) : 왕비 진세무어(Jane Seymour)의 아들로 개신교인이                                             다.
  (4) 메리女王(Queen Elizabeth 1558-1603) : 둘째 왕비 안 볼레인의 소생으로 개신교도이며, 영                                              국 국교회를 확립하였다.

1-7. 핸리 8세의 종교개혁과 영국 국교회의 독립에 대해서 말하라,
(1) 영국 종교개혁의 제일 중요한 특성은 국가교회가 한 단위가 되어 로마 카토릭교회로 부터         독립한 것이다,  따라서 루터나 칼빈의 개혁운동이 민중에서 시발이 되었음에 반하여, 영국       의 개혁운동은 교회와 정치의 首長인 王으로부터 시발되었다.  타락한 로마 카토릭  교회를       대신하여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그리스도의 교회를 계승하며, 교리와 교회 제도를 성경의 규       범에 따라 새롭게 하려 하였다.
  
  (2) 성립과정: 국왕 헨리 8세의 정치적 야망과 개인적 경건이 크게 작용하였다.  본래 성직자가       되려고 옥스퍼드에서 신학공부를 하였으나, 형 아서의 죽음으로 1509년에 왕위에 오르게 되       었다.
     아버지 헨리 7세의 정력으로 교황의 제가를 얻어 형수 케더린과 결혼하였다.  캐더린은 신성       로마제국 황제로 선임된 (1591년) 찰스 5세의 고모로서 강력한 카토릭 세력을 배경으로 삼고       있었다.  영국의 독립을 열망하는 헨리 8세는 스페인 세력의 견제를 위하여, 아들을 못낳는       다는 구실로 캐더린 왕비와 이혼을 원하였다.  당시 신성 로마제국 황제의 영향햐에 있던 교       황 클레멘트 6세가 이혼 허가를 보류하자, 헨리 8세는 토마스 크렌머(Thomas Cranmer           1498-1556)를 기용하여 英國 교회 獨自的으로 캐더린과의 결혼이 무호임을 선언하고, 교화의       권위를 부정하고 영국 교회의 首長은 왕 자신이며, 국교회의 독립을 이루었다.  1530년에 켄       터베리 대회(the Convocation)를 열고 국왕의 최고권위(the Royal Supremacy)를 선언하고,        1532년에는 의회가 로마 교황청에 납부하는 성직 수입세(the annates)를 폐지하고, 1532년에       크렌머가 켄터베리 대주교가 되자, 1533년에 헨리 8세는 총회 안 볼레인과 정식 결혼하였다.       이때 교황은 캐더린의 결혼이 유효함을 선언하고 헨 리를 파문시켰다.  1534년에 의회는 피       텅說를 페지하고 국화을 “교회의 최고 首長” (the Supreme head of the Church)임을 공포하       였다.

(3) 로체스터의 감독 존 피셔(John Fisher)와 토마스 모아(Thomas More)가 끝까지 국왕의 교회       수장권에 반대하다가 처형당하였다.  

1-8. 헨리 8세의 개혁 내용은 어떠하였는가 ?
   (1) 왕권 대리자(Vicegerent)인 토마스 크롬웰(Thomas Cromwell)은 1540년까지  모든 수도원         을 폐쇠하고 순례 행위를 금지할 목적으로 더함의 쿠트버트(Cuthbert at Durham) 와 켄터         베리의 성 베케트의 무덤을 헐어버렸다. 수도원 제산을 대학교육, 새교구 설립, 수도사와          수녀의 재활기금으로 사용하고, 또 한편 귀족들과 국왕의 수입으로 삼았다.
     영국 교회의 오랜 전통이며 사회구조의 중요한 제도이었던 수도원의 붕괴와 더불어 회의발전이 급속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종교생활은 교구(Parish) 中心이 되고, 수도원의 경제활동은 시민의 수중으로, 교육 및 사회구제 활동은 국가의 활동으로 이관되었다.

(2) 헨리 8세 시대의 종교 개혁중 교리적인 문제를 루터교리가 절충적인 성격을 띄게 되었다.
    1536년 10個信條(Ten Articles)에는 성례의 종류를 성찬, 세례, 참회(Penance)등 세 가지로 정하고, 믿음과 행위로 義롭게 된다고 하였다.  1539년에 공포한 6個信條에서는 화체설을 다시 주장하였다.

(3) 이 시대에 카버데일譯 성경이 출간되고(소위 Coverdale Version), 매류설을 개역한 大 聖經(the Great Bible)이 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비치되고 사용되었다.

1-9. 에드워드 6세의 종교개혀에 대해서 말하라.
(1) 1547년 9세의 어린 나이로 등극하였으나 개신교도인 외삼촌 소머셋 공작(Duke of Somerset)의 섭정으로 영국 종교개혁 운동이 실질적으로 결실하게 되었다.
    6개신집를 철회하고, 우상제거, 평신도에게도 두가지(떡과 포도주)성찬을 주고, 신부들의 결혼을 허용하였다. 대륙에서 피터 마터(Peter Martyr), 오키노(Ochino), 마틴부서(Martin Bucer)등의 개혁파 신학자를 초청하여 개혁신앙을 교회의 신학으로 받아드렸다.  
    지금까지 영국교회의 신학은 개혁신앙(Reformed faith)이 基調를 이루고 있다.

(2) 에드워드 6세의 “제일 기도서” (the Book of Common Prayer, 1549)를 작성하여 의회의 통일령(the Act of Uniformity)으로 모든 교회에서 사용하게 하였다.  1552년의 개정판
    제2 기도서에서 “제단” (altar)이란 말대신에 “상(table)" "신부”(priest)란 말대신에 “성직자 또는 목사”(minister)등으로 고쳐 쓰고, 통일령으로 평신도의 주일성수를 명령하고 어길때에 엄벌하였다.  
    크렌머는 1553년에 42개信條(the Forty-two Articles of Reoigion)를 작성하고 王命으로 공포하여 그 당시 영국 국교회의 공식 신조가 되었다.  
    에드워드 6세의 종교개혁은 개혁파 노선을 따랐으며 독특한 영국적 성격이 가미되었다.

1-10. 메리 여왕(女王)(Queen Mary 1553-1558)의 반동졍책에 대해서 설명하라.
      에드워드 6세가 재위 6년만에 죽자 캐더린의 소생인 메리가 여왕이 되었다.
      이에 카톨릭 세력의 복귀로 신교도들은 대륙르로 피난가서 쭈리히, 스트라스부르그, 바    젤, 네바, 하이델베르그 등지에서 신교 “종교교육”의 수련을 쌓게 되었다.
      피난을 가지 않은 신교도들이 유명한 라티머(Latimer), 리들리(Ridley), 크렌머           (Cranmer)등과 함께 순교하였다.
    
    이 大 박해 때에 라티머는 리들리에게 “리들리 先生, 위로를 받아요,  하나님의 은혜로 오늘 우리가 영국에 아무도 끌 수 없는 촛불을 켜게 되었도” 하며 순교하였고, 크렌머는 1556년에 화형을 받을 때에, 만인이 보는 앞에서 7번이나 개혁신앙을 저 버리는 문서에 서명한 자기 오른손을 타오르는 불길 속에 던져 넣어 태우면서 불신을 회개하였다고 한다.
    멜리 여왕은 궁중에 다시 로마 카톨릭 예배의식을 회복시키고, 감독들을 복권시켰으며, 의회는 몰수한 재산은 변상하지 않았으나, 여왕의 뜻대로 통일령의 철폐, 공동기도서의 사용금지, 신부의 결혼 금지 등 카톨릭 종교법을 재활용하였다.  그러자 교황청은 영국교회를 세계의 카톨릭교회로 복귀시킨다는 칙령을 발표하였다.

1-11. 엘리자벳 女王(Queen Elizabeth 1558-1603)의 종교정책에 대해서 말하라.
(1) 메리 여왕의 병사후, 엘리자벳이 계승하여 이후 반 세기간의 집정으로 영국 국교회는 다시 개신교회로 확립되고, 종교 문제의 안정과 함께 국력이 신장되고 문화가 발달하여 그의 치세기는 영국, 역사상 황금기를 이루었다.
(2) 종교정책은 개혁신앙을 기초로 하되 국내의 카돌릭적 요소와 신교적 요소를 조화시켜 가장 현실적으로 유용한 형태인 영국 국교회를 제도적오로 확립시키었다.  아버지 헨리 8세의 정치적 종교적 이상을 구체화시킨 “아들보다 귀한 딸” 이었음을 증명하였다,
    1559년에 首長令(the Act of Supremacy)을 선포하고 교황의 권위를 인정치 않고 교황청에 대한 세금과 고소를 금하였으며, 다시통일령(the Act of Uniformity)을 내려 개정판 공동기도서 사용과 주일성수, 성직매매 금지, 성상 성화 파괴, 신부 결혼을 명령하였다.
(3) 영국 국교회는 처음으로 교화의 임명대신, 주교(감독)들이모여 파커(Mathew Farger)를 켄터베리 대주교로 성별시키고 사도적 계승에 따른 영국 국교회의 대감독으로 임직케 하였다.  로마 교회는 1896년에야 영국 국교회제도를 불법이라 정죄하였다.
(4) 信條로서 39個信條(the Thirty-nine Articles)를 영국 교회의 신조로 공포하였다.
(5) 리챠드 후커(Richard Hooker c.1554-1600)등은 감독제도(Episcopalism, / Anglicanism)릎 찬성하였으나 아직 소수이긴하나 청교도들(puritans)과 독립교회 교인들(Incependents)은 엘리자벳의 국교주의에 반대하였다.
    그러나 다수의 국민은 종교적 안정을 원하였으며, 다른 서구 제국에 비하여 안정세격을 빨리 구축하여 근대국가로 발전하는데 큰 힘이 되었다.

1-12. 리차드 후커의 감독제도 옹호론에 대해서 설명하라.
(1) 1559년 엘리자벳 여왕의 종교문제 확정을 계기로 영국교회의 감독제도는 확립되었으나, 로마(Rome)와 제네바(Geneva)의 반발을 받게 되었다. 이때에 리차드 후커등은 소위
    “中道論”(Via Media /the Middis Way)을 펴 감독교회의 입장을 밝히게 되었다.  특히 청교도들은 감독교회정치(감독주의, Episcopalism)가 완전한 개혁에 미치지 못하는 미완성이라고 비난을 가하였다.
    여기에 대하여 감독주의 변증가들은 성경, 교부들의 저작, 전승(tradition),역사 인간의 이성에 근거하여 타당성을 변호하였다.  
(2) 후커의 선배, 존 주월(John Jewel 1522-1571)은 “영국교회 변증” (Apologia Ecclesia Anglicane, 1562)을 써서 일반적 종교개혁의 필요성과, 교부들에 근거하여 감독제도의 합법성을 변증하였다.  여기에 힘입어 후커는 “교회정치법에 관한 논설”(Treatise on the Laws of Ecclesiastical Polity, 1594-1662)을 통하여 감독정치를 옹홍하였다.  여기에 깊은 철학적 신학이 전개되고 있다.
  (a) 청교도들의 성경주의에 반하여, 자연법, 즉 하나님의 이성에 근거하고 세계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이 법칙이 최고의 권위이며 여기에 따라 성경을 해석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교회의 형태와 제도는 불변의 것이 아니며 역사적 형편에 따라 변화한다.
    교회도 사회와 같이 시대적 형편에 따라 교회법을 제정할 수가 있으며, 가장 합리적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비록 영국교회가 개혁은 되어도, 중세교회와 기본적인 연속성은 있다고 하였다.
  (b) 청교도들이 장노정치(Presbyterianism)가 성경적 원리이며 교회형태의 규범임을 주장함에 반대하였다.  그러나 후커는 감독임직(episcopal ordination)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등 감독주의의 절대성을 주장하지 않았으며, 다만 역사적 편의와 개체교회의 교회실증법 제정 권리를 주장하였다.

1-13. 엘리자벳基의 청교도들의 성격에 대해서 설명하라.
(1) 발생: 메리 여왕의 박해서, 대륙으로 피난갔다가 돌아 온이들이 엘리자벳여왕의 종교문제       해결에 불만을 표시하고, 제네바개혁의 모형대고 영국 국교회를 완전히 정화(purify)       하여 모든 비성경적 요소를 배제하고자 하였다.
(2) 종류 : 청교도들은 특정한 조직을 갖추지 않았으며, 국교회 내부에서 철저한 개혁을 시도        하였다.
    (a) 성복논쟁(Vestiarian controversy)을 통하여, 신앙양심에 어긋나는 성복 착용을 간제합     에 반대하는 청교도들이 있었다. 이것은 만인제사장 원리에 어긋난다고 하였다.
    (b) 성찬을 받을 때 무릎을 꿇게 하는(kneeling)예배의식에 대하여 반대하는 무리들이 있      었으며
    (c) 마지막으로 장노 정치제도가 성경적이라 하여 감독주의를 반대하는 운동이 일어났다.
       교인들의 목사 선출권을 주장하고 감독, 신부, 목사의 직분의 동등성을 주장하였다.
(3) 신학 : 철저한 성경주의를 취하고 문자적, 일상적 해석을 하였다.
    신학체계는 칼빈주의이며 점차 계약신학파(covenant theology / 또는 Federal Theology)경향을 취하게 되었다. 은혜계약과 행위계약을 구분하였으며, 인간의 하나님께 대한 “의무”(duty)를 항상 강조하였다.  거기에 따라 인간상호간의 계약과 의무이행, 국민과 국가간의 계약관계까지 생각하였다.  실천을 강조한 신학이며, 생의 전영역에 미치는 “ 신앙생활”을 강조하였다.
(* ⓐ후기에는 엄격한 칼빈주의보다 중도적 칼빈주의로, 그 다음에는 알미니안적 신학을 받아   드리는 이들이 많아졌다
   ⓑ 행위를 강조하다가 교리를 소홀히 해서 알미니안주의가 일어났다. )

(4) 초기의 청교도들:
(a) 토마스 카트라이트(tomas Cartright 1535-1603):
    16세기 청교도들중에 가장 유능한 인물이었다.  켐브리지의 신학교수로 있으면서 엘리자벳의 감독주의를 비판하고 의회에 대하여 장노체재를 택할 것을 건의하였다.(1572)  추방,투옥등 수많은 고난을 당하였으나 에리자벳 사후(死後) 제임스 1세의 왕위 계승시 천인청원(the millenary petition 1602)을 작성 하였다
(b) 왈터 트레브스(Walter Travers):
    켐브리지 교수였으며, 대륙에서 베자와 교유한 후 귀국하여 영국교회의 개혁운동의 지도자가 되었다.  39個信條를 승인하지 않으므로 설교권을 얻지 못하고 대륙에 가서 화란 영국교회 담임모교사가 되었다. 그의 주저(主著) “교회 권징”은   장로제를 변증한 청교도들의 지침서이었다
(c) 윌리암 퍼킨스(?-1602):
    켐브리지의 교수, 영국 청교도의 사도.

Ⅰ-14  초기의 독립파에 대해서 설명하라
    청교도들이 교회내의 정화운동을 펴 나가려함에 대하여, 독립파(Independents) 또는 분리주의자(Separatists)들은 “믿는 이들” 만으로 구성된 독립교회를 주장하였다
    교회관에 있어서 한 개의 단위교회의 독립을 주장하고 교인간의 약속과 그리스도의 성약(holy covenant)에만 근거하여 모이고, 그 중에서 철저한 민주적 방식으로 목사와 직분들을 선출하였으며 , 개교회는 타 교회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으려했다.  이들이 나중에 회중교회(Congregational churches)의 시초가 되었다.
    초기의 분리주의자로 로버트 브라운(Robert Browne ?-1633)이 있다. 브라운파라고 불리워 졌다

Ⅰ-15 , 제 17세기 영국 왕실의 형편과 교회사의 의의를 설명하라.
  제17세기에 들어서자, 스투아트 왕가의 치세가 시작되며, 스투아트 왕가의 왕권신수(divine right)과 청교도들의 신앙의 마찰로 청교도혁명(puritan Revolution 1642-1649)이 일어나며, 그후에 왕정복고(the Restoration, 1660)그리고 명예혁명(the Glorious Revolution, 1688)등의 사건이 연속되고 영국에 개신교가 완전히 정착하며 다른 교파들도 종교자유를 허용받게 된다.
  
    <스투아트 왕가의 연보> (the House of Stuart, 1603-1714)
    (1) 1603-1625 : 제임스 일세(James 1 )
    (2) 1625-1649 : 찰스 일세(Charles 1 )
     *  1649-1660 : 공화정(Republic)
    (3) 1660-1685 : 찰스 이세(Charles Ⅱ )
    (4) 1685-1688 : 제임스 이세(James Ⅱ )
    (5) 1689-1702 : 윌리암과 메리(William Ⅲ and Queen Mary, 제임스 이세의 딸)
    (6) 1702-1714 : 앤 여왕(제임스 이세의 딸)

1-16. 제임스 일세의 종교정책은 어떠하였는가 ?
  (1) 보래 장노교회에서 교육을 받아 제임스 6세로서 스콧트란드의 왕이 되었으나 1603-1625   까지 영국 왕을 겸하게 되자 수많은 청교도들의 기대와는 달리, 영국  곡교회의 감독주   의 노선을 취하여 “감독없이는 국왕도 없다” (No bishop no king)는 원리를 따랐다.
  (2) 로마 카퇵측에서 왕과 왕자를 폭살시키려는 “폭약음모” (Gunpowder plot)가 있는 이후,   국민 감정이 반 카노릭으로 점차 굳어지므로 정책적으로 카토릭에 보인 호의를 포기하   고 1640년 신부를 추방하였다.
  (3) 청교도들이 점차 세력이 커지게 되고, 국왕이 1618년 유희서(the Book of Sports)를 발   표하여 주일에 춤추고 경기하며 민속놀이를 권장하자 국왕의 비성경적 문화정책에 반대   하였다,  청교도들은 “일요오후 강의” (Lecturships for Sunday afternoons)를 통하여 주   일 성수, 성경 읽기, 가정예배 깨끗한 도덕생활을 가르치고, 시편찬송가를 애창하게 하였   다.

1-17. 흠정역 성경이란 무엇인가 ?
  (1) 흠정역 성경(the Authorized Version)또는 제임스 국왕역(King James Version)성경은    1604년 청교도들과 감독들이 헴턴궁에(Hampton Court)모여 새왕의 취임과 교회 정화를   의논하던 중에 공동 성경번역에 합의하게 되었다.
  (2) 국왕 제임스 일세가 54명의 성경학자를 임명하고 6대로 나누어 번역하게 하고 최종적으   로 14명의 위원이 검토하여 출간하게 하였다.  번역은 1607년에 시작하여 1611년에 출판   되었다.  루터설과 달리 어느 한 사람의 번역이 아니고, 54명의 학자들이 한 마음이 되   어 번역한 것이며, 기존의 감독성경(Bishop's Bible)제네바 성경(Geneva Bible), 루터역   등 수 많은 번역본을 참고하고, 새 시대를 위한 참신한 성경을 원어에서 번역해 내었다.  
    문체는 장중하고 음율적이며, 그 당시로서는 현대적이며 일상적 언어로 역출되었다.
    그 후에 개역이 있었으나, 영국교회의 표준성경이 되었다.  기독교회의 보물이 되었다.

1-18. 침례교회(Baptist Churches)의 설립에 대해서 설명하라.
  (1) 제임스 일세 치하에 1612년 처음으로 침례교회가 섰다.
    먼저 화란 암스텔담에 영국인 존 스미스(John Smyth ? -1612)가 처음 침례교회를 세웠는데, 그는 회중교회에 속한 분리주의자로서, 회중교회가 엄격한 칼빈주의 노선을 따르고 유아세례를 실시하자 거기서 분리하여 알미니안 교리를 따르며 성인세례를 주장하는 독립교회를 세우게 된 것이다.  1612년 그가 죽자 일부는 화란의 메노파와 합하고, 일부가 토마스 헬위스(Thomas Helwys)의 지도로 영국에 돌아와 런던에 교회를 세웠다.
  
  (2) 알미니안 교리를 가진 침례교인들을 “보편” 침례교인(“General" Baptist)이라 부르며, 이와 별도로 영국 내에서 회중파 교회에서 분립하여 계속 칼빈주의 교리를 따라 특별 선택을 주장하는 ”특별“ 침례교인(”Particular" Baptists)들의 교회가 생겨났다. 그러나 모두 성인 세례와 독립교회(free churches)를 주장하는 점은 같다.

1-19. 찰스 일세와 영국교회의 고교회(高敎會, the High Church)화에 대해서 설명하라.
  (1) 찰스 일세(1625-1649)때에는 벌써 청교도들의 세력이 커졌으며 정치적 경제적 활동이     컸다.  이들의 여망을 무시하고 고교회 정책을 썼다.  국교회의 교리와 제도를 로마 카    토릭쪽으로 선회시키는 정책이었다.  켄터베리의 대 감독 윌리암 라드(William Laud,     1573-1645)는 송교재판소(the High Commissnters)를 강제로 고교회 교리와 제도를 따    르게 하였다.
  (2) 특  성 :
    (a) 신학적으로 알미니안 교리와 로마교회의 교리를 따름
    (b) 소위 아름다운 예배를 중시하며, 정교한 의식을 개발하려함.
    (c) 감독 직의 중시
    (d) 다시 교회용어 가운데 “성찬대(상)”를 “제단” 이라 성직자를 “신부”라 고쳐 부름
    (e) 왕권신수설을 옹호하고 정치적으로 왕당파에 속함.
  (3) 이러한 정책의 결과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 청교도들과 크게 마찰이 생기게 되었다.
     라드 대감독은 “일요오후 강의”를 폐지시키기까지 하였던 것이다.

1-20. 청교도 혁명에 대해서 설명하라.
  (1) 청교도 혁명(Puritan Revolution 1642-1649)의 발단 :
   (a) 역국내부에는 종교개혁이후 두 개의 사상이 발달하였는데, 하나는 영국 국교회의 감독    주의를 따르고 국왕의 절대권(Absolutism / 또는 Divine Right)주장에 동정적인 보수적    사상과 : 하나는 주로 청교도들과 독립파들의 사상으로 정치 및 종교적으로 공화적 민    주제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영국은 불란서와 달리 온전한 절대군주 사상과 함께 전통    적으로 계약에 의한 통치라는 계약사상의 전통이 있었기 때문에 평화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찰스일세가 고교회 정책과 절대권(Absolutism)를 강력히 행사하여 다시 로마     카토릭 교회제도와 절대 군주국으로 영국을 이끌어 가려 하자, 이미 의회내에 다수 세    력을 차지한 청교도들과 둑립교인들이 혁명을 일으키게 되었다.
    
   (b)또 한편 137년 찰스 일세가 스콧트란드(Scotland)에 감독제도와 공동기도서를 사용하도    록 강요하도록 강요하자 스콧트 인들이 국민계약(the National Covenant, 1638)을 맺고    찰스 일세에 대한 무력 한쟁을 벌려 이것이 내란(civil war)으로 변하였다.
  (c) 찰스 일세는 영국 의회를 불신하여 1629년에서 1640까지 의회를 소집하지 않다가 스 콧    트란드 반란을 진압할 목적으로 소위 “단기의회(the Short parliament, 1640)를 소집하    였다가 해산하고, 다시 소집된 ” 장기의회“ (the Long parliament 1640-1653)는 오히려    국왕의 정책에 반대하고 나중에는 혁명을 주도하였다. 1640-1653년 기간동안은 의회의    최고 통치자이며 행정수반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장기의회는 1642년에 올리버 크롬웰의 시민군을 조직하여 국왕과 대항하게 하고, 1643    년에 스콧트란드의 “신성동맹” (The Solemn League and Covenant) 조약을 받아드리    고, 올리버 크롬웰은 스콧트군대와 함께 찰스 일세의 군대를 격파하여 (1645-1646) 청    교도 혁명을 성공시켰다. 찰스王은 나중 1649년에 처형되었다.
(2) 결과: 장노제가 승리하고, 감독제도와 공동기도서 사용금지, 올리버 크롬웰의 공화정치 시대가 되었다. 교회적으로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대 소 요리문답서 및 정치조례가 체택 되고, 종교적 자유가 선포되었다.

1-21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대해서 설명하라.
  (1) 웨스트민스터 총회(Westminster Assembly, 1643)는 장기의회가 영국교회 rour을 위하    여 수집하도록 명한 종교회의이었다.  30명의 평신도와 121명의 목사들이 모이도록 되    었는데, 목사들 중에는 장로교인이 다수이고, 국교회 목사들은 소수 이였으며, 그 외 소    수의 독립교회의 목사들이 있었다.  1643년 7월1일 회의가 개최되었을 때에는 국교회     목사들은 찰스 왕에 대한 충성 때문에 참석을 거부하였다.  늦게 스코틀란드에서 8명의    위원들이 참석하였다.  1643년에서 1649년까지 계속되었는데 무려 1163회의 회의를 하    였으며, 그 후에도 간혹 교회 재판을 열기도 하다가 공식적인 폐회 없이 끝났다.
  
  (2)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The Westminster Confession, 1646) : "신성 동맹“ 의 조건에    따라 영국 스톳트란드 아일란드 삼국에 맞는 공동 신앙 고백서를 제정할 필요를 느껴    1643에서 1646에 이르기까지 27개월간에 작성된 신앙고백서이다.  전문 36장으로 되었    으며 칼빈주의 신학이 기초가 되고 있다.  선택교리와 계약교리, 그리고 교회론이 특출    하고, 신앙행위로는 주일성수와 휴식이 강조되고 있다.  영국 의회는 1648년에, 스콧트    란드 장노교회 총회는 1647년에 공식교리로 인정하였다.
  
  (3) 웨스트민스터 대 . 소 요리문답(Westminster Catechisms, 1647) : 주로 웨스트민스터 신   앙고백서의 내용을 간결한 문답 형식으로 작성하여 기독교 교육에 사용하였다.
     대 요리문답(Larger Catechism)보다 소 요리문답(Shorter Catechism)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소요리 문답 제일 문이 훼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전 장노교인들의 신앙생활의   특색을 잘 나타내는 名句이다.  
  
  (4) 웨스트민스터 공중 예배서(Westminster Directory for the Public Worship of God,      1645) : 영국 국교회의 예배서인 공동기도서(The Book of Common Prayer)를 대치하여   장노교 원칙에 따른 예배서를 작성하였다.  일반적 원칙만 설명하고 정해진 형식이나 의   식을 강요하지 않는다.  예배는 기도로 시작하여, 두 번의 교훈(또는 공부), 시편노래, 설   교 순으로 하며, 오전 예배 후에 성찬을 필요에 따라 행하도록 하였다.  그 외에 세례,    환자 방문, 그리고 결혼 예식에 관한 지시을 하며, 장례는 의식 없이 행하도록 하였다.
     주일 외에는 다른 종교절기를 다 폐하고 지키지 못하게 하였다.

1-22. 크롬웰 공화정치와 영국교회의 형편에 대해서 설명하라.
  (1)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 1599-1658) :
    지방귀족 출신(토마스 크롬웰의 후손)으로 어릴 때부터 청교도 교육을 받고 1628년에는 광신에 가까울 정도의 격열한 경건 생활을 하였다.  1628 하원의원이 되었으며, 1642 시민군의 총수가 되었다.  스스로 기독 시민군을 정병화하여 내전에서 승리하고 이어 군대의 힘으로 혼란기를 수습하였으며, 의회가 강력한 행정력을 행사하기 힘든 차제에 독립군의 지지로 1653년 장기의회를 해산시키고 호민관(護民官 Lord Protector)이 되었다.
  (2) 크롬웰은 엄격한 장노주의 보다 열열한 독립교회를 좋아하였으며, 1653년에 장노주의자들이 다스를 차지한 장기의회를 해산시키고, 독립파(Independents)의 경건한 사람들(수위“saints" )을 국회희원으로 임명하였다.  크롬웰의 정치에 ”아멘“ 으로 협조하였다 하여 ”성자 의회“ (Parliament of saints)또는 ”마른 뼉다기 의회“ (Barebone Psrliement, 1653)라 불렀다.  (참고의원중 한 사람의 이름이 Praise-God Barebone이었다 함)
    크롬웰은 전노주의자들의 불관용성과 국교적 태도(state-church mentality)를 싫어하고, 종교의 개인적 성격과 개신교 교단간의 융화를 강주하엿다.  그 결과 영국에는 종교적 관용주의(Tolersnce)와 교단 주의(denominationolism)가 확립되었다.  장노교, 침례교, 회중교회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천주교, 영국 국교 및 광신적인 신교종파에 대하여서는 제제를 가하였다.
  (3) 크롬웰의 공화정치는 그 자신의 개인적 신앙양심과 경건에 따른 사실상의 일인 독제정치이었다.  개인의 종교적 신념(즉 하나님의 뜻)과 국가적 이익이라는 목적이 독제정치의 근거이었다.  이것은 찰스 일세의 왕권신수설을 신념으로한 전제와 큰 차이가있다.
    그러나 영국국민들은 권력이 한 개인과 그의 양심에 집중되는 것을 불안스럽게 생각하였다.  크롬웰은 한개 국가적 차원에서 “柛政” (Theocracy)을 시도하였다고 평하는 사람들도 있다.  
  (4) 공화정 시기에 영국은 대륙에서 일어난 종교개혁의 이상을 실현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크롬웰은 모든 면에서 온건한 개혁을 주장하였다.  국민 도덕의 향상을 위하여 음란한 유희를 금하고, 주일성수, 예배참석을 법으로 명영하였다.  사회개혁도 급진적 개혁을 반대하고 점진적인 생활향상을 도모하였다.
  (5) 크롬웰읁 대외적으로 강력한 신교보호자가 되었다.

1-23. 크몸웰 시대에 발생한 신교과격파들에 대해서 설명하라.
    크롬웰의 혁명성공과 함께 개신교내의 과격한 종교사상이 혁명의 열풍과 함께 대두하였다.  이것은 신비적이고, 열광적(enthusiastic)이고 재세레파(anabaptistic)적 성격을 띄었다.  크롬웰은 이들을 정치, 사회적으로 불안한 요소로 보고 강력히 단속하였다.
  (1) 평등주의자(the Levellers) : 런던의 소상인들이 존 릴번(John Lilburne)의 지도로, 주권재민(主權在民)과 만인평등(萬人平等)사상을 가졌다.  의회는 계급과 재산여하에 상관없이 모든 국민중에서 그 의원을 선출하라하고, 연임을 금하고, 의회의 기능은 행정과 경찰력 행사 뿐이라 하였다.
  (2) 제 5王國主義者(the Fifth Monarchy men) : 다니엘서의 예언을 따라 그리스도의 왕국이 임하여 천년간 계속될 것이라하여, 무력으로 왈국건설을 주장하였다.
    그 중에 일부는 자연걱 도래를 기다렸다.
  (3) 퀘이커 교도(Quakers) : 정식 이름은 형제회(Society or Friends)로서 1650-1690년에 영국에서 일어난 신비적 경향을 띤 종교운동이다.  지금도 성하고 있다.
     (a)창시자 조지 팍스(George Fox 1624-1691)는 청교도들의 영향으로 자랐으나 이미        후기의 청교주의가 침체에 빠져 가르침과 행함이 일치하지 않음을 느끼고 19세에        구도의 길에 나섰다고 한다.  1647년 어느 날 “自己 現  ” (his condition)에 찾아         오신 그리스도를 발견하고 영적 경지에 들어갔다.  자기 속에 있는 “肉的 光明”         (the Inner Light)을 통하여 하나님께 직접 접근하고, 모든 사람들이 그 빛의 인도를      받으면 모든 악을 이길 수 있고, 能力을 얻게 된다고 하였다.
    
     (b)퀘이커의 주요한 주장들 : 절대 평등의 민주 정치, 호칭의 단일화(“thou") 종교자유,      전쟁반대, 검소한 의복과 생활, 정직한 언어, 여자의 설교 허용, 맹세를 금함 등이다.
       이러한 주장 때문에 팍스와 제자들은 수없이 투옥되고 추방되며 순교하였다.
       공화정시기의 제일 열렬한 운동이었다.
    
     (c)제 이 지도자로 윌리엄 펜(William Penn, 1644-1718)은 미국 펜실바니아 주를 창설하     고 핍박받는 퀘이커 교도들을 이주시키고, 대륙의 개신교도들과 나중에는 스콧트란드     장노교인들까지 대거이주 할 수 있게 하였다. 이 식민지 안에서는 유일신을 믿는 한      누구에게나 종교자유를 허락하였다.  그는 전통적인 삼위일체 교리, 대속 교리, 칼빈주     의가 설명하는 의인교리등을 반대하다가 수 차례 투옥되었다.
       로버트 바클레이(Robert Barclay, 1648-1690)은 퀘이커 신학자로 “내적 광명” 은 굳 “     內在하는 그리스도” 리도 하였으며, 성도들은 설교가 필요없으며 내적 광명과 음성에     귀를 기울이면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기독교 역사성에 대하여 무관심하여 성례에 무     관심, 역사적 예수 교리와 신앙고백서의 필요성을 부인하였다.

1-24. 크롬웰 공화정시기의 대표적 청교도들을 열거하라  
  (1) 존 오웬(John Owen, 1616-83) : 청교도 목사(Puritan divine)로서 후기의 청교도들이 엄격한 칼빈주의 노선을 버리고 점차 알미니안적 경향으로 나아감에 반하여, 가장 공정하고 관용적 입장에서 알미니안주의와 대결하여 정통교리를 보수하였다.  방대한 저작을 남겼다.  교회적으로는 독립교회에 속하였다.  크롬웰 정부에 협조하였다. 의ㅚ에서 여러번 설교도 하고, 크롬웰의 군목으로서 고문(adviser)으로 일하였으나 크롬웰을 왕으로 추대하려는 움직임에 반대하다가 그와 멀어졌다.
     그는 리처드 맥스터(Richard Baxter, 1615-1691) : 유명한 청교도 목사이자, 비국교도(Dissenter)이었다.
  
(2) 리처드 백스터(Richard Baxter, 1615-1691) : 유명한 청교도 목회자로서 1641-1660동안
    약20년간 키더민스터(Kidder minster)에서 성공적인 목회를 하였다.  장노교, 국교회, 독립교회 사이의 중요하지 않는 차이점들은 극복하면서 목회의 협동을 도모하였다.
    백스터의 신앙과 생활은 “온건” (Moderation)이 중심적 태도이었다.  과격한 장노주의와 크롬웰의 종교적 견해에 반대하였고,  왕정 복구 후에 국교회 감독직을 거부하여 목회지로 돌아가지 못하였다.  그의 신학은 엄격한 칼빈주의를 떠나 “온건” 한 알미니안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백스터에게 기독교신안은 실천적 종교이었다.  교구내의 도덕을 향상시키고, 교인들의 생활을 성경말씀의 원리대로 지도하였으며, 경건생활을 강조하였다.  그 결과
    (a) "성도의 영원한 안식“ (Saints' Everlasting Rest) : 신앙서적
    (b) “개혁교회 목사론” (Reformed Pastor)
    (c) 기독교인 지침(Christian Directories)등 수많은 저작을 남겼다.
  
(3) 존 번연(John Bunyan 1628-1688) : "천로역정“ 의 저자는 청교도 혁명 때 의회군으로 참하였다.(1544-1646), 가난하고 무식한 어린 시절을 보내었으나 성경과 신앙서적을 탐독하여 훌륭한 베드포드 독립교회 설교자가 되었다(1657). 왕정 복구후에 투옥되어(1660-1672까지) 옥중에서 천로역정을 저술하였다고 한다.
      주요저작 : (a)천로역정(Pilgrim's Progress, 1678)
                 (b)거룩한 전쟁(Holy War, 1682),
                 (c)“넘치는 은혜”(Grace Abounding to the Chief of Senners, 1666)등이 있                  다.
  (4) 존 밀턴 (John Milton, 1608-1672) : 올리버 크롬웰정부의 라틴어 비서로 공화정의 대변인이 되었다.  혁명이전부터 시적 재능이 나타났으며, 혁명 기간중에는 주로 영국 국교회의 감독주의에 대한 反論과 장노체제를 찬성하는 글을 쓰거나, “이혼론(Docrine and
    Discipline of Divorce)“출판 자유론”(Areopagitica, 1644)등을 저술하였다.  왕정 복구 후에 일시 투옥되었으나 풀려 나온 다음에 1658-1665에 걸쳐 “실락원” (Paradise Lost, 1667)을 쓰고 이어서 1671년 “복락원(Paradise Regained)", 그리고 ”투사 삼손(Samson Agonistes)"를 저작하였다.
    밀턴은 처음 장노교 사상을 가졌으나 나중에 독립교회로 기울어지고, 신학적으로는 점차 알미니안적 요소를 가지게 되었다.  인간의 자유와 독립의 옹호자이었으나 질서와 조화를 모색하였다.

1-25. 독립교회의 성립에 대해서 설명하라.
    독립교회(lndependents)는 회중교회(Congregational Chircjes)라고도 불리어지는데, 교회정치형태상으로 개 지방교회(each local churoh)의 자율과 독립을 주장한다.  교회정치원리는 민주정치를 원리로 하고, 그리스도를 유일한 그리스도 교회의 首長으로 삼는다.
    분리주의자 로버트 브라운(Robert Browne)이 개 교회가 국가로부터 독립하고, 자율적 행정을 해야한다고 주장한 이후 수많은 순교자를 배출한 뒤에 크롬웰 시대에 와서 교회들은 숫자적으로 증가하고 중요한 종교세력이 되었다.
    1658년 120처의 개 교회들이 사보이 긍(Palace of Savoy)에 모여 온건한 형태의 회중교회 교리와 정치원리를 선언하였다.  이것이 “사보이 선언문” (The Savoy
    Declaration,1658)이며 회중교회의 기본문서이다.  여기에 교리적으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일부 수정하여 받아드리고, 그들의 정치조례를 첨가하였다.  선언문에는 개혁고회의 제 분파가 획일적인 로마 카토릭에 비하여 활기 있는 교회생활을 할 수 있다는 변증을 하면서 회중교회 형태를 장노교회 형태와 같이 공인해 달라고 하였다.
    이후에 수많은 교인들이 미국으로 건너가서 뉴 잉글란드지방은 회중교회의 영역이 되었으며, 영국에 남은 교리들은 18세개 차츰 지방 법의회(Associations)를 남들고 1832년에는 “영국과 웨일스의 회중교회 연합회”(The Congre gational Union of England and Wales)를 창설하였다.  이것은 입법기구는 아니고 교회간의 연락 조정협력기구이며 첫 사업으로 “신앙과 예배 선언”(A Declaration of Faith and Order)를 작성 공포하였다.  

1-26. 왕정복구(the Restoration)와 감독주의의 부활에 대해서 말하라.
  (1) 크롬웰의 사후(1658), 그의 아들 리차드가 호민관직을 승계하였으나 군대를 통활하지 못하여, 군대의 요구로 사임하고 자유선거를 통하여 구성된 양 의횡에서 폴란드에 머물고
    있던 찰스 이세를 불러 왕으로 모시었다.(1660년).
  (2) 의회가 감독제도를 부활시키고, 종교 집회령(the Conventicle Act, 1664)을 내려 공동 기도서를 사용하지 않는 5인 이상의 집회를 금지하고, 1665년에는 “5마일 령” (the Five Mile Act)을 내려, 비국교회 목사가 정부와 교회전복을 꾀하지 않는다는 서약이 없이는 어떤 마을(town)이나 도시(city)에 5마일 이내로 접근하지 못하게 하였다.  1670년에 “제 이 집회령” 1673년 “시험령(Test Act)” 를 내려 일반시민에게 관리가 될려면 국왕에게 선서하게 하고 국교회 의식을 따라 헝찬을 받게 하였다.
  (3) 왕정 복구로 말미암아 수많은 청교도들과 독립파들이 해외로 이주하였다.
    이 무렵 윌리엄 젠이 펜실바니아에 퀘이커 교도를 이주시켰다.

1-27. 명예 혁명(the Glodrious Revolution, 1688)의 교회사적 의의를 말하라.
  (1) 로마 카토릭 정치세력의 최종적 저지가 이루어졌다.  불란서왕 루이14세가 대륙내의 신교세력을 파하고 (독일 팔라티네트를 로마세력권에 넣고, 스위스 왈도파 교인을 박해하고, 1685년에 낭뜨칙령을 철회하여 불란서 개혁교도를 추방시키었음)
    영국의 제임스이세를 통하여 커토릭 세력을 확장허려 하였다. 그러나 장노교인인 화란의 윌리암삼세와 메리가 개신교의 종교적, 정치적, 세력의 회복을 위하여 영국 희회의 간청을 수락하고 영국에 진주하여 왕위에 올랐다.  제임스이세는 불란서로 도피하였다가 나중에 아일란드에 건너가서 아일란드의 왕이 되려하다가 1690년 보인(Boyne)에서 패하고 재차 불란서로 도망하여 일생을 마쳤다.  그는 찰스일세의 아들로서 영국을 재차 로마교회로 이끌어 가려하다가 명예혁명(1688)으로 왕위에서 축출당하였다.
  (2) 1689년 종교 관용령(The Tolerance Act)을 발표하고 비국교도(Non-conformista / 또는
     Dissenters)들에게 법적보호를 보장하였다.  국교회는 형식적으로 제국교회이나 실제적으로는 대교단으로서, 비 국교도들의 교회와 동등 지위에 있게 되었다.  국가는 종교문제와 신앙양심의 문제에 대해서는 중립적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이 관용령으로 인하여 종교적자유사상이 대두하고, 더욱 검열제도가 폐지되자 자유로운 문화활동이 전개되었다.
  (3) 윌리암과 메리(The Presbyterian Kirk of Scotland), 1707년에는 영국과 스콧트란드가 연합하여 대영제국이 되었다.  따라서 한 영국왕이 스콧트란드에서는 장로교인이 되고, 영국에서는 수장이 되는 전통을 세우게 되었다.

1-28. 비 국교도(Non-conformists)들의 영국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말하라.
  (1) 비 국교도 또는 국교 반대자(Dissentera)들은 예민한 신앙양심을 통하여, 도덕율에 근거한 시민사회 형성에 큰 공헌을 하였다.  이들이 “양심”을 하나의 정치. 사회세력으로 등장시켰으며, 이것이 영 . 미 정치의 도덕적 성격을(Polftical moralism)형성하게 하였다.
    양심의 자유를 주장하면서, 동시에 개인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고, 강한 준법정신으로 근대 시민사회의 정신적 기반을 굳게 하였다.  따라서 비 국교도의 정신적 유산은 정치적 민주주의이며, 미국 독립운동(1774)의 강격한 근거가 되었다.
  (2) “비 국교도 양심” 은 경제생활에도 영향을 미쳐 근대 자본주의 발달과 근대 기업정신과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근면, 정직, 정확, 적당한 이윤, 실용주의, 개척정신 등). 그들의 교리 중“하나님의 주권”,  “하나님의 예정” 교리는 신앙양심에 위배되지 않는 한 그 들의 기업 활동에 자신과 확신을 주었다.
    비 국교도에게 관계 진출의 길이 막히고 국교회 성직자의 진로가 없으므로, 자연 상업과 산업에 종사하게 되었으며, 이 직업을 심각한 삶의 현실로 간주하게 되었다.  그 결과 영국, 하란, 미국등지의 이들 칼빈주의자들은 17,18세기에 걸쳐 상업과 기술을 독점하다시피 하게 되었다.
   (3) 비 국교들은 관학(官學)보다 실용학문을 강조하여 런던 대학등 실용학문, 즉 자연과학, 수학, 각종 전문학과(법율, 의학)를 가르치는 대학을 세우게 되었으며, 또한 “국교 반대자 학원”(Dissenting Academy)을 세워서 목회자를 양성하고 또한 보다 실제적인 교육을 시켰다.



              < Ⅱ   스콧트란드  종교  개혁 >

Ⅱ-29. 스콧트란드의 역사적, 지리적 배경에 대해서 말하라.
  (1)스콧트란드는 영국 북쪽의 소국으로 아일란드에서 건너간 스콧트족과 원주민 픽트(Picts)족이 살고 있었으며, 처음으로 성니니안(St . Ninian)이 4세기 전도하고, 563년에는 성 콜롬바(St . Colunmba 521-597)가 아이오나(Iona)섬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전도를 하였다.  역사적으로 교회가 중심이 되어 영국의 세력에서 독립을 유지해 왔다.
    종교개혁이전에 성 안드류스 대학(St . Andrews, 1411), 글라스고 대학(Glasgow1450-1), 에버딘 대학(Aberdeen, 1494)이 설립되고 : 1472년에는 세인 안드류스가, 1492년에는 글라스고가 대 감독교구가 되었다.  그러나 개혁 전에는 교회가 힘을 잃었다.
  (2) 지리적으로 좋지않는 환경에 놓여있으며 북쪽은 고지대(High Land)이며, 남쪽에 수도인 에딘버러, 새인 앤드류스, 글라스고 등의 도시들이 있다. 민족적으로 스콧트인들(Scote)은 독립심이 강하고, 근면하며, 인색할만큼 근검절약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씨족 관념이(Clan)이 강하여 각 씨족벼로 특이한 색깔과 옷을 착용하였으며(옛날에) , 씨족간에 분쟁도 많았다고 한다.
  (3) 1707년 스콧트란드가 영극과 연합(Union) 하기 이전 왕의 세계는 다음과 같다.
     (a)  1513-1542 : 제임스 5세
     (b)  1542-1567 : 메리 스트아트(Mary Stuart 1542-1567) *소위 “Queen Scots"
     (c)  1567-1625 : 제임스 6세. (1603에는 영국왕을 겸하게 되어, 제임스 일세라는 옹칭을 가지게 됨. 이 이후로 1707년까지 영국왕은 자동적으로 스콧트란드 왕이 되었음)

Ⅱ-30 스콧트란드  종교개혁의 예비단계에 대해서 말하라.
  (1) 위크리프의 설교자들(Lallards)이 스콧트란드에도 일어 났으며, 레스비(Resby, 1406)와     크라와(Crawar, 1433)가 순교하였다.  
  (2) 독일에 종교개혁운동이 일어나자 루터의 저작이 밀수입되고, 패트릭 해밀턴(Patreck
      Hamilton)이 루터의 저작에 감명을 받고 독일에 건너가서 개혁자들을 만나 개혁신앙을   가지게 되었다.  귀국하여, 진리를 전하다가 1528년에 스콧트란드 장노교회의 첫  순교   자가 되었다.
  (3) 영국의 종교개혁운동이 영향을 미쳤으나, 반영감정(反英感情) 때문에 스콧트인들은 제네바의 개혁안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존 낙스(John knox, 1513-1672)가 순교자 위시아트 (G. Wishart)를 이어 개혁운동의 지도자가 되었다.

Ⅱ-31. 존 낙스에 대해서 설명하라.
  (1) 존 낙스는 스콧트란드 해 딩턴(Haddington)출신이며, 그도 처음 신부가 되었으나, 고향에서 법률가로 일을 하는 등 불안정한 생활을 하다가 위시아트의 영향으로 개혁사상을 가지게 되었다.  1547년에 확신을 가지고 체인 안드류스에서 진리를 전파하다가, 불란서 함대가 성을 점령할 때 붙잡혀 19개월간 노예선에서 포로생활을 하였다.  1549년 방면된 후에 영국 에드워드6세 궁실의 목사중 한 사람이 되었으며 메리 여왕의 집권 후에 제네바로 피신하여 칼빈을 만결정적인 스콧트란드 교회개혁의 방향을 잡았다.  거기서 결혼도 하고...... .
  (2) 1555-1556, 귀국하여 설교와 저각에 힘을 다하였으며, 그의 영향을 받은 반불파(反佛派)
    귀족들과 “가장 복스러운 하나님의 말씀과 그의 교회”를 설립하기로 계약(Covenant / 또는 (Covenanting)을 1557년에 맺게 되었다.  이 귀족들이 나중에 “회중(교회)의 존귀한 者” 로서 개혁운동의 정치적지지 자가된다.
  (3) 1560 영국의 도움으로 불란서 군대가 물러가고, 스코트란드 의회는 낙스의 신앙고백서(Scottish Confession, 1560)을 체택하였고, 스콧트란드 교회는 개혁교회가 되었다.
    교황의 법적 권위를 무효화하고, 로마 카토릭 미사를 금지시켰다.
     같은 해에 제일 권징서(the First Book of Discipline, 1560)를 저작하여 장노교회정치 원리를 확정하였다.  이 치리서는 의회의 인준을 받지 않고 교회의 총회(the General Assembly)에서 인준하여 교회의 독립을 확정시켰다.(그후 1564에 총회는 낙스가 지은 the Book of Common Order를 채택하였다.)
  (4) 1560년에 섭정이었던 기즈家의 마리아가 죽은 뒤에, “스콧트인들의 여왕”이라 불리워지는 메리 여왕이 1561년 불란서에서 귀국한 이후로 1567년 그의 아들 제임스6세에게 왕위를 물려줄 때까지, 낙수는 에딘버러 성 질스(St . Giles)강단에서, 메리 여왕은 왕좌에서 서로 불호령으로 공박하였다고 한다. 낙스는 생전에 개혁교회의 승리를 보지 못하고 1572년 11월 24일에 죽었으나, 개신교도로 양육 받은 제임스 왕이 왕위에 오르는 것을 보고 안심하였다 한다.
  (5) 그의 성품은 편협한 점도 있고, 과격하고 거침없이 말을 함으로 적을 많이 만들었으나, 대담하고 직선적이어서 굉장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왕실에 틀고 앉은 “마녀들에 대한 선전나팔”(the First Blast of the Trumpet against the Monstrous Regiment of Women, 1558)이란 소책자의 표제가 나타내 보이는것 같이 선동적이고 열열한 개혁운동가였다.
    그의 신념은 “예정론 연구” (Treatise on Predestination, 1560, 제네바에서 출간)에서 보이는 엄격한 칼빈주의 신학에 기초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의 대표작은 “스콧트란드 종교개혁사”(1587, 1644완간)로 사후에 출판되었다.

Ⅱ-32. 낙스의 후계자 멜빌에 대해서...... .
  (1) 안드류 멜빌(Andrew Melville, 1542-1622)은 낙스의 후계자로서 스콧트란드 교회를 장노교회로 조직하였다.  1577년 촐회에서 제 이 권징서(Second Book of Discioline, 1577)을 체택하고 목사, 감독, 성직자(minister)는 같은 말로 썼으며 시찰장(Super-intendents)의 임무를 노회(Presby tery)로 이관하고, 감독직은 교회재판(ecclesiastical courts)에서 담당하였다.
  (2) 그는 베자의 친구이었으며, 학자요 스콧트란드대학교육 개혁가이기도 하였다.
    글라스고대학장으로서 어학, 과학, 철학, 신학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도입하였다.
    제임스 왕의 정책에 반대하다가 수 차례 교수직을 잃었으며, 국교회 예배의식을 풍자하는 시를 써 런던탑에 수금되기도 하였다.

Ⅱ-33. 스콧트란드 장노교회의 특색에 대해서 말하라.
  (1) 교리는 개혁신앙(Reformed faith),정치는 장노주의(Presby-terian system)를 취한다.
     스콧트란드의 국교로 확정된 것은 1690년이나, 그때까지 수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2) 제임스6세기 영국왕이 된이후로 영국왕들들이 스콧트란드에 감독제를 강요하였다. 단일   군주, 단일교회정책을 취한 것이다.  스콧트인들은 정치적, 종교적자립을 원하여 1538년   국민계약(National Covenant)을 맺어 장노제를 유지하기로 맹약하고, 영국왕 찰스일세에   반란을 일으켰고, 1643년에는 청교도들이 우세한 영국의회와 “신성동맹 및 계약”(The     Solemn Leagus and Covenant)을 맺고 국왕과 싸우게 되었다.
     1647년에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소요리문답, 예배서를 교회의 규범서로 받아들였으   며, 명예 혁명 후에 정식으로 스콧트란드 영역에는 장노교회가 국교로 선포되었다.
  (3)예배는 질서와 위엄(order and dignity)이 있으며 단순하다 .고교회파(High Presbyterisns)는 예배의식에 예식서를 사용하나, 대부분 정한 예배 의식서를 사용하지 않고, 예배의 중심을 설교에 둔다. 사도적 신앙과 보편 교회적 예배에 충실하려 한다.
    성찬은 번번하지 않고 장노들이 수종한다.  권징을 실시한다.

Ⅱ-34. 계약파(Covenanters)란 무엇인가 ?
  (1) 16세기, 17세기 스콧트란드 장노교인들로서 종교적, 정치적 맹세로 결속하여 그들의 종교적이상을 성취하려하였다
    1556에서 1562사이에 수많은 계약이 이루어지고, 1638년 찰스일세에 대항하여 맺은 국민계약(the National Covenant), 1643년 신성동맹 및 계약(the Solemn League and Covenant)을 정점으로 계약을 종교 및 정치투쟁의 방법으로 사용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계약파사이에 분열이 일어났다.  1661-1688년사이에 또 다시 장노교회가 핍박을 받을 때 새로운 계약이 생겨 났고, 명예혁명으로 장노주의의 승리로 계약목적이 이루어졌다.
  (2) 그 이후에 일부의 과격파는 1690년의 장노교회설립에 불만을 가지고 “개혁 증노교회 교인” (Reformed Preabyterians)이 되었으며, 계속 “계약파” 전통을 이어왔다.  그후에 스콧트란드 장노교회에서 분리한 “자유교회” (Free Church, 1876)에 합세하였다.
  (3) 리차드 카메룬(Rechard Cameron, ?-d. 1680)은 과격파의 대표이며, 1661-1688년 왕성복구시대에 찰스이세에 대한 무력항쟁을 펴고, 국교회에 동조하는 동족에 대해서도 공격을 엄추지 않았다.  그는 열혈설교가이며 스콧트란드교회와 국가의 독립을 위해 투쟁하다가 1680년에 국와의 군대와 교전중 전사하였다.  그를 따르는 과격한 계약파를 “카메루니안”(Cameronians)라 부른다. 지금도 미국에 개혁 장노파가 있다.


              

           < Ⅲ.  제 17세기  대륙의  교회들 >
   A .  독일 교회
Ⅲ-35. 웨스트팔리아 평화(1648)이후 독일교회는 어떻게 발전되었는가 ?
  (1) 정통주의시대(the Age of Lutheran Orthodoxy) : 17세기 전반에 걸침.
  (2) 독일 경건주의(German Pietism) : 보편적운동은 아니나1690-1730대까지 전성기를 이루    었다.
  (3) 독일 계몽신학(German Rationalism) : 1730-1750대의 신학문(Neology)의 발달.

Ⅲ-36. 독일 정통주의 신학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라.  
  (1) 협정신조(the Formula of Concord, 1577)이후, 30년 종교전쟁(1618-48)을 거쳐, 웨스트팔리아 종교형화로, 로마교회와 개혁교회(칼빈주의)가 루터파 교회와 대등한 위치에 셔ㅓ게 되자, 루터교회는 (1) 자파의 정통성에 대한 변증과 (2) 정통신학의 정립에 힘을 기울이게 되었다.  이후 17세기 전반에 걸쳐 정통신학시대가 전개된다.
  
  (2) “순수 교리” (reinen Lehre, l pure doctrine)의 수호와 “조직신학의 체계화”를 기치로 추구된 정통신학은, 루터의 교리를 스클라 철학의 방법으로 체계화시키는 것이었다
    루터+아리스토텔레스). 방법론에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를 따라 경직된 형식주의를 취하고, 전통적교리를 준거로 하는 엄격한 보수주의 태도를 취하였다.
  
  (3) 성경을 교리의 법전으로 삼아, 특정교리를 증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페단도 있었다.  축자 영감설(Plenary lnspiarition of the original texts)을 믿었다.
    이로 인하여 기독교의 기본교리가 체계화 되었다.  그러나 반면에, 경험적이고 실제적인 신앙생활에 유익을 끼치지 못한 점도 있어 나중에 경건주의가 일어나 그 결점을 보충하려 하였다.

  (4) 이 시대에 훌륭한 정통신학자들이 배출되었다.
     (a)켐니츠(Martin Chemnitz-d. 1586) : 신학 논제(Loci Theologici)와 트렌트 공회 비판                                        등의 저자이며, 정통주의의 원조이다.
     (b)게르하르트(Johann Gerhard ?-d. 1637)예나 대학교수로 루터정통파 신학의 대표적 신                                        학서인 신학존제(Loci Theologici)저술.
     (c)칼로프(Abraham calov -1686) : 루터파 변증 신학자.

Ⅲ-37. 조정주의자에 대하여 설명하라.
  (1) 조정주의자 또는 화평주의자(Ireniker)는 정통적 루터파와 개혁파 사이에 조정 역할을 하였다.  특별히 개혁파 쪽에서 이러한 노력이 현저하였다.
    특히 하이델베르그 신학교수 유니어스(Franciscus Junius)와 파로이스(David pareus)는 신앙고백의 자유를 위해 조정 역할을 하였다.  영국인 존 듀리(John Durie 1596-1680)는 대륙의 루터파와 칼빈파의 연합을 주장하였다.
  
  (2) 17세기의 가장 대표적인 조정주의자는 게올그 칼릭스토스(Georg Calixtus, 1586-1656)이다.  헬름슈테트 대학 신학교수로 재직하면서 루터파의 엄격한 고백주의를 버리고 혼합주의 신학노선을 걷게 되었다.  자신은 정통교리를 가지지만, 각 교파간에 가장 공통성인 범 基督敎的 교리를 찾아내서 교파간의 화해를 도모하고 자 하였다 루터파 개혁파 심지어 로마 카토릭까지 연합 할 수 있는 근거로 (a) 성경 (b) 사도신경 (c)빈센트율(vincentian canon, 보편성, 역사성, 만인의 동의)에 근거한 초대교회 5세기 까지의 신학을 들었다.  1646년에 혼합주의 논쟁이 크게 일어났고 칼로프는 칼릭스터스를 공격하였다.
  
  (3) 루터파와 개혁파의 화해 노력은 계속 되었으며 베를린 종교회의 (1662-63)는 그 한 예이다. 이러한 노력은 프러시아에서 연합교회의 설립으로 결실을 맺게 된다.
  
  (4) 요한 안드레(Johnann Andreae, 1586-1654)는 기독교 이상사회(Christianopolis)를 통해서, 그로티우스는 “교회 평화안”을 통하여, 각기 교회의 연합을 모색하였고, 심지어 로마 카토릭 측에서는 노이슈타트의 주교 스피놀라를 통하여 개신교와 연합 가능성을 찾기도 하였다.  또한 라이프니츠(G . W . Leibnitz, 1646-1716)는 프러시아의 연합교회 성립에 공헌을 하였을 뿐만아니라, 불란서 카톨릭 감독인 보수에(J . B . Bossnet, 1627-1704)와 교회 연합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서구의 방향은 점차 교파간의 차이를 조정하려는 목표로 움직이게 되었다.

Ⅲ-38. 엄격한 정통주의에 대한 또 다른 반발에 대하여 설명하라.
  (1) 극단적 신비주의가 발생하였다.  야곱 뵈머(Jacob Bohme ? -1624)는 환상적이며 신비    한 神知學(Theosophy)의 체계를 세웠다.  1612년 예명(Aurord ......)이란 저작을 출판하    였다.  또한 신비주의자들의 비밀결사인 장미 십자단(Rosicrucians)이 생겨났다.
  
  (2) 경건 문학이 나타났다.  요한 안드레와, “진정한 기독교”전 사권을 저작한 요한 아른트   (Johann Arndt -1621)는 기독교인 생활을 강조하여 신비주의자로 물렸으나 나중에 18세   기 경건주의의 선구자가 되었다.

                

        B . 제 17세기  서구  개혁파  교회

Ⅲ-39. 개혁파 정통주의(Reformed Orthodoxy)에 대하여 설명하라.
  (1) 개혁파 정통주의는 노르트 공회(Dordt Synod, 1618-1619)이후 알미니안 주의를 배격하고 푸티어스(G . Voetius-1676)고마러스(Francis Gomarus, 1563-1641)등의 억격한 칼빈주의가 정통으로 득세하였다.
    신학적인 방법은 루터파 정통신학과 같이 스콜라 신학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신학체계 정립에 힘을 썻다.
  
  (2) 화란 개혁교회는 교리적으로는 억격한 칼빈주의를 취하였으나 정부는 여러 가지 자유사   상을 허락하였다.  그 결과 도덕적 엄격주의는 퇴조하고 소수의 무리에 국한되었다.

  (3) 정통적 칼빈주의에 대한 하나의 교정적 신학 방법으로 칵시어스(Cocceius 1603-1699)의 “계약 신학” (Covenant theology 또는 Federal theology)이 각광을 받았다.
     순수한 성경 신학(Biblical theology)임을 표방하고 아섰다. 그의 주저는 1648년 출간된“계약 교리론”이다(Summa doctrinae de Foedere et Testa mento Dei)영국 청교도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으나, 정통파에게서는 비 정통이라고 비난을 받았다.

Ⅲ-40. 알미니안 주의의 영향에 대해서 말하라.
  (1) 1609년 알미니우스의 사후, 에피스코푸스(Simon Episcopius, 1583-1643)와 그로타우스    (H. Grotius)등이 이 파를 지도하였으며, 1618-1619년 도르트 공회 직후에 국외로 추방   되었다가 1630년 종교관용령에 따라 제한적 자유를 허용받았으며, 1795년 완전한 법적    자유를 누리게 되었다.
  
  (2) 그러나 알미니안 주의의 영향은컸다.  본래 화란의 에라스무적 종교관 및 신학방법의 전통이 있었으므로, 알미니안 주의는 그러한 전통에 영합하여 자유로운 성경해석과 본문에 대한 비평을 하였다. 이것이 18세기의 계몽신학의 시발이 되었다.  과격한 알미니안들은 소시니인파와 합세하여 일위론자(Unitarian)로 전신하게 되었다.

Ⅲ-41. 아미로 주의란 무엇인가 ?
  (1) 모이즈 아미로(Mouse Amyrault)는 17세기 불란서 유그노 신학교인 소무르(Saumur)신  학교의 교수로서 선택교리의 설명에서 후속설(後贖設 Post-redemptionism)또는 가정적만인구원설(Hypothetical Universalism)을주장하였다. 이 학설은 특별 구원설((particularism)과 보편구원설(Universalism)의 조화책으로, 하나님께서 만민의 구원을 가정하시고 예수그리스도의 대속의 공로도 설정하셨으나, 실제로 그 공로를 힘입어 구원함을 받을 사람은 예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모든 사람은 누구든지 믿기만 하면 구원을 받으나, 예정된 사람들만 믿게 되며 성령께서 그들의 마음에 역사하시어 구원을 얻게 된다고 하였다.
  (2) 이 학설에 대하여 스위스 제네바의 마지막 정통신학자 투레틴(Turretin)과 츄리히의 하이덱거(Heidegger)가 헬베틱 협정신조(Formula concensus Helvetica, 1675)를 작성하여 정통적 구속도리와 예정론을 수호하였다.

        

       C. 제 17세기  불란서  카토릭  교회

Ⅲ-42. 루이 14세의 절대군주권(Absolutism)과 불란서 교회의 관계를 설명하라.
  (1) 루이 14세(Louis XIV, 1643-1715, 1661이후는 독제)는 절대권의 신봉자이며, 교회를 그    의 지배하에 두었다.
     1685년 낭트 칙령을 철회하고(Hevocation of the Edict of Nantes,1685)위그노를 국외로   추방시키고 개혁교회는 불법 단체로서 1789년 불란서 혁명시 까지 지하교회가 되었다.
  
  (2) 그의 독재는 불란서 카톨릭 교회에도 철저하게 미쳐, 1682년 불란서 공의회(National Curncil0를 열고 “불란서 성직자의 四個집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a) 통치자는 교권에 대하여 독립한다.  (b)영적 문제에 대한 교황의 권한도 공의회에 의하여 제한된다.
    (c)교황권은 불란서 관습과 법에 의하여 제헌된다.
    (d)교회가 확정하지 않는 한 영적 문제에 대한 교황의 판단도 틀릴 수 있다.
    
    1693년에 왕은 교황과 합의한 후 四個安를 철회하고, 왕은 공석중인 주고 임명권과 수입을 취하였다. 불란서 교회는 영국처럼 독립한“불란서 교회”(Gallican Church / Gallicanism)를 성립시키지 못하고, 다만 루이 14세가 교황청을 견제하는 방편으로 이용하였다.

Ⅲ-43. 잔센파(Jansenists)의 사상과 활동에 대해서 말하시오.  
(1) 잔센(Cornelius Jansen, 1585-1638)은 로마 카톨릭교도로, 이쁘르의 감독(Bishop of Ypres)이였다.  쌍 시랑(St Cyran)의 영향으로 어거스틴을 연구허여 “아우구스티누스”란 연구서(사후 1640에 출판됨)를 저작하였다.  그의 주장은 칼빈의 은혜론과 흡사하였다.  즉
    (a) 하나님의 특별은혜가 없이는 하나님의 명령을 지키는 것이 인간으로서는 불가능하다.
    (b)은혜의 역사는 불가항력이다.
(2) 잔센의 후계자인 상 시랑이 뽀르로얄(Port-Royal)수녀원을 중심으로 잔센파의 가르침과 행위를 힘썼다.  그는 사랑에 동기를 둔 진정한 회개와 사죄를 강조하였다.  이것이 형식주의적인 예수회와 마찰하여, 그는 투옥되기도 하였다.
    상 시랑 다음에 아르노(Anton Arnauld)가 후계자가 되어 예수회의 도덕신학인 개연주의(Probabilism)에 반대하고 : 도덕적 엄격함과 권징과 하나님의 은혜를 강조하였다.
(3) 잔센주의는 17세기 카톨릭 교회의 일종의 개혁운동이었으며, 깊은 종교성과 심각한 도덕관념으로 중산층, 시골신부, 지성인, 하급귀족들에게 크게 영향을 끼쳐 회개하고 참된 신앙생활에 힘쓰는 이들이 많이 생겼다.  교황과 예수회(the Jesuits)는 1653, 1656에 이들을 정죄하고, 루이 14세는 1709년 뽀르 로얄수녀원을 훼파하고 죽은 이들의 무덤을 파헤치고, 마지막으로 1713년 교황은 칙서“우니게네투스”(Unigenitus)를 발표하여 정죄하였다.
    이후 잔센파는 화란으로 피난하여 우트레히트에서 로마 교회와 분리하여 1723년“화란 고 카톨릭교회”(the Old Roman Catholic Church of Netherland)를 세우고 19세기에는 교황 무오설에 반대하는 카톨릭 교도와 합하여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

Ⅲ-44. 빠스칼의 생애와 신학에 대하여 설명하라.
(1) 빠스칼(Blaise Pascal, 1623-1662)은 유명한 불란서 신학자, 수학자, 철인이다.
    1646년 자센파와 접촉이 되어 첫 개심을 하였다.  1651년 부친의 사망으로 누이동생 자크린이 뽀르 로얄 수녀원에 입소하였고 그는 계속 파리에서 과학과 수학연구에 물두하다가 1654년 완전히 개심하고 뽀로 로얄에 가서 신앙생활에 전념하며 남은 8년의 여생을 살았다.
    (2) 1656년 소르본느 신학자들이 잔센의 가르침을 이단으로 정죄하자, 빠스칼은 익명으로        “프로방스 서간집” (Lettres prbvinciales, 1656-1667)을 써서 로마 카토릭교회(특히 예수         회)의 은혜론과 도덕신학을 비판하였다.  문화적으로도 불란서 고전시대의 명문으로 간주        되고 있다.  이 서한에서 초대교회의 근엄한 생활과 행위를 모본으로 한 잔센파의 엄격한       신앙생활을 변호하였다.   그의 사후에 정리되어 출간된 “명상록(pensees)"은 위대한 기독       교 신앙 변증서이다.  이성의 한계를 넘어선 종교적 세계는 믿음으로 알 수 있을 뿐이며,       이 세계에 대해서는 ”기하학적 정신“ 으로 오직 추론할 뿐이며,  이 세계를 마음(Coeur)으       로 느낄 뿐이라 하였다.  그는 유명한 ”노름 원리“ (Wager theory)로 신앙에는 하나님을        따르든지 않든지 의지적 결단이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에게 하나님은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이시며, 과학자와 철학자 하나님”은 아니었다.  위대성과 비극성의 틈바구니에 낀 인간의 구원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믿음으로 가능하다고 하였다.  이성을 초월한 신앙의 실제적 경험적 세계를 변증하였다.

Ⅲ-45. 정숙주의(Quietism)에 대하여 설명하라 .
    정숙주의는 17세개 불란서 카토릭 교회 내부에서 일어난 불건전한 신비주의로서 특히 물리노(M . de Molinos C . 1640-1697)와 귀용(Mme Guyon), 페느롱 감독(Archbishop Fenelon)등이 보편화 시켰다.  
    근본 원리는 인간의 노력을 부정하는 것이다.  완전에 이르려면 완전한 수동적 태도와 자의지(字意志)의 소멸, 심지어 자기의 구원까지도 포기할 수 있는 정도로 전적 하나님의 의지에 순복해야한다.  그리하여 기도에 들어가면, 예수님의 사랑, 덕성, 삼위일체에 대한 흠모와 같은 것 조차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순수한 신앙” 으로 하나님 안에서 휴식하게 된다.  이런 완전에 이르면, 자연히 외부로 도덕적인 행동애 흘러나온다고 하였다.
    이것은 “완전주의” 이다.  완전한, 신비적 상태에 이르면 죄를 지을 수도 없고, 생각하고 행하는 것마다 하나님의 일이 된다고 한다,
    자의지가 하나님 앞에서 파쇄 되었으므로 마귀의 유혹을 받기는 하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죄가 되는 행위도 완전 상태에서는 죄가 되지 않는다.  조심할 것은 산심(散心)으로 “정숙”을 깨뜨리는 일이다.
    정숙주의의 도덕적 결과는 거의 범신론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다.  1687년 교황 인노선트 11세의 정죄를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신비주의 겨향은 대륙 각 교회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경견주의와 관계가 맺어 지기도 하였다.

      

           <Ⅳ . 제 18세기>

Ⅳ-46. 제 18세기의 교회사적 특성은 무엇인가 ?
  (1) 영국에 휠리암과 메리의 등극으로 종교자유(Tolerance)가 허용되고, 종교와 정치의 투쟁    은 일단락이 된다.  개신교 신앙영역과 구교의 영역이 확정되고, 교파주의가 확립이 되    었다.
  (2) 제 17세개의 종교 전쟁이 끝나고 정통주의(Confessionalism)가 퇴조하자, 즉시 인간사에    서 이성의 활용으로 합리성을 추구하게 되고, 또 한편 인간의 경험을 중심으로한 주관    적이며, 개인적인 내면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일어났다.  정치적으로는 절대군주권이 약    화되고 시민사회의 형성, 경제적으로는 근대산업사회와 초기 자분주의의 발달, 사상적    으로는 계몽철학이 나타났다.
  (3) 신학적으로는 정통시대-알미니안주의-계몽신학(Enlighten ment theology)으로 진전하였    다.  합리적 경향은 합리주의 신학을 낳고 극단적으로는 이신론(자연신론Deism), 무신    론에 이르고, 경험적 경향은 좋은 면에서 경건주의와 웨슬레의 때 부흥운동(Evangelical    movement)을 낳게 하였다.

    

        A . 독일 경건주의(German Pietism)

Ⅳ-47. 제 18세기 초 독일 경건주의 성격에 대하여 설명하라.
  (1) 경건주의 운동은 제 17세기 정통주의 신학과 종교생활에 대한 반동이다.  
    (a)독일 지방교회의 속파,
    (b)형식적인 신앙생활,
    (c)교리적 경화에 대한 반발이다.
    
   그러므로 경건주의 운동의 기본 요강은
    (a)경건 생활(praxis pietatis)
    (b)종교적 개인주의(personal religion)로서 개인의 종교적 경험을 심화시키려 하였다.
  
  (2) 실제 행동 목표로서 세상과 세상의 오락(춤, 카드놀이, 극장, 세속서적)을 멀리하는 실제 적 금욕주의(practical asceticism)를 실천하며, 경건 생활을 힘쓰고 주의 재림을 기다려 절제생활을 하도록 하였다.
  
  (3) 특히 독일 경건주의는 하나의 교파를 형성하지 않고, 루터파 교회 내에서 정통신앙을 유지하면서 하나의 신앙운동으로 그치게 되었다.  형식적인 기독교인들 가운데서 소집회(召集會, Conventicle), "중생“의 경험을 가진 신자들만의 모임을 가졌다.
     (예컨데, 구역예배, 경건회, 성경연구회, 특별집회등)

Ⅳ-48. 스페너(philip Jaclb Spener, 1635-1706)의 경건주의 강령에 대해서 설명하라.
  (1) 독일 경건주의 운동의 시발자이다.  프랑크푸르트에서 목회하는 중에 교회개혁에 힘을 기울이고, 그 방안으로 진실한 교인들로 구성된 “경건회” (Collegia pistatis)를 열어 말씀을 가르치고 실제적 신앙 생활을 지도하였다.  최후에는 베를린에서 감독목사(provost) 로서 일하였다.
  (2) 그는 독일의 화평주의자 아른트(Arndt)의 “진정한 기독교” (Ture Christianfty, 1605-1609)를 읽고 감명을 받았으며 : 영국 청교도들의 저작중에서 루이스 베일리(Lewis  
    Bayly ?-1631)의 “경건 연숩”(practice of pietie, 제3판, 1613)백스터의 “자기부정론”
    (Trestise on Self-denial, 1659)등을 읽고 영향을 많이 받았다.  
    1675년에 경건주의 운동을 일으키게 되는 획기적 소 논문 : “경건한 열망(pia desideria /   pious Longings)을 출판하여 독일교회의 조용한 개혁을 주도하였다.
  (3) “경건한 열망”에서 제창한 6個 항목은 다음과 같다.
    (a)하나님의 말씀 연구와 해석, 공중예배도 말씀중심으로 하고, 개인적으로 가정단위로 성     경을 많이 읽게 할 것.
    (b)만인의 영적 제사장 직분의 활용.
       평신도 각자의 신앙생활을 강조하고 , “상호 영적 치료”(mutual cure of souls)를 실행     하도록 할 것
    (c)기독교는 실천의 종교(특히 이웃에 대한 사랑)라는 것을 끊임없이 가르칠 것.
    (d)종교적 분쟁을 하지 말 것. 어쩔수 없을 경우에는 사랑으로만 할 것.
    (e)목회자 야성방법을 개혁하며, 교리를 가르칠 뿐만 아니라, 진리가 영혼속에 베어 들게     할 것. 아켐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와 타올러의 저작들과 “독일신학”등의 경건서     적을 읽게 할 것.
    (f)설교는 학식자랑과 웅변보다 교훈적일 것.

Ⅳ-49. 독일 경건주의의 세 파는 무엇 무엇인가 ?
    (a)할례 경건파(Halle Pietism) : 독일 할례 대학을 중심으로 일어난 경건운동인데 그 특    색은 기독교인의 사회적 책임과 그 구체적인 표현으로 복지 기관설치에 있다.(학교, 고    아원, 보건소, 선교회등), 그 대표자는 아우그스트 프랑케(August H . Francke           1663-1727)이다.
    
    (b)뷰르템베르그 경건파(Wurtemberg Pietism) : 남부 독일에서 일어난 경건 운동으로 자     유주의적 색체를 띄었다.  엄격한 회개보다 절제 생활과 자기 성찰을 강조하였다.
       특히 일기의 활용을 권하였다.
       요한 벵겔(Jonann Albert Bengel, 1687-1752)은 이 운동의 대표자이며, 유명한 주석가     요 성경학자이었다.  성경을 학적으로 연구하는 전틍을 세웠으며, 나중에 이 계통에서     고등비평가의 원조라 할 수 있는 제믈러(Semler - 1793)가 배출되었다.
    
     (c)헤른후트 경건파(Herrnhut Pietism / 또는 진젠도르프파) : 감정적이며, 신비주의 경     향이 있는 파로서 대표적 지도자는 진젠도르프 백작(Count Zinzendorf 1700-1760)이      다.

Ⅳ-50. 프랑케의 경건주의 운동에 대해서 설명하라.
   (1) 프링케(1663-1727)는 스페너를 만나서 이전에 독자적인 개심의 경험을 하였고(1689),      라이쁘찌히 대학에서 “성경 애호회” (Collegia philobiblica, 성경연구회)를 조직하였다.
       스페너의 도움으로 할레대학의 교수가 되어, 거기서 여러 가지 사회복지 기관들을 세     우며 능력있는 일을 하였다.
  
   (2) 독일은 30년 전쟁후에 그 여파로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피폐한 상태이었으며 선진 열     국의 해회 식민지 활동에 가담하지 못하였으므로 여러 가지 면에서 낙후하였다.  할레     대학 주위에 “버려진 군중” 들은 비참한 생활을 하고 있었다.  이들을 모아서 성경을     가르치고 “영 육의 양식”을 주어, “살아 계시고 능력 많으신, 사랑하시고 참되신 하나     님의 은혜로운 발자취”를 따르려 하였다.    
  
   (3) 프랑케는 목회자를 양성하는 외에도 다음과 같은 방대한 사업을 하였다.
      (a)불우 학생을 위한 학교 설립. (큰 아이가 작은아이를 가르치게 함.)
      (b)고아원(1696)
      (c)기숙학교 설립, (철저한 교육과 생활 지도, 자비와 장학금)
      (d)김나지움(1697, 특수교육기관)
      (e)페다고지움(pasdaggium, 사립학교 : 부자들의 자제교육)
      (f)모자원 설립(House of Widows, 1698) : 디모데 전서 5 : 3-16을 모델로, 국가와 교       회를 위해 기도를 전문적으로 하였으며, 전속 관리인, 목사, 의사, 가정부가 있음.
      (g)김나세움(Gymnaeceum) : 미혼 처녀들이 자비로 교육받음.
      (h)교사 양성소(Teachers training institute, 1704) : 교리를 가르칠 수 있도록 교사 양성
      (i)보건소 설치 : 할레 신학생들에게 의학 지식 보급.
      (j)책방
      (k)성경 출판사 설립 : 경건 서적 출판
         이 모든 기관들은 순전히 프랑케의 기도로 이루어 졌다고 한다.
         그의 저서가 영국에 소개되고 온 구라파에 소개되었으며, 특히 영국에서 18세기 후        반에 부흥운동이 일어나자, 프랑케의 사회기관들이 영국에 세워지기 시작하였다.
   (1) 프랑케의 지도로 할레 신학생이 텐마크 왕 프레데릭 4세의 요청으로 인도 크란크바알     (Tranquebar)선교사가 되었다. (1705)

Ⅳ-51. 진젠도르프 백작(1700-1760)에 관해서 말하시오.
   (1) 헤른훗트 경건파의 지도자이다.  그는 할레 페다고지움에서 공부할 때 프랑케의 경건즈    의 사상을 배웠다.  14세 되던 해에 친구들과 한 모임을 창설하여 “전인류를 사랑한다”    고 삶의 목표를 정하였다고 한다.  갈 곳을 잃은 후스파 피난민들을 규합하여 헤른후트    형제회(Herrnhut society of friends)를 창설하고(일명 the Moravian Church, 모라비아교    회)세계 선교를 도모하였다.
  
   (2) 그의 사상은 “성령안에 있는 하나님의 참된 교회”를 주장하며 교회의 연합을 추구하였    다.  원시 기독교 풍습을 좇아 발을 씻기고 애찬을 실시하고 화평의 입맞춤, 제비를 뽑아    결정하는등 실제적 생활을 강조하고, 또한 믿는 이들의 공동생활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진젠도르프의 사상은 그외 신비적이고, 고도의 감정적인 예배와 신학이 중요하다.
      그리스도에 대한 성애적인 흠모와 그리스도의 수난을 예찬하는 신학을 발전시켰다.  주    의 피, 땀 상처, 고통을 실감 나게 묘사하는 찬송시를 지어 불렀다.  한때 그는 성부 성    모 성자를 삼위로 보는 잘못을 범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자기의 모든 과격한 사상을 회    개하였고, 그의 후계자인 슈광겐베르그(August Gottlieb Spangenberg)는 모라비아 교회    의 신학을 재정비하여 정통노선에 세웠다.
  
  (3) 진젠도르프는 미국, 영국, 화란, 발틱해 연안 등지에 모라비아 교도들의 공동체를 세웠으    며, 17세기 정통주의 신학에 새로운 감정적 요소를 도입하므로 공헌한 바도 크다.
      슐라아어막허(Schleiermacher)는 그의 영향을 입었다.  또 한편 요한 웨슬레도 모라비아    교도들의 열열한 신앙과 전도열에 큰 감명을 받아 부흥운동을 일으키게 되었다.

Ⅳ-52. 청교도(Puritan)와 경건주의자(Pietist)의 차이는 어디에 있는가 ?
    청교도들은 신앙과 생활의 기본 입장이 칼빈주의이고 : 경건주의자들은 루터파 신학의 산물이다.  청교주의(Puritanism) - 경건주의(Pietism) - 복음주의(Evangelicalism)로 시대적 이행과 각기 특성의 공동점과 차이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B . 계몽주의(the Enlightenment)

Ⅳ-53. 계몽주의의 특색이 무엇인가 ?
   (1) 교회의 권위에서 벗어난 인간 이성과 경험에 근거한 자율적 세계관과 인생관의 정립과     추구이다.  인간이 가치 측정의 표준을 자기에 두었다.  자율(自律 Autonomy)의 주장이     모든 사상과 활동의 특색이다.
  
   (2) 르네상스 이후 “自我의 발견” 은 이런 방향으로 계속되였으나 종교계혁, 정통주의, 종교    전쟁 등으로 각광을 받지 못한 채 저류를 이루어 오다가. 신학적으로 암미니안 주의의     옷으로 바꾸어 입고 나타나다가(제 17세기), 30년 종교 전쟁이 끝나고 상업경제의 발달과    함께 하나의 사상적 체계를 세우고 등장하여 제 18세기는 계몽주의 시대가 되고 말았다.
  
   (3) 이 계몽주의 운동은 나라마다 그 특색이 다르다.  종교개혁과 같은 단일성을 이루지 못하였다.  (a)영국의 경험론  (b)독일의 합리주의 -나중에 이상주의(ldealismus)
            (c)불란서의 자연주의이다.   그러나 다같이 이성을 최고의 규범(Norm)으로 삼고,
  
    모든 인문과학을 자연적 체계로 정비하여, 종교, 도덕, 헌법, 시민법, 경제질서의 근거를 이성 또는 자연법에 두려 하였다.

Ⅳ-54.화란의 계몽주의에 대해서 말하라.
   (1) 화란에서 계몽주의는 시발되었다.
      1630년 종교관용(Tolerance)정책과 상업경제 발달과 시민계급의 형성등으로 문화가 발    달하였다.  알미니안이었던 그로티우스의 자연법사상, 성경주석, 자연신학적 경향은 벌    써 자유로운 학문 활동이 있었음을 알수 있다.  데까르뜨, 스피노자, 베일 등이 일찍 활    동하여 계몽주의의 기초를 쌓았다.
  
   (2) 데까르뜨(1596- 1650) : 데까르뜨 학파를 세웠다.
     “의심” 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존재의 근원을 밝히려 하였다.  최후로 남아서 의심할려해   야 할 수 없는 “의심하는 자기” (그의명제 :Cogito, ergo sum)의 존재를 발견하게 되었   다.  이것이 서양 철학과 신학에 큰 영향을 미친 자율(human autonomy)의 발견이다.     이성이 현실의 전부와 과학적 방법문제를 해결한다는 합리주의를 낳게 되었다.
     데까르뜨의 신의 존재에대한 논의는 결국 인간의 인식의 확실성을 증명하는데 이용되었   다.  존재론적 증명(Ontological argument)으로 완전한 존재는 “존재” 까지 포함한다.
     인간의 분명하고 똑똑한 관념들이 타당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한 : 완전한 신이 사람을    “속일” 리가 없기 때무에, 인간의 분명하고 똑똑한 제 관면들이 오류를 범하도록 허락하   지 아니할 것이다.  그러므로 논리적 연역(logical deduction)은 타당할 수밖에 없다. 그   는 신의 존재를 부정하지 아니하였으나 철저한 “세상” 中心의 사상가였다.
  
   (3) 스피노자(Benedictus de Spinoza, 1632 - 1677) :그는 스페인에서 피난은 유대인 가정    에서 자랐으나  자유사상 때문에 출교 당하였다.  그의 철학은 합리주의적 범신론(rational pan-theism)이다.
    그는 교회와는 관련이 없는 철학자이었으나 후세에 기독교에 끼친 영향이 지대하며 지금까지 그 영향은 생생하게 작용하고 있다.  그는 자연신학의 아버지요, 자연주의의 사상적 원천이요, 계시종교의 파괴자이다.
    그는 “신학적-정치적 논문” (Tractatus Theologico-politious 1670)과 윤리학(Ethica, 1677)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혁명적 형이상학을 전개하였다 : 실체(Substance)는 “스스로 존재하는 것이며, 그 자신을 통하여 인식되어 진다” 고 하였다.  다시말하면 그 자체에 대한 관념의 구성은 그 자체의 (外) 다른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체는 “ 신 또는 자연” (deus sive natura)이며, 다만 신은 자기원인(causa sui / 생산하는자연 Natura naturans)이며, 자연은 그의 나타난 것(Natura naturata)이다. 이 실체는 무한하며 수많은 속성중에 생각(cogitatio)과 연장(extension)만 사람에게ㅡ 알려져 있는데, 모든 개체들은 이 두 속성의 양태(modes)들이라 한다.
    
    그리고 인간의 마음이란 필연에 따라 움직이는 비인격적인 신의 지능(Intellect)의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따라서 자유의지를 부정하고 인격의 영원성이나 영혼 불멸도 부정한다.
    최고의 인간활동이란 사랑하는 마음으로 신의 필연성을 정관(靜觀 conremplation)하는 것인데, 이는 겸손과 참회를 통하여 인간의 격정을 완전히 정복한 다음에 가능하다고 하였다.  그의 영향 : 스피노자가 이와 같이 단일 영적 실재(a single speritual reality)라는 기본사상을 가지고 데까르뜨의 영과 육의 분리, 하나님과 세계의 분리 문제를 단번에 해결해 버리므로, 후에 독일 이상주의(German Idealism)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슐라이어막허(Schleiermacher)쉘링(F . W .  J Schelling), 헤겔(G . W . F Hegel)에 영향을 주었다.  지금도 폴틸리히(Paul Tillich)같은 이가 하나님을 초월자로 생각하지 않고 “모든 자연 개물의 창조적 근거” (the Creative ground of all natural objects)라 생각하는 것은 스피노자의 관점에서 보고 있기 때문이다.
  
(4) 삐에르 베일(Pierre Bayle, 1647-1706) : 계뭉철학의 화약고라고 불리워 지는 “역사적 및 비평적 사전”(Dictionaire histirique et Critique, 1695-1697)을 저각하였다.  성경에 대한 합리적 연구를 주장하고 모든 이적을 부인하였다.

Ⅳ-55. 영국 이신론(理神論 Deism)의 발달에 대하여 말하시오.
   (1) 1688년 명예혁명, 1689년 관용령, 1694년 출판 자유등 일련의 자유화 기운이 일자, 화란에서 알미니안 주의와 스피노자의 철학등에 영향을 입은 영국인들이 속속 귀국하여 계몽사상이 퍼지게 되었고, 그 결과로 영국 내에 이신론(Deism)이 득세하였다.  이신론은 독특한 영국적 계몽주의 종교 사상으로 벌써부터 허버트 경에 의하여 주장되어 왔던 것이다.  
    그러나 이 사상도 1750년에는 벌써 세력을 잃게 되고 영국은 웨슬레의 대 부흥운동의 종교적 역기에 휩쓸리게 된다.
  
(2) 이신론의 내용은 허버트 경(Lord Herbert of Cherbury 1581-1648)이 저작한 “지리론”(De veritate, 1620)과 “만민의 종교" (De religione gentilium ...... 1645)에서 모든 종교에 공통되는 5개의 진리를 말하고 있다.  
    (a) 유일신  (b) 예배  (c) 도덕과 경건생활  (d) 인간의 의무는 회개와 악을 멀리함
    (e) 현세와 내세의 보상이다.  기독교도 근본적으로 동일한 관념에서 출발하였으나 타락하여 비 합리적 제도와 교리를 가지게 되었다고 하였다.
    
    존 록크(John Locke, 1632-1704)는 비록 자신은 이신론자가 아니라고 부정하였으나 기독교는 가장 합리적 종교임을 “기독교의 합리성”(Reasonableness of Christianity 1675)이란 저술에서 변증하고 있다.  하나님은 존재하시며, 성경에 기록된 이적들이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한고 하였다.  그러나 항상 이성으로 미신과 신비주의를 가려내고, 이성으로 계시를 평가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의 경험론적 인식론은 모든 선험적 지식을 부정하고 다만 경험에 의하여 지식이 발생한다.  즉 감각과 회상을 통하여 이성작용으로 지식이 생겨난 뿐이며, 본래 인간의 마음은 백지(tabularasa)와 같을 뿐이라 하였다.  이렇게 감각과 이성 작용으로 얻은 지식이 자연계시(Natural revelation)라고 하였다.  이런 사상의 결과는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계시 종교가 자연 종교에게 밀려나게 된 것이다.
    롤크 이후, 본격적인 이신론자들이 나타났다.  18세개 이신론자들은 대담하게
   (a) 계시종교를 부정하고 기독교를 자연종교로 격하시키었고,
   (b) 하나님, 영혼불멸, 윤리등 합리적 요소만 기독교신앙에서 수용하고, 비합리적이라 생각    하는 삼위일체 교리와 성육신 교리를 부정하였다.
   (c) 하나님의 세밀한 섭리를 부정하고 우주의 기계적 운행과 진행을 믿었다.  그 대표자는    톨란드(John Toland, 1670-1722), 클린스(Collins 1676-1729), 틴달(Tindal, 1656-1733)등    이다.  톨란드의 저서 “신비하지 않은 기독교” (Christiamity Not Mysterious, 1736)는    자연종교가 기독교의 원형이며 : 유대교, 희랍 밀교, 플라톤 철학의 악 영향으로 타락하    였다고 지적한다.  탄달의 저서 “창조만큼이나 오래된 기독교” (Christianity as old as    the Creation, 1730)에서도 自然宗敎가 모든 종교의 근본이라 하고 있다.
  
  (3) 1750년대에 오면 이신론은 그 세력을 별써 잃어 버리게된다.  대비드흄(David Hume,     1711-1776)에 의하여 이신론의 근거가 무너지고, 조셉 버틀러(Joseph Butler,            1692-1752)의 기독교 측 반격으로 영국에서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불란서 자연주의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Ⅳ-56. 흄의 회의론(Scepticirm)이 기독교 사상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말하라.
   (1)록크(Locke)의 경험론은 아직도 이신론자들 가운데 합리적 초자연주의(rational           Supernaturalism)를 가능하게 하였다.  계시와 이성을 조화시키려 하였기 때문이다.  
      많은 이신론자들이 구약예언의 성취로 예수님의 메시아성을 증거 하려 하였다.
  
  (2) 흄은 그의 회의론(Scepticism)으로 초자연적인 것에 대한 인식가능성을 부정하였다.  
     “이적론(Essays on Miracles, 1748)이란 저서에서, 철저한 경험론의 입장에서 이적을 부   인하였다.  그의 논리는 이러하다 : 죽은 자의 부활을 회의할 수밖에 없는 것은 인간의   경험상, ” 인간의 증언이 잘못되었을 경우가 많은 것은 경험에 배치되지 아니하나, 이적   이  참되다는 것은 경험에 부합하지 않는다.“
     인간의 인식 능력은 경험의 한계를 절대로 넘어 설 수 없다고 하여, 하나님의 존재, 영   혼불멸, 보편 타당한 진리는 알 수 없는 것이라 하였다.  흄에 이르러 합리적 기독교(이   신론)과 합리주의 자체까지도 파국에 빠져버렸다.  이성이란 경험의 소산일 뿐이며, 심   지어 자아도 지각의 묶음(다발)에 지나지 아니하며, 모든 지각은 경험이 얻은 인상들이 아니면 인상의 모조품인 관념일 뿐이다.  따라서 관념관( 觀念間)의 관계는 확실히 알 수 있으나, 실재의 사실들은 그러리라하는 개연성이상 더 증명할 수 없다.
    인과율도 논리의 개념이 아니며, 인간의 구상력에 인상지어진 습관과 연상의 결과일 뿐이다.  그는 여기에서 형이상학의 가능성도 부정하였다.  물론 하나님의 존재뿐만 아니라 가견적 우주에 대한 신념도 부정하고, 도덕생활도 사실은 의지와 행동을 결정하는 결정에 따라 지배될 뿐이다.
  
(3) 이러한 철저한 합리주의에 대한 비판은 흄이후 새로운 시대 곧 낭만주의, 자연주의, 유물주의 시대를 도래하게 하였고 :독일의 라아다러스(Reimarus)에게 영향을 주고 그리도 칸트로 하여금 시천 이성의 비판을 낳게 하여 자유주의의 근거를 쌓게 하였다.
    종교적으로는 철저한 인본주의에 빠져 기독교 신앙의 침체를 가져오게 허였고 그 기에 대항 반동(反動)으로 급선회하여 “대복음 운동”을 낳게 하였다.

Ⅳ-57. 버틀러의 “종교 유추” (Analogy of Religion, 1752)에 관하여 설명하라.
(1) 조셉 버틀러(Joseph Butler, 1692-1752)는 장노교 가정에서 자랐으나 영국 국교회로 전향   하여 나중에 더함의 감독(Bishop of Durham)이 되었다.
     “종교유추”는 그 원명이 “自然의 구조와 진행에 대비한 자연 종교 및 계시종교”
     (Analogy of Religion, Natural and Revealed, to the Constitution and Course of         Nature, 1734)로 버틀러의 대 저작이며,  기독교 변증서로서 이신론자들에게 계시종ㅇ교   의 합리성을 변증하고 또 한편 회의주의자에게 계시종교와 그 개인성을 증명해 보이고   있다.
  
(2) 첫 부분은 자연계시로서 영혼 불멸성, 상벌, 하나님의 도덕적 통치(moral government of the world)를 변증하였으며, 둘째 부분에서는 특별계시의 필요성을 논한 다음에 이성으로서 계시의 의미와 도덕성과 그 증거를 판단해야 하며, 양심은 신의 선물로서 성경 말씀 중 어느 한 부분이 자기 양심에 거슬릴 수 없어야 된다.
    예수님의 대속 교리를 설명하면서 기독교의 진리는 증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개연성(Probability)이 인생의 인도자가 되니, 이렇게 개연성이 높은 계시도리야말로 믿을 만한 것이 아니겠느냐 하는 것이다.
  
(3) “종교유추” 는 이신론과 회의론에 대한 답으로서 널리 인정되었고, 이것으로 일단 기독교의 변증은, 적어도 영국시민들에게는, 성공적이었다고 보았다.  엄밀히 말하면, 버틀러의 변증방법은 알미니안 적이며, 즉 인간의 이성에 근거한 합리적 기독교의 변증이었다.  그 근저에 있는 전네는 중생 되지 않은 自然人이 이성을 합리적으로 사용하면 자연 진행과 구조를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거기에 유추하여 그리스도의 대속과 하나님의 역사를 깨닫게 되고 믿음에 이를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변증태도는 지금도 소위 “복음주의” (Evangelical)라고 하는 감리교의 변증방법이며 영국 국교회의 태도이다.

Ⅳ-58. 불란서 계몽운동과 기독교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
  (1)불란서의 계몽사상은 영국에서 건너왔다.  볼테에르(Voltaire, 1694-1778)는 영국 이신론         을 받아드렸으며 계몽사상을 보편화시켰다.  그러나 불란서 계몽운동은 그 공격 목표가 교       회와 성부의 불관용 정책이었기 때문에 반 기독교적 색체가 농후하였다.  볼테에르도 나중       에는 신의 필요성을 실제적 생활면에서 찾았고 영혼불멸을 믿지 않고 점차 물질주의에 빠       졌다.      
     그러므로 불란서 계몽주의는 (a) 자연주의  (b) 물질주의  (c) 반기독교(무신론을 포함)를       낳았다.
  
  (2) 룻소(Jean-Jacques Rousseau, 1712-78) : 흄이 룻소를 영국으로 데리고 간 일이 있다.
    그는 흄과 교유를 통하여 벌써 이신론의 단계를 넘어서서 자연주의 또는 낭만주의에 넘어      가고 있다.  그는 감정과 자연을 찬양하는 열혈 선지자이었다.
    자연상태가 행복과 평등의 상태이며 自然에 접근하여 국가생활(정치), 교육 종교생활을 하      는 것이 이상적이라 하였다.  그의 종교는 “自然”이었다.  여기에서 사회계약론(1762), 에밀      (1760)등의 저작이 나왔다.  기독교에 대하여는 신 . 자유 . 영혼불멸을 믿었으나 이신론자      의 신앙정도를 넘지 못하였다.  하나님은 이성으로 증명학 수 없고 종교는 다만 종교감정에      근거하며 순수한 마음의 자연스러운 느낌에서 생긴다고 하였다.
  
(3) 디드로(Diderot, 1713-84) : 백과사전 편찬자로서 계몽사상을 보편화 시켰다.  사전에는  룻       소, 볼테에르, 돌바크(D' Holbach)등이 기고하였으며 종교관용(자유)와 민주사상을 전개하       였기 때문에 1759년 판금되었으나 1772년까지 비밀히 전 28권이 출판되었다.  디드로는 개       인적으로 기계적 유물론을 가지고 있었다.  불란서 계몽사상은 정치적, 사회적으로 큰 영       향을 미쳐 1789년 불란서 대 혁명을 낳게 하였다.

Ⅳ-59. 독일 합리주의 발생에 대하여 설명하라.
   (1) 독일 합리주의는 라이쁘니츠(Leibuitz, 1646-1716)와 그의 사상을 대중학시킨 크리스찬         볼프(Christian Wolff, 179-1754)의 계몽사상이다.
      라이쁘니츠는 만능의 천재로, 정치가, 외교가, 수학자(미적분 발견)기호 논리학을 연구한        사람이요, 발명가(계산기)이었으며, 프러시아 한림원 창설자이다.
  
   (2) 영국 이신론자들처럼 기계적 우주론을 중심사상으로 가지고 있다.  이것이 그의 유명한        “단자론” (簞子論 Monadology 1714-1720)으로 결실되었다.  우주는 무한한 단자(monad)        들 의 체계인데 이 단자들은 자체의 힘을 지닌 불멸의 본체(즉 쪼갤 수 없으며, 언제나         활성을 지님)로서 완전한 상승 연속법칙에 따라 하급 형태의 물질에서 영 . 천사 . 최고        로 신의 형태에까지 이르고 있다.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그 자체는 본체의 무한성을 가        질뿐만 아니라, 모든 존재를 반영하고 있다.
      라이쁘니츠는 신의 존재를 설명할 때에 최고의 단자형태로 표현하기도 하고, 모든 단자를        창조하거나 유출하여 발생케 한 “원형적이며 단순한 본체 ”(the original simple                substance)라 하기도 하였다.  영혼불멸은 영의 본체적 성격이라 하였다.
      우주는 완전한 기계적 기능을 가지므로 죄는 자연질서와 사물의 기계적 구조자체의 성격에        따라 형벌이 있으며, 마찬가지로 의로운 행위도 보상에 있다고 하였다.
      그는 낙관론자로서 이 세상은 “가능한 세계 중에서 가장 좋은 것” 이라 하였다.
  
  (3) 라이쁘니츠의 합리주의는 하나의 잉신론의 형태로서, 록크 처럼 자연 종교와 계시를 조화       시키려 하였으며, 1730년대 독일대학을 매료시켰다.

Ⅳ-60. 독일 신학에 있어서 신학문(Neology)의 발생에 대해서 설명하라.
   (!) 독일 합리주의는 1740-1750에 극성기에 이르렀고 그 영향은 독일 신학계에 소위“신학문”
      (新學問, Neology)과 합리주의신학(rational theology)를 낳게 하였다.
   (2) 특히 교회사와 성경주석에 신학문이 발다라였으며 뷰르텔베르의 경건즈의 성경학자인 제        물러(J . S . Semler, 1725-91)는 그 대표자이다.  그는 획심적인 문제를 제기하였다.
      역사와 합리적 비판에 근거를 둔 성경연구를 하였다.  종교(하나님에 대한 믿음)와 신학을        구분하였으며, 신학을 “학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자유를 주장하였다.  그는 실제로 교회        사를 “역사적”으로 비판하고, 성경론에 대한 “역사적 비평적” 방법을 사용하였다(소위            historisch-Kritisch).
      1771-1775년에 출간한 “정경의 자유비판 논문”에서 정통적인 영감설을 부정하고, 정경이 점        진적으로 발전하였으며 그 가치도 동일하지 않다고 하였다.  도덕적 성격은 하나님에게서         근원하였기 때문이며, 실제로 성경은 예수님의 제자들이 그 당시 시대적 특수형편에 “적용”        (accimodation)하여 썼을 뿐이며, (보편적 도덕적 가치 외에는)현재 우리들에게는 의미가 없        는(역사적)문서라는 것이다.
      그의 에르네스티(Ernesti), 미카일레스(Michaelis)등은 영감론은 유지하나, 문학적(문법)-역        사적 비판을 시도하였다.
   (3) 라이마러스(Samuel Reimarus, 1694-1768)는 렛씽이 익명으로 출판한 라이나러스의 비밀         저작“볼멘빗텔러 단편” (die Wolfenbutteler Fragments, 1774-1778)에서, 독일서는 최초로         자연종교에 근거하여 계시종교를 부정하여 세상을 몰라게 하였다.
  
   (4) 그 결과 : 1770년대에 독일 교회에서 설교가 도덕설교에 그치고 말았으며, 침체에 빠지게        되었다.  따라서 18세기말에 독일 교회는 (a) 칸트에 근거한 자유주의 (도덕주의)를 따라        기독교의 활로를 찾거나 (b)슐라이어막허(Schleiermacher)의 자유주의(종교적 감정주의)를        따라서 활로를 개척해야만 되었다.  한편 경건주의자들은 이러한 합리주의의 영향을 받고        특히 할레대학이 이 물결에 휩쓸렸으나, 일부는 그들이 “마음의 종교”                         (Herzensfrommigkeit)라는 원리를 붙들고 경건으로서 정통교리를 고수하려 하였다.
      프러시아의 프레데릭2세는 볼너 칙령을 내려(Wollnerscher Religionsedickt, 1788) 설교가        들이 정통교리에 위배되는 가르침을 못하게 하였다.  여기에 제물러는 순복하였으나 일반        에게는 별 효과가 없었다.

     C . 제 18세개 영국 복음주의 운동(The Evangelical Movement)

Ⅳ-61. 제 18세기 영국의 종교적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라.
   (1) 알미니안 주의의 영향으로 광교주의(Latitudinarianism)이 성행하였다.  그 대표자는 변증        가 버틀러(Butler)와 설교가 틸룻슨(Tillotson)이다.  이들은 이신론과 흡브스(Hobbes)의         무신론에 대항하여 합리적 신학을 안출하고 교리보다 성경에 근거하여 합리적 도덕생활        을 강조하는 한편 : 엄격한 칼빈주의를 알미니안 주의로 완화시켰다.  따라서 이들의 주        장은 혼합주의 또는 절충주의로서 계시와 이성의 조화를 모색하였으며, 의지의 자유화 보        편 구원설에 동조하였다.
      그 결과는 버틀러 감독에게 1747년 켄터베리 대감독의 지위를 줄려하였을 때 “무너지는        교회를 뒷받침하기에는 너무 늦엇다” 고 말하면서 사양할 정도로 기독교회는 침체와 퇴        락의 길로 내닫고 있었다.
      이신론, 무신론, 합리론은 전체가 기독교인으로 간주되는 영국 국민들 마음에 깊이 뿌리        를 내리고 있었다.
  
  (2) 과격한 알미니안들은 일위파 교회(Unitarian Church)를 조직하여 수많은 교인이 여기에        가담하였다.  요셉 프리슬리(Joseph Priestly)는 그 대표자이다. 이 운동은 나중 19세기 더       욱 크게 성장하고, 미국 회중교회를 거의 전멸시키게 된다.
     이들은 삼위일체를 부인하고 따라서 하나님의 일위(Unipersonality of God)이심을 주장하       여 예수님의 신성을 부인한다.  그들은 무 신조 주의이다. (No Creed).  처음에는 성경에       근거하였으나 19세기 이르러는 이성과 양심을 신앙과 생활의 기준으로 삼았다.
  
  (3) 기독교의 합리화 경향에 대한 반동으로 신비주의와 밀교가 일어났다.  “자유 석수단”
     (自由石手団, Freemasonry)같은 비밀 결사와, 1788년 이후에는 스웨덴보르그(Swedenborg,       1688-1772)교회가 섰다.  스웨덴보르그는 스웨덴 출신의 과학자요 신비 사상가로서 과학적       분석으로 우주가 근본적으로 영적 구조(Spiritual structure)를 가지고 있는 것을 증명하려       하였다.
     1743-5사이에 갑자기 영적 실체들을 만나게 되었다고 한다.  그후로 꿈과 환상을 통하여,       그리고 생시에도, 영계와 영물과 접촉하였다고 하며 주님의 지시로 새 교회를 세우려고 노       력하였다.
     그는 조직교회를 원하지 아니 하였으나 1787년에 웨슬레파의 설교가들이 “새 예루살렘 교       회”(the New Jerusalem Clrurch )를 설립하였다.
     그의 가르침에는 삼위일체 부정, 영계와 물질계의 대칭, 일반적으로 범신론적 요소를 많이       지니고 있다.

Ⅳ-62. 제 18세기 영국 북음운동(Evangelical Movement)의 선구자들에 관하여 설명하라.
(1) 다른 여러 가지의 신앙운동처럼 훼슬레와 휫필드의 대 부흥운동이 있기 이전에 그 길을 열      어 놓은 선구자들이 있다.
    필립 두드릿지(Philip Doddridgs, 1702-51), 토마스 보스턴(Thomas Boston), 어스킨 형제들      (Ebenezer Erskine, 1680-1754 그리고 Ralph Erskine)들은 모두 칼빈주의자들로서 특별히       회개화 전도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정통주의 칼빈파의 엄격한 노선과 큰 마찰을 일으켰다.      특별히 1717년에 익명의 저작인 “현대신학의 골수”(The Marrow of Modern Oivinity, 1645)      가 재간되자 “골수 논쟁”(the Marrow controversy)이 스콧트란드 장노교회내에서 일어났으      며 서로 “반 율법주의” (Antinomianism)이다,  “신 율법주의”(Neonomianism)이다 하며 싸      웠다.
    보스턴은 이 논쟁의 주역이었으며 단순한 칼빈주의 교리를 증거하고, 인간의 네 가지 상태      를 논한 “인성의 네 상태” (Human Neture in Its Fourfold State)를 저술하여 회개와 새생      활을 강조하였다.  어스킨 형제들은 스콧트란드 장노교회와 투쟁하면서 전도설교를 하였다.     이들은 알미니안 주의가 교회를 망하게 하며 도덕을 타락시킨다고 생각하고, 예정과 선택을     그들의 설교에서 강조하였다.
  
(2) 복음운동은 특별히 1730년대에 미국, 스콧트란드, 웨일스 그리고 영국에 널리 퍼졌다.  처음     미국에서 일어난 운동은 화란 개혁파 목사 트렐링하이젠(T . J . Frelinghuysen)이 회개와      새 생활을 외치고(1719)이어서 테난트(Gilbert Tennent)가 합세하여 펜실바니아주에 살고 있     던 장노교인들에게 부흥의 불길을 일으킴으로 시작되었고, 이 불길이 1735년 조나단 에드워     드(Jonathan Edwards 1703-1758)의 교회에 이르게 되었다.  이것이 미국의 대부흥운동이다.
   그 다음으로 1735년에 하우월 헤리스(Howel Harris)가 웨일스 지방에서 성례를 베풀다가 복     음의 역사가 강력하게 일어남을 느꼈다.  그는 생전에 300교회를 세웠으며 순회목사로 지방     마다 다니며 복음을 전하고 핍박도 많이 받았다.  휫필드와 협조하며 나중에 웨일스 칼빈주     의 메소디스교회(the Welsh Calvinistic Methodists)를 세우게 되었다. (나중에 웰쉬 장노교     회라 불리워짐)
  
(3) 이러한 부훙운동의 성격은 종교개혁과 같이 교회의 개혁에 그 목적이 있지 않고, 개혁파 교     회의 신앙과 생활의 침체상태에서 재기하여 북음의 능력을 힘입게 함에 있었다. 그러므로 주     목표는 명목상의 기독교인들에게 구원의 복음을 강력하게 전하고 회개와 새 생활을 촉구한     것이다.

Ⅳ-63. 조지 휫필드의 칼빈주의 북음운동(Calvinistic Evangelicalism)에 대해서 설명하라.
  (1) 휫필드는 1741년 웨슬레와 신학문제로 서로 길을 달리하게되었다.  그는 복음운동에 항상       따르기 마련인 알미니안 주의 위험을 간파하고 선택과 예정교리에 근거한 칼빈주의 신학       을 고수하였다.  그리고 끝까지 전도자로 일생을 마치고, 어떤 조직을 만들지 않았다.  교      회를 새롭게 하였고, 개인의 생활을 개선시켰고, 또한 그의 교역의 결과는 미국의 독립운동      이란 큰 혁명의 밑거름이 되기고 하였다.
  
  (2) 휫필드는 1714년 영국 글루스터에서 태어나 영국 국교회 목사가 되었다.  1735년에 오랜      영혼의 고민과 육체의 교통을 거쳐 갑자기 죄 용서함과 구원의 확신을 느끼게 되고 소위       “개심의 경험”을 하게 되었다.  특히 웨슬레 형제들이 주도하는 “옥스포드 학생회”에서 찰      스 췌슬레의 도움으로 헨리 스쿠결(Hener Scougal)의 “인간의 영혼에 내재한 하나님의         삶”(The Life of God in the Soul of Man, 1677)이란 책을 읽고 이러한 놀라운 경험을 하였      다고 한다.  그는 웨슬레 형제들과 미국 조지아에 가서 선교를 하였으며, 거기에 고아원을      설립하고, 그 기금을 모으려고 영국 각지에서 설교하였다.  그의 설교는 야외에서 하였는데,      스콧트란드에서는 한번에 2만명이 들었다고 한다.  명설교가요, 부흥운동과 새 생활운동의      주축이었다.  그는 일곱 차례나
    미국을 방문하여 전도하였고, 학교와 고아원 등 여러 기관들을 창설하였다.

Ⅳ-64. 웨슬레의 부흥운동에 대해서 설명하라.
  (1)요한 웨슬레(John Wesley, 1703-91)와 그의 동생 찰스 웨슬레(Charles Wesley, 1707-1788)      은 옥스퍼드  대학 재학시 혹스포드 학생회(Oxford club, 1729)를 조직하고 20여명의 학생      들이 이를 “성결 클럽” (Holy Club)이라 불렀다. 이 클럽의 특색이 생활의 질서와 규율이었      으므로 “메스다스트” (Methodists)란 벌명을 가지게 되었다.
    이들은 윌리암 로(William Law)의 지도를 받았다. 로는 1729년에 “거룩하고 경건한 생활을      심각하게 촉구함” (Serious Call to a Holy and Devout Life)이란 책을 저술하여, 경건생활      을 강조하였다.  이들이 1736년 미국 조지아 주에 선교사로 가 있는 동안 모라비아 교도들      과 그들의 지도자 스팡겐베르그를 만나 구원의 확신에 대한 질문을 받고 당황하였으며, 그      들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요한 웨슬레는 조지아 선교 실패 후 영국으로 돌아와서, 1738      년 5월 24일 알더스게이트(Aldersgate)소집회에서 루터의 로마서 주석 서문에 기록된 루터      의 개심기를 읽을
    때에 갑자기 마음이 더워지고, 구원을 얻으려면 그리스도 한 분만 의지하며, 주께서 자기       죄를 제거하시고 죄와 사망에서 자기를 건져 주셨다는 확신이 생겼다고 한다.
  
(2) 개심 이후 사랑과 열심으로, 훈련과 노역으로 “만인의 심령 속에 하나님의 은혜로, 하나님의     생활이 시작되고, 증진되고, 보존되게 하여, 실제적인 종교를 실천하도록” 힘을 썼다.
   그는 “세계를 교구” 로 전도에 온 힘을 기울이었다.  단순한 북음과 지옥의 무서움과 회개의     필요성을 설교하여 큰 하나님의 역사가 일어났다.
   국교회 목사들이 웨슬레의 부흥집회를 방해하기 때문에 노천설교를 하였으며 1739년에는 평     신도들을 설교자(lay preachers)로 양성하여 설교하게 하였고, 새로운 결신자를 얻으면 작은     그룹(bands)로, 속회(classes)로 무리를 지어 주고, 새로 얻은 신앙을 서로 격려하며 계속하     도록 하였다.  이들은 초대 교회와 같이 “상호교육”(mutual edification)과 “형제적 교           정”(fraternal correction)에 힘을 썼다.  사람들이 많아지자 같은 해에(1739)집회소를 마련하     였다.
  
(3) 1741년에 교리 문제로 휫필드와 웨슬레의 분열에 있었으며, 1742년 웨슬레는 단독으로 영국     곳곳으로 전도하였으며 매년 8,000마일을 말을 타고 다니며 순회 전도하였다고 한다.  그리     하여 그가 죽을 때에는 294명의 설교자, 영국에만 71,668명의 교인, 19명의 선교사와 5,300명     의 외방신도, 그리소 미국에 198명의 성교자와 43,265명의 교인이 있었다고 한다.
  
(4) 웨슬레는 영국 국교회예 남아서 전도하기를 원하였으나 1768년 미국 선교를 위해서 토마스     콕(Thomas Coke)에게 안수하였고, 그에게 부탁하여 에슈베리(Ashbury)를 안수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1744년에 모인 설교자들의 연회가 차츰 교회구실을 하게 되어 1784년에는 자기 사     후에도 계속하여 복음전도를 하도록 “100인회”에 소유권과 전도운동의 방향에 대하여 일임     시켰으며 1791년 그가 죽자 정식으로 웨슬레 메소디스트 교회(the Wesleyan Methodist         Churen)가 설립되었다.
  
(5) 웨슬레의 신학은 청교도들의 신앙전통을 가졌으나 백스터와 같은 알미니안 주의 경향이 농     후하였다.  엄격한 예정과 선택을 부정하고, 알미니우스처럼 하나님의 사랑과 인간의 반응에     역점을 둔 인본주의적 사상을  가졌다.  그러나 윤리적인 면에서는 훈련과 시간 생활, 경제     적 책임, 오락금지등 청교도들과 같은 경건 생활을 주장하였다.

Ⅳ-65. 영국 국교회내의 “복음주의자” (Evangelicals)에 대하여 말하라.
  (1) 대 복음 운동으로 인하여 국교회 내부의 신교적 요소가 강화되었다.  그들의 신학은 칼빈       주의이고, 개인의 회개와 예수님의 대속의 죽음을 믿음으로 구원받음을 강조하였다.  휫필       드의 노선을 따르며, 국교회 내부에 남아서 복음운동을 하려 하였다.  그 대표자로서는 헨       리 벤(Henry Venn, 1725-95), 과 선교회 창설자중 하나인 존 벤(John Venn,1759-1813), 그       리고 한 때 노예선 선장으로 일하다가 회개하고 목사가 된 존 뉴톤(John Nawton,              1725-1807), 캠브릿지 대학을 지금까지 복음주의의 온상이 되게 한 아이삭 밀너(Issac          Milner, 1751-1820)등이다.
     이들은 숫 적으로 소수이었으나 국교회와 영국 전체에 큰 영향을 끼쳤다.
  
(2) 부유한 복음주의자들로서 평신도들이 클랩팝지역에 모여 살았기 때문에 “클랩팜                파”(Clapham Sect)라 불리워졌는데, 이들은 기존의 사회질서를 유지하면서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을 각자 자기 지위와 신분에서 차할려고 노력하였다.  그 중에 유명한 윌리암       위버포스(William Wilberforce, 1759-1833)은 국교회의 복음주의 목사들과 교류한 끝에 개       심하고, 노예제도 폐지 운동을 일으켜 1833년 제국내에 노예매매제도가 폐지되게 하였고,       1787년에는 부도덕 퇴치 협회조직, 1810년에 기독교 신문 창설, 1804년 대영 성서공회와        해외 성서공회 창설, 그리고 각종의 학교, 주일학교, 감옥개선 등을 위해서 노력하였다.
     이 그룹의 회원 중 한 사람인 그랜빌 샤프(Granville Sharp)는 1787년 해방된 노예를 위해       서 시에라 레오니(Sierra Leone)국을 창설하는 데 큰 역활을 하였다.
  
(3) 그리고 영국 국교회의 평신도인 로버트 래이크스(Robert Raikes 1735-1811)는 1780년 글루      스터(Gloucester)시에 처음으로 주일학교(Sunday School)을 시작하였다.
    존 하워드(John Howard 1726-1790)은 비국교도로서 감옥개선에 공헌을 하였다.
  
(4) 1796년에 교회 선교회를 국교회 평신도들이 창설하였다.
    이때에는 각 파에서 선교열이 대단하여 초교파적인 런던 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 1795)가 생기고, 1796에 스콧트란드 선교회가 생겼으며, 1793년에는 침례교 선교회      에서 윌리암 케리(William Carey)를 인도 선교사로 파송하여 칼컷타 근처 세라포레            (Serampore)에서 선교하였다.  그 이후로 런던 선교회는 남아시아, 중국에까지 선교사를 파      송하여 큰 전도 운동이 일어났다.
  
(5) 이러한 국교회 복음주의 자들의 활동은 영국사회에 큰 활력을 주었고, 기독교 신앙도 새로      운 힘을 찾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