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국인 문화) 45. 소전

2014.08.20 11:11

선지자 조회 수:

소전

[ 小篆 ]

상나라 갑골문과 서주의 금문이 각각 당시의 표준문자를 대표한다면, 전국문자의 자체는 그 지역성만큼이나 통일되어 있지 않았다. 갑골·금문·주문으로 이어지는 한자자체의 정통을 이어받은 진나라는 진시황이 천하를 통일한 후 서동문(書同文-문자자체 표준화 정책)을 실시하여 대전을 기초로한 소전을 만들었다. 이로써 한자는 지역적 혼란을 벗어나 표준자체를 갖추게 되었다. 서동문 사업은 그 후 중국 각 조대에서 시행한 문자 표준화 정책 시행에 큰 영향을 미친다.
선지자선교회
소전은 필획이 복잡한 대전자체를 상당히 간략화하고 고쳐서 만든 진나라 통일 국가의 표준자체이다. 물론 이 문자표준화사업은 대전과 불일치하는 육국의 고문을 통합하고 폐지하는 과정에서 진행된 것이다. 진나라 소전의 가장 대표적인 자료는 진시황이 천하를 통일한 후 전국을 유람하면서 각석한 역산(嶧山)·태산(泰山)·낭야대(琅玡臺) 등이다. 체계적인 소전 위주의 자서는 동한 허신의 『설문해자』로 모두 9,353자를 수록하고 있다. 물론 설문에 수록된 소전 자체가 모두 진나라 소전의 면모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소전의 풍격을 고찰하는 데 가장 귀중한 자료이다.

소전의 특징은 갑골문·금문 등과 비교하면 자연적으로 드러나는데,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한자의 부호적인 성질을 정립함으로써 한자 자형 결구의 규율을 구비하도록 하였다. 갑골문과 금문의 결구 형태는 규율성이 엄밀하지 않은 반면, 소전은 선형화되어서 자형이 도화의 특징에서 더욱 탈피하게 되었다. ② 한자 결구를 정형화하여 편방의 위치와 형체를 고정시켰다. ③ 윤곽을 모두 묘사한 갑골문과 윤곽 내부를 다 메운 금문의 자체를 일률적으로 선형화하였다. ④ 자형규격과 필세를 통일하였다. 따라서 소전은 이전의 한자에 비하여 상형성이 약화되어 자체를 통하여 한 눈에 객관 대상을 인식하는 한자 특유의 표의성을 상실하게 하는 시발점이 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1.02.23-174 김반석 2019.05.26
75 (중국 중국인 문화) 79. 전통 왕조의 몰락과 새로운 시대의 서막-청(淸)과 중화민국(中華民國) 선지자 2014.08.20
74 (중국 중국인 문화) 80. 두 가지 전쟁-국공내전과 항일전쟁 선지자 2014.08.20
73 (중국 중국인 문화) 81. 또 다른 분열-대륙과 타이완 선지자 2014.08.20
72 (중국 중국인 문화) 82. 중국 사상의 특징 선지자 2014.08.20
71 (중국 중국인 문화) 83. 중국 사상의 주류 선지자 2014.08.20
70 (중국 중국인 문화) 84. 선진(先秦) 사상 선지자 2014.08.20
69 (중국 중국인 문화) 85. 진한의 철학사상 선지자 2014.08.20
68 (중국 중국인 문화) 86.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수(隋)·당(唐)의 철학사상 선지자 2014.08.20
67 (중국 중국인 문화) 87. 송(宋)·원(元)·명(明)의 철학사상 선지자 2014.08.20
66 (중국 중국인 문화) 88. 청(淸)의 철학사상 선지자 2014.08.20
65 (중국 중국인 문화) 89. 중국문학사 기술의 문제 선지자 2014.08.20
64 (중국 중국인 문화) 90. 중국문학의 갈래와 그 특징 선지자 2014.08.20
63 (중국 중국인 문화) 91. 시가문학 선지자 2014.08.20
62 (중국 중국인 문화) 92. 산문문학 선지자 2014.08.20
61 (중국 중국인 문화) 93. 서사문학 선지자 2014.08.20
60 (중국 중국인 문화) 94. 희극문화 선지자 2014.08.20
59 (중국 중국인 문화) 95. 중국의 시문전통과 통속문학적 전통 선지자 2014.08.20
58 (중국 중국인 문화) 96. 중국문학에 대한 통합적 이해의 필요성 선지자 2014.08.20
57 (중국 중국인 문화) 97. 근현대문학의 이해 선지자 2014.08.20
56 (중국 중국인 문화) 98. 근현대문학의 형성배경 선지자 201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