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의 몸을 먹고 흘리신 피를 마신다는 말의 뜻은 무엇입니까?

: 그것은 믿는 마음으로 그리스도의 모든 고난과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이며 믿음으로 사죄와 영생을 얻게 된다는 뜻입니다.1) 더욱이 그것은 그리스도 안에 그리고 우리 안에 거하시는 성령을 통하여 우리가 그리스도의 복된 몸에 연합됨을 의미합니다.2) 그래서 주님은 하늘에 계시고3) 우리는 땅에 있을지라도 우리는 주님의 살이며 주님의 뼈인 것입니다.4) 그리하여 우리 신체의 각 부분이 한 영혼에 의하여 지배를 받듯이 우리도 한 영에 의하여 지배를 받으면서 영원히 살게 되는 것입니다.5)

 

1)요한복음 6:35,40,50-54

2)요한복음 6:55; 고린도전서 12:13

3)사도행전 1:9-11; 고린도전서 11:26; 골로새서 3:1

4)고린도전서 6:15-17; 에베소서 5:29,30; 요한일서 4:13

5)요한복음 6:56-58; 15:1-6; 요한일서 3:2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1.02.23-129 김반석 2019.05.26
공지 하이델베르크 신앙고백 자료에 관하여 선지자 2014.08.08
공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1563 독일) 선지자 2014.08.06
72 제 61문 : 왜 믿음으로만 하나님 앞에서 의로와질 수 있다고 말합니까? 선지자 2014.08.06
71 제 62문 : 왜 선행을 통해서는 하나님 앞에서 의로와질 수 없으며, 왜 선행은 의로와지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까? 선지자 2014.08.06
70 제 63문 : 하나님께서는 선행에 대하여 이 세상과 오는 세상에서 보상해 주시겠다고 약속하셨는데, 왜 당신은 그토록 선행을 무시합니까?1) 선지자 2014.08.06
69 제 64문 : 그렇다면 사람들은 그러한 교훈으로 인해 선행에 관하여 무관심해지고 사악해지지 않겠습니까? 선지자 2014.08.06
68 제 65문 : 당신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와 그의 복에 참여하고 있다고 고백합니다. 그렇다면 그 믿음은 어디서 오는 것입니까? 선지자 2014.08.06
67 제 66문 : 성례란 무엇입니까? 선지자 2014.08.06
66 제 67문 : 그러면 말씀과 성례는 구원의 유일한 토대의 그리스도의 십자가 구속사역에 대한 우리의 믿음에 그 촛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입니까? 선지자 2014.08.06
65 제 68문 : 신약성경을 통해서 볼 때 그리스도께서는 몇가지 성례를 제정하셨습니까? 선지자 2014.08.06
64 제 69문 : 세례는, 십자가에서 이루신 그리스도의 속죄사역이 당신을 위한 일이었다는 것을 어떻게 확신시켜 줍니까? 선지자 2014.08.06
63 제 70문 : 그리스도의 피와 영으로 씻음받는다는 것은 무슨 뜻입니까? 선지자 2014.08.06
62 제 71문 : 우리가 물세례로 씻음을 받는 것처럼 그리스도의 피와 영으로도 씻음받는다는 확실한 약속이 어디에 있습니까? 선지자 2014.08.06
61 제 72문 : 물에 의한 외부적 씻음 자체가 죄를 씻어 줍니까? 선지자 2014.08.06
60 73문 : 그러면 왜 성령께서는 세례를 중생의 씻음과 죄의 씻음이라고 부르십니까? 선지자 2014.08.06
59 제 74문 : 유아들도 세례를 받아야 합니까? 선지자 2014.08.06
58 제 75문 : 십자가에서 단번에 드리신 그리스도의 속죄제사와 그의 모든 복에 당신이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성만찬은 어떻게 상기시키고 확신시켜 줍니까? 선지자 2014.08.06
» 제 76문 :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의 몸을 먹고 흘리신 피를 마신다는 말의 뜻은 무엇입니까? 선지자 2014.08.06
56 제 77문. 그리스도께서 믿는 자들이 이 뗀 떡을 먹고 이 잔을 마시는 것이 분명한 것처럼,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몸과 피로 믿는 자들을 먹이시고 새롭게 한다고 하는 약속은 어디에 있습니까? 선지자 2014.08.06
55 제 78문 : 떡과 포도주는 그리스도의 실제 몸과 피로 변화됩니까? 선지자 2014.08.06
54 제 79문 : 그러면 왜 그리스도께서는 떡을 자기 몸이요, 잔을 자기 피, 혹은 피로 맺은 새 언약이라고 부르셨습니까? 그리고 사도 바울이 만찬을 그리스도의 몸과 피에 ‘동참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선지자 2014.08.06
53 제 80문 : 성만찬은 로마 카톨릭의 미사와 어떻게 다릅니까? 선지자 2014.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