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학의 갈래와 그 특징

그러면 중국문학의 갈래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 중국문학의 그 많은 갈래를 몇 개로 구분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문학을 파악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으로 유효한 것은 갈래구분이다. 중국문학의 갈래를 나누는 방법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2분법인데, 바로 운문과 산문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이 경우 운문에는 시(詩), 사(詞), 곡(曲), 부(賦)가 포함되며, 산문에는 신화 전설, 일반 산문, 소설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 운율의 유무를 가지고 문학의 갈래를 나누는 법은 너무나 형식에 치우쳐 본질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선지자선교회
예를 들어 서사시는 운율이 있지만 구조는 오히려 운율이 없는 소설에 가깝고, 한대의 부와 위진시대의 변려문(騈儷文)은 산문처럼 서술적이지만 운율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중국문학에는 변문(變文)이나 강창문학(講唱文學)과 희곡처럼 운산혼합체(韻散混合體)가 많기 때문에, 운문과 산문으로 나누는 것은 근본적으로 합당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3분법을 들 수 있는데, 서정·서사·희극으로 나누는 방법이다. 서정속에는 『시경(詩經)』이래 중국 시가문학 대부분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서사 속에는 신화 전설로부터 소설까지의 이야기 문학이 모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희극 속에는 원대(元代)의 희문(戱文)과 잡극(雜劇)에서 청대(淸代)에 유행하기 시작한 경극(京劇)까지를 포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의 3분류의 경우, 교훈성이나 논리성, 그리고 실용성과 철학성을 가진 산문문학을 포괄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중국문학의 장르는 크게 시가문학, 서사문학, 희극문학, 산문문학으로 나누는 것이 매우 합당하다고 생각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1.02.23-174 김반석 2019.05.26
115 (중국 중국인 문화) 38. 형성 선지자 2014.08.20
114 (중국 중국인 문화) 39. 전주 선지자 2014.08.20
113 (중국 중국인 문화) 40. 가차 선지자 2014.08.20
112 (중국 중국인 문화) 41. 한자의 발전과 변화 선지자 2014.08.20
111 (중국 중국인 문화) 42. 갑골문 선지자 2014.08.20
110 (중국 중국인 문화) 43. 금문 선지자 2014.08.20
109 (중국 중국인 문화) 44. 주문(籒文)과 고문(古文) 선지자 2014.08.20
108 (중국 중국인 문화) 45. 소전 선지자 2014.08.20
107 (중국 중국인 문화) 46. 예서 선지자 2014.08.20
106 (중국 중국인 문화) 47. 초서 선지자 2014.08.20
105 (중국 중국인 문화) 48. 해서 선지자 2014.08.20
104 (중국 중국인 문화) 49. 행서 선지자 2014.08.20
103 (중국 중국인 문화) 50. 간략화된 현대 한자-간화자 선지자 2014.08.20
102 (중국 중국인 문화) 51. 말의 규칙 : 혼돈 속의 질서 선지자 2014.08.20
101 (중국 중국인 문화) 52. 이름이 용법이다 선지자 2014.08.20
100 (중국 중국인 문화) 53. 대충 말해도 의사소통이 된다? 선지자 2014.08.20
99 (중국 중국인 문화) 54. 사류와 구자성분은 일대일 대응관계가 아니다. 선지자 2014.08.20
98 (중국 중국인 문화) 55. 어순이 한국어와 비슷하다? 선지자 2014.08.20
97 (중국 중국인 문화) 56. 주제가 두드러진 언어이다. 선지자 2014.08.20
96 (중국 중국인 문화) 57. 오해와 이해 선지자 201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