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국인 문화) 43. 금문

2014.08.20 11:09

선지자 조회 수:

금문

[ 金文 ]

금문은 청동기에 주조되거나 새겨진 문자를 말한다. 금문의 주된 사용시기는 서주시대이므로 일반적으로 서주금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상나라 청동기에도 족휘(族徽, 부족을 상징하는 문양)를 비롯한 문자가 주조되어 있는데, 오히려 갑골문보다 상형성이 더 농후하다. 또 서주이후에 춘추전국시대의 청동기에도 많은 금문이 주조되거나 새겨져 있다. 그러나 자체상으로 금문은 일반적으로 서주의 금문을 말한다.
선지자선교회
금문은 주로 청동기물에 주조되어 있기 때문에 종정문(鐘鼎文)이라고도 하고, 이기명문(彛器銘文)이라고도 하며, 당시에 청동을 길금이라 하였기 때문에 길금문자(吉金文字)라고도 한다. 금문은 갑골문과는 달리 고대부터 세상에 전해져 내려온 것이어서 이에 대한 연구도 일찍부터 진행되었다. 금문은 정벌(征伐)·책명(冊命)·상사(賞賜)·사전(祀典)·계약(契約) 등 당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내용을 풍부하게 반영하고 있다.

원래 예악기·생활도구 등으로 사용된 청동기는 한편으로는 왕권의 상징으로 대표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하나라에서 제작한 9개의 정(鼎)은 전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천자의 상징이 되었는데, 천하를 도모하는 것이 "九鼎의 무게가 얼마인지를 묻는다(問鼎)"로 대변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칼로 새긴 갑골문이 날카롭고 각이 지며 가느다란 것에 반하여, 동기에 주조된 금문은 굵고 둥글어서 중후한 풍격을 지니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1.02.23-174 김반석 2019.05.26
75 (중국 중국인 문화) 79. 전통 왕조의 몰락과 새로운 시대의 서막-청(淸)과 중화민국(中華民國) 선지자 2014.08.20
74 (중국 중국인 문화) 80. 두 가지 전쟁-국공내전과 항일전쟁 선지자 2014.08.20
73 (중국 중국인 문화) 81. 또 다른 분열-대륙과 타이완 선지자 2014.08.20
72 (중국 중국인 문화) 82. 중국 사상의 특징 선지자 2014.08.20
71 (중국 중국인 문화) 83. 중국 사상의 주류 선지자 2014.08.20
70 (중국 중국인 문화) 84. 선진(先秦) 사상 선지자 2014.08.20
69 (중국 중국인 문화) 85. 진한의 철학사상 선지자 2014.08.20
68 (중국 중국인 문화) 86.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수(隋)·당(唐)의 철학사상 선지자 2014.08.20
67 (중국 중국인 문화) 87. 송(宋)·원(元)·명(明)의 철학사상 선지자 2014.08.20
66 (중국 중국인 문화) 88. 청(淸)의 철학사상 선지자 2014.08.20
65 (중국 중국인 문화) 89. 중국문학사 기술의 문제 선지자 2014.08.20
64 (중국 중국인 문화) 90. 중국문학의 갈래와 그 특징 선지자 2014.08.20
63 (중국 중국인 문화) 91. 시가문학 선지자 2014.08.20
62 (중국 중국인 문화) 92. 산문문학 선지자 2014.08.20
61 (중국 중국인 문화) 93. 서사문학 선지자 2014.08.20
60 (중국 중국인 문화) 94. 희극문화 선지자 2014.08.20
59 (중국 중국인 문화) 95. 중국의 시문전통과 통속문학적 전통 선지자 2014.08.20
58 (중국 중국인 문화) 96. 중국문학에 대한 통합적 이해의 필요성 선지자 2014.08.20
57 (중국 중국인 문화) 97. 근현대문학의 이해 선지자 2014.08.20
56 (중국 중국인 문화) 98. 근현대문학의 형성배경 선지자 201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