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국인 문화) 49. 행서

2014.08.20 11:15

선지자 조회 수:

행서

[ 行書 ]

행서는 해서와 초서가 흥성한 뒤에 형성된 자체이며, 해서와 초서의 장점을 겸비한 중간적인 성격을 지닌 자체이다. 해서는 한 획 한 획 또박또박 써야 하기 때문에 빨리 쓸 수 없는데 반해, 행서는 자형의 원래 모습을 잃지 않는 범위 안에서 초서의 필획을 연이어 쓰는 장점을 취하여 서사의 편리를 실현한 자체이다. 문자의 변별력과 서사의 재빠름을 모두 구현한 행서는 지금에 이르기까지 필기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1.02.23-174 김반석 2019.05.26
115 (중국 중국인 문화) 38. 형성 선지자 2014.08.20
114 (중국 중국인 문화) 39. 전주 선지자 2014.08.20
113 (중국 중국인 문화) 40. 가차 선지자 2014.08.20
112 (중국 중국인 문화) 41. 한자의 발전과 변화 선지자 2014.08.20
111 (중국 중국인 문화) 42. 갑골문 선지자 2014.08.20
110 (중국 중국인 문화) 43. 금문 선지자 2014.08.20
109 (중국 중국인 문화) 44. 주문(籒文)과 고문(古文) 선지자 2014.08.20
108 (중국 중국인 문화) 45. 소전 선지자 2014.08.20
107 (중국 중국인 문화) 46. 예서 선지자 2014.08.20
106 (중국 중국인 문화) 47. 초서 선지자 2014.08.20
105 (중국 중국인 문화) 48. 해서 선지자 2014.08.20
» (중국 중국인 문화) 49. 행서 선지자 2014.08.20
103 (중국 중국인 문화) 50. 간략화된 현대 한자-간화자 선지자 2014.08.20
102 (중국 중국인 문화) 51. 말의 규칙 : 혼돈 속의 질서 선지자 2014.08.20
101 (중국 중국인 문화) 52. 이름이 용법이다 선지자 2014.08.20
100 (중국 중국인 문화) 53. 대충 말해도 의사소통이 된다? 선지자 2014.08.20
99 (중국 중국인 문화) 54. 사류와 구자성분은 일대일 대응관계가 아니다. 선지자 2014.08.20
98 (중국 중국인 문화) 55. 어순이 한국어와 비슷하다? 선지자 2014.08.20
97 (중국 중국인 문화) 56. 주제가 두드러진 언어이다. 선지자 2014.08.20
96 (중국 중국인 문화) 57. 오해와 이해 선지자 201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