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양'과 '찬양과 찬송'의 차이점 硏究

2007.05.14 14:43

반석 조회 수: 추천:

'찬양'과 '찬양과 찬송'의 차이점 硏究
선지자선교회

이름 : 반석     번호 : 147
게시일 : 2005/08/12 (금) PM 11:11:16  (수정 2005/08/12 (금) PM 11:21:39)    조회 : 57  

■ '찬양'과 '찬양과 찬송'의 차이점 硏究



● 찬양

(삼하18:28) 아히마아스가 외쳐 왕께 말씀하되 평강하옵소서 하고 왕의 앞에서 얼굴을 땅에 대고 절하여 가로되 왕의 하나님 여호와를 찬양하리로소이다 그 손을 들어 내 주 왕을 대적하는 자들을 붙여 주셨나이다



찬양(讚揚)이라는 것은 하나님을 찬송하므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그 찬송을 찬양이라 말합니다.


● [찬송과 찬양]의 차이점

찬송은 찬송이 된 면을 말하고 찬양은 찬송하는 면을 말합니다. 찬송은 하나님을 찬송하므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 찬송이요, 찬양은 찬송하는 자가 하나님을 찬송하므로 영화로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그 찬송을 찬양이라 합니다.

그러기에 찬송은 하나님께 받은 은혜를 찬송하므로 그 은혜를 베푸신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 찬송이요, 찬양은 우리가 하나님께 받은 은혜를 찬송하므로 우리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 찬양입니다.

[(시66:2) 그 이름의 영광을 찬양하고 영화롭게 찬송할지어다]

[(시101:1) 내가 인자와 공의를 찬송하겠나이다 여호와여 내가 주께 찬양하리이다]

[(시135:3) 여호와를 찬송하라 여호와는 선하시며 그 이름이 아름다우니 그 이름을 찬양하라]

완전 대 온전
성결 대 정결
찬송 대 찬양

하나님은 완전 우리는 온전
하나님은 성결 우리는 정결
하나님을 찬송 우리는 찬양

하나님께서 완전이 없으시면 우리의 온전은 있을 수 없고
하나님께서 성결이 없으시면 우리의 정결은 있을 수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찬송 받으실 것이 없으면 우리의 찬양이 있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하나님을 찬송을 해야 그 찬송 자체가 찬양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면을 대비해서 잘 상고하면 찬송과 찬양이 가지는 뜻의 차이점을 좀 쉽게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그 차이점을 좀 더 보충해서 설명한다면 찬송은 하나님 면이 되겠고 찬양은 우리 면이 되겠습니다. 그러기에 찬송은 찬송을 받으실 하나님 면을 말한 것이 되겠고, 찬양은 찬송을 하는 우리 면을 말한 것이 되겠습니다.

그러므로 찬송과 찬양이라는 것은 그 내용은 같은 것이나 나타내는 면에서 둘로 나누어 표현한 것인데 곧 찬송을 받으실 하나님과 찬송을 하는 우리와의 관계에서 각각 별도로 초점한 면을 찬송과 찬양으로 구분해서 표현한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감사라는 것도 은혜를 입혀주신 분께 감사를 하면 감사를 드린 것이 되고, 또 은혜를 입은 자로서는 그 감사를 드린 것이 또한 사은한 것이 됩니다.

이와 같이 찬송도 찬송을 받을 하나님께는 찬송이 되고, 그 찬송을 하는 자는 찬양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찬송이 우리가 하나님 부분을 말할 때는 찬송이라 하고, 찬송하는 우리 부분을 말할 때는 찬양이라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찬송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면 그 면은 찬양이 되고, 그 찬송으로 하나님을 높이면 그 면은 하나님을 찬송하는 것이 됩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찬송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면 그것은 찬양이 되고 그 찬양을 받으시는 하나님께는 그 찬양이 찬송이 되는 것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4.06.02-2563 김반석 2024.01.21
공지 조직신학 정리에 대하여 (서론) 김반석 2024.01.21
공지 성막 공부 (서론편, 구조편, 기구편, 재료편, 건축편, 공과편) 김반석 2013.01.26
공지 성경연구에 대한 세 가지 김반석 2023.10.12
공지 성경의 기본교리 곧 구원의 기본교리 [1] 김반석 2022.05.07
공지 홈페이지 자료 복사를 막은 이유 [1] 김반석 2016.03.04
공지 성경연구 정리방식 김반석 2017.12.24
323 단7:25의 ‘한 때와 두 때와 반 때’ 연구(3) 김반석 2011.09.20
322 은혜의 구원과 믿음의 구원 ① - 2012.02.22 보완 김반석 2011.09.11
321 계20:5의 ‘그 나머지 죽은 자들’ 연구 김반석 2011.09.10
320 단8:13-14의 ‘이천삼백 주야’ 연구 김반석 2011.09.09
319 구약의 성신과 신약의 성령 김반석 2011.09.09
318 마10:1의 ‘귀신’ 연구 김반석 2011.09.08
317 단7:25, 계12:14의 ‘한 때와 두 때와 반 때’ 연구(2) 김반석 2011.08.29
316 계1:20의 ‘일곱 교회의 사자와 일곱 교회’ 연구 김반석 2011.08.26
315 눅3:23의 예수님께서 가르침을 시작할 때 ‘삼십 세 쯤’ 연구 김반석 2011.08.20
314 마4:1-10의 ‘마귀와 사단의 이름’ 연구 김반석 2011.08.07
313 겔4:5-6의 ‘1일이 1년이니라’ 연구 김반석 2011.07.28
312 계22:17의 ‘성령과 신부’ 연구 김반석 2011.07.27
311 고전8:5-6을 근거한 하나님에 대한 호칭 김반석 2011.07.25
310 살전4:17의 ‘끌어올려(携擧)’ 연구 김반석 2011.06.18
309 십사만 사천과 흰 옷을 입은 큰 무리 김반석 2011.06.18
308 눅1:35의 ‘지극히 높으신 이의 능력이 너를 덮으시리니’ 연구 - (성령으로 잉태) 김반석 2011.05.22
307 요14:6의 ‘길이요 진리요 생명’과 요일5:8의 ‘성령과 물과 피’ 연구 김반석 2011.05.21
306 요14:6의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 연구 김반석 2011.05.17
305 세례 요한의 물 세례와 요3:5의 물과 성령 김반석 2011.05.09
304 엡2:1의 ‘허물과 죄’ 연구 김반석 2011.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