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철저하게 신앙인, 철저하게 한 민족의 일원

  선지자선교회

무교회주의 주장

 

그러나 일제시대, 동경유학을 가서 우치무라에게서 성경공부를 배우며 신앙생활을 한 여섯 명의 첫 한국 무교회자들(김교신, 함석헌, 송두용, 정상훈, 유석동, 양인성)이 우치무라에게서 배운 것은 결코 일본적 기독교로서의 무교회가 아니었습니다. 신앙의 내용이라기보다는 신앙의 정신이었죠. 무교회 정신. 철저하게 신앙인이려하고 철저하게 한 민족의 일원이려 하는 그 정신 말입니다. (1: 왜 하필 무교회인가?)

 

성경적 반증

 

1. 무교회주의는 일제시대, 동경유학을 가서 우치무라에게서 성경공부를 배우며 신앙생활을 한 여섯 명의 첫 한국 무교회자들(김교신, 함석헌, 송두용, 정상훈, 유석동, 양인성)이 우치무라에게서 배운 것은 결코 일본적 기독교로서의 무교회가 아니었습니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김교신은 우치무라 간조에게 배운 영향을 받아 자칭 한국적 기독교로서의 무교회를 세우려 하였다.

 

2. 무교회주의는 신앙의 내용이라기보다는 신앙의 정신이었죠. 무교회 정신. 철저하게 신앙인이려하고 철저하게 한 민족의 일원이려 하는 그 정신 말입니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철저한 신앙인은 오직 주 예수를 믿는 신앙인이어야 하는 것이지 철저하게 한 민족의 일원이려 하는 것은 철저한 신앙인이 아닌 것이다.

 

- 2017. 9. 15 선지자문선교회 김반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이단과 사이비교의 성격분석 김반석 2023.10.11
공지 이단과 사이비교의 규정법은 성경 김반석 2023.09.21
공지 이단과 사이비교에 대한 정의(定義) 김반석 2023.03.12
공지 이단과 사이비교 구분 선지자 2023.01.15
공지 이단의 교리 목록과 사이비교의 교리 목록 김반석 2022.11.10
공지 이단과 사이비(교) 그 분별과 분석 김반석 2018.08.03
공지 2021.02.23-54 김반석 2019.05.26
15 7-7 함석헌의 씨ㅇ.ㄹ사상 선지자 2017.09.30
14 7-8 함석헌의 새(新) 종교 선지자 2017.09.30
13 8-1 무교회론은 무교회 신자수 만큼이나 많고 다양 선지자 2017.10.03
12 8-2 성령은 결코 획일의 영이 아니다 선지자 2017.10.03
11 8-3 한국적 유산들을 공부하고 검토 선지자 2017.10.03
10 8-4 평신도 공부마당 선지자 2017.10.03
9 8-5 성서와 한국을 양손에 잡는 것 선지자 2017.10.03
8 8-6 무교회는 세속사회 “안”에서 성스러운 공동체 선지자 2017.10.03
7 8-7 한국무교회는 지적 엘리트의 모임 선지자 2017.10.03
6 엡2:20은 ‘무교회주의와 쉐마교육’에 대한 대표적 반증성구 김반석 2020.01.14
5 엡2:20은 ‘무교회주의와 쉐마교육’에 대한 대표적 반증성구 - 2차 보완본 김반석 2020.03.15
4 평신도 공동체는 ‘교회의 직분’을 부정하는 비성경적 비교회적 이단이다 선지자 2020.03.23
3 고전4:1-2은 평신도 공동체(무교회주의)를 반증하는 대표적 성구 김반석 2020.03.28
2 교수가 없는 의과대학 김반석 2020.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