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국인 문화) 49. 행서

2014.08.20 11:15

선지자 조회 수:

행서

[ 行書 ]

행서는 해서와 초서가 흥성한 뒤에 형성된 자체이며, 해서와 초서의 장점을 겸비한 중간적인 성격을 지닌 자체이다. 해서는 한 획 한 획 또박또박 써야 하기 때문에 빨리 쓸 수 없는데 반해, 행서는 자형의 원래 모습을 잃지 않는 범위 안에서 초서의 필획을 연이어 쓰는 장점을 취하여 서사의 편리를 실현한 자체이다. 문자의 변별력과 서사의 재빠름을 모두 구현한 행서는 지금에 이르기까지 필기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1.02.23-174 김반석 2019.05.26
75 (중국 중국인 문화) 79. 전통 왕조의 몰락과 새로운 시대의 서막-청(淸)과 중화민국(中華民國) 선지자 2014.08.20
74 (중국 중국인 문화) 80. 두 가지 전쟁-국공내전과 항일전쟁 선지자 2014.08.20
73 (중국 중국인 문화) 81. 또 다른 분열-대륙과 타이완 선지자 2014.08.20
72 (중국 중국인 문화) 82. 중국 사상의 특징 선지자 2014.08.20
71 (중국 중국인 문화) 83. 중국 사상의 주류 선지자 2014.08.20
70 (중국 중국인 문화) 84. 선진(先秦) 사상 선지자 2014.08.20
69 (중국 중국인 문화) 85. 진한의 철학사상 선지자 2014.08.20
68 (중국 중국인 문화) 86.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수(隋)·당(唐)의 철학사상 선지자 2014.08.20
67 (중국 중국인 문화) 87. 송(宋)·원(元)·명(明)의 철학사상 선지자 2014.08.20
66 (중국 중국인 문화) 88. 청(淸)의 철학사상 선지자 2014.08.20
65 (중국 중국인 문화) 89. 중국문학사 기술의 문제 선지자 2014.08.20
64 (중국 중국인 문화) 90. 중국문학의 갈래와 그 특징 선지자 2014.08.20
63 (중국 중국인 문화) 91. 시가문학 선지자 2014.08.20
62 (중국 중국인 문화) 92. 산문문학 선지자 2014.08.20
61 (중국 중국인 문화) 93. 서사문학 선지자 2014.08.20
60 (중국 중국인 문화) 94. 희극문화 선지자 2014.08.20
59 (중국 중국인 문화) 95. 중국의 시문전통과 통속문학적 전통 선지자 2014.08.20
58 (중국 중국인 문화) 96. 중국문학에 대한 통합적 이해의 필요성 선지자 2014.08.20
57 (중국 중국인 문화) 97. 근현대문학의 이해 선지자 2014.08.20
56 (중국 중국인 문화) 98. 근현대문학의 형성배경 선지자 201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