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의 심판대 흰 보좌 심판대

  선지자선교회

(서문)

 

이 글은 그리스도의 심판대에 대한 글과 흰 보좌 심판대에 대한 글이다. 이 글은 본래 심판에 대하여에 수록된 글이다. ‘심판에 대하여에 수록된 글에서 그리스도의 심판대의 글과 흰 보좌 심판대의 글을 별도로 발췌한 것은 이 두 심판대를 뚜렷이 나타내기 위함이다. 그리하여 그리스도의 심판대흰 보좌 심판대를 검색하면 이 자료를 찾기가 용이할 것이다.

 

그리스도의 심판대와 흰 보좌 심판대를 대비한 것은, 그리스도의 심판대는 우리 믿는 신자에 대한 심판이며, 흰 보좌 심판대는 믿지 아니하는 불신자에 대한 심판이기 때문이다.

 

(본문)

 

1. 그리스도의 심판대

 

(고후5:9-10) 그런즉 우리는 거하든지 떠나든지 주를 기쁘시게 하는 자 되기를 힘쓰노라 *이는 우리가 다 반드시 그리스도의 심판대 앞에 드러나 각각 선악간에 그 몸으로 행한 것을 따라 받으려 함이라

 

우리가 다 반드시 그리스도의 심판대 앞에 드러나 각각 선악간에 그 몸으로 행한 것을 따라 받으려 함이라하셨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받은 믿는 신자들을 말씀한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심판대는 우리 믿는 신자가 받는 심판이다.

 

그러면 믿는 우리가 그리스도의 심판대 앞에 드러나 각각 선악간에 그 몸으로 행한 것을 따라 받는 것은 무엇인가?

 

(고전3:11-15) 이 닦아 둔 것 외에 능히 다른 터를 닦아 둘 자가 없으니 이 터는 곧 예수 그리스도라 *만일 누구든지 금이나 은이나 보석이나 나무나 풀이나 짚으로 이 터 위에 세우면 *각각 공력이 나타날 터인데 그 날이 공력을 밝히리니 이는 불로 나타내고 그 불이 각 사람의 공력이 어떠한 것을 시험할 것임이니라 *만일 누구든지 그 위에 세운 공력이 그대로 있으면 상을 받고 *누구든지 공력이 불타면 해를 받으리니 그러나 자기는 구원을 얻되 불 가운데서 얻은 것 같으리라

 

이 터는 곧 예수 그리스도라 *만일 누구든지 금이나 은이나 보석이나 나무나 풀이나 짚으로 이 터 위에 세우면 *각각 공력이 나타날 터인데 그 날이 공력을 밝히리니 이는 불로 나타내고 그 불이 각 사람의 공력이 어떠한 것을 시험할 것임이니라 *만일 누구든지 그 위에 세운 공력이 그대로 있으면 상을 받고 *누구든지 공력이 불타면 해를 받으리니 그러나 자기는 구원을 얻되 불 가운데서 얻은 것 같으리라하셨다. 이것이 그리스도의 심판대 앞에 드러나 각각 선악간에 그 몸으로 행한 것을 따라 받는 것이다.

 

1) 금이나 은이나 보석으로 세우는 공력

 

예수 그리스도의 터 위에 금이나 은이나 보석으로 세우는 공력은 무엇인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에게 보혜사 성령이 임하셔서 영원토록 함께 거하시고(14;16-17), 모든 것을 가르치시고(14:26), 예수께서 그리스도이심을 증거 하시는(14:26) 것이며,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에게 주의 성령이 임하셔서 기름을 부으시고 포로 된 자에게 자유를, 눈먼 자에게 다시 보게 함을 전파하며, 눌린 자를 자유케 하시는(4:18) 것이다,

 

2) 나무나 풀이나 짚으로 세우는 공력

 

예수 그리스도의 터 위에 나무나 풀이나 짚으로 세우는 공력은 무엇인가? 그것은 육신의 연약한 자, 하나님께 순종치 아니하는 죄인 된 자, 육신의 생각으로 하나님과 원수 된 자이다.

 

3) 누구든지 그 위에 세운 공력이 그대로 있으면 상을 받고

 

누구든지 그 위에 세운 공력이 그대로 있으면 상을 받고는 무엇인가?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보혜사 성령이 임하시는 자와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주의 성령이 임하시는 자에게 의로우신 재판장이 그 날에 주시는 의의 면류관(딤후4:8)’생명의 면류관(1:12)’영광의 면류관(벧전5:4)’을 말씀한다.

 

4) 누구든지 공력이 불타면 해를 받으리니

 

누구든지 공력이 불타면 해를 받으리니 그러나 자기는 구원을 얻되 불 가운데서 얻은 것 같으리라는 무엇인가?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보혜사 성령이 임하심과 주의 성령이 임하심의 의와 생명과 영광은 없고,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죄 사함만 있는 것을 말씀한다.

 

2. 흰 보좌 심판대

 

(20:11-15) 내가 크고 흰 보좌와 그 위에 앉으신 자를 보니 땅과 하늘이 그 앞에서 피하여 간데없더라 *또 내가 보니 죽은 자들이 무론 대소하고 그 보좌 앞에 섰는데 책들이 펴 있고 또 다른 책이 펴졌으니 곧 생명책이라 죽은 자들이 자기 행위를 따라 책들에 기록된 대로 심판을 받으니 *바다가 그 가운데서 죽은 자들을 내어 주고 또 사망과 음부도 그 가운데서 죽은 자들을 내어 주매 각 사람이 자기의 행위대로 심판을 받고 *사망과 음부도 불못에 던지우니 이것은 둘째 사망 곧 불못이라 *누구든지 생명책에 기록되지 못한 자는 불못에 던지우더라

 

또 내가 크고 흰 보좌와 그 위에 앉으신 자를 보니 땅과 하늘이 그 앞에서 피하여 간데없더라. 또 내가 보니 죽은 자들이 무론 대소하고 그 보좌 앞에 섰는데 책들이 펴 있고 또 다른 책이 펴졌으니 곧 생명책이라. 죽은 자들이 자기 행위를 따라 책들에 기록된 대로 심판을 받으니 *바다가 그 가운데서 죽은 자들을 내어 주고 또 사망과 음부도 그 가운데서 죽은 자들을 내어 주매 각 사람이 자기의 행위대로 심판을 받고, 사망과 음부도 불못에 던지우니 이것은 둘째 사망 곧 불못이라 *누구든지 생명책에 기록되지 못한 자는 불못에 던지우더라하셨다. 그러므로 흰 보좌 심판대는 믿지 아니하는 불신자가 받는 심판이다.

 

1) 흰 보좌 심판대 앞에 행위록과 생명책

 

내가 크고 흰 보좌와 그 위에 앉으신 자를 보니 땅과 하늘이 그 앞에서 피하여 간데없더라 *또 내가 보니 죽은 자들이 무론 대소하고 그 보좌 앞에 섰는데 책들이 펴 있고 또 다른 책이 펴졌으니 곧 생명책이라하셨다. 이 말씀은 흰 보좌 심판대 앞에 행위록과 생명책이 펴져있다는 것이다.

 

2) 행위록에 기록된 대로 심판

 

죽은 자들이 자기 행위를 따라 책들에 기록된 대로 심판을 받으니 *바다가 그 가운데서 죽은 자들을 내어 주고 또 사망과 음부도 그 가운데서 죽은 자들을 내어 주매 각 사람이 자기의 행위대로 심판을 받고하셨다. 이 말씀은 믿지 아니하는 불신자들이 자기의 행위대로 멸망의 사망의 심판을 받는다는 것이다.

 

3) 생명책에 기록되지 못한 자는 불못

 

누구든지 생명책에 기록되지 못한 자는 불못에 던지우더라하셨다. 이 말씀은 예수 믿지 아니하는 불신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죄 사함을 받지 못하였기에 불못(지옥)에 던지움을 받는다는 것이다.

 

 

- 2019. 1. 21 선지자문서선교회 김반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4.06.16-1706 김반석 2024.01.21
공지 조직신학 정리에 대하여 (서론) 김반석 2024.01.21
공지 성경의 기본교리 곧 구원의 기본교리 [1] 김반석 2022.05.07
626 여호와 對 그리스도 김반석 2019.03.19
625 죄 사함과 의롭다 함, 그리고 이신칭의 김반석 2019.03.15
624 철학적 교리용어 김반석 2019.03.09
623 세례의 두 종류와 성령 세례의 두 요소 김반석 2019.03.06
622 ‘이신칭의’에 대한 성경적 해석 - 2차 보완본(2019.03.05) 김반석 2019.03.06
621 평강의 두 요소 김반석 2019.03.03
620 거저, 차별이 없이, 값없이 김반석 2019.03.02
619 은혜의 두 요소 김반석 2019.02.28
618 믿음의 두 요소 김반석 2019.02.28
617 구원의 두 요소 김반석 2019.02.23
616 '이신칭의'에 대한 성경적 해석 - 1차 정리본(2019.02.22) 김반석 2019.02.22
615 구약의 '율법과 복음' 신약의 '복음과 율법' 김반석 2019.02.19
614 의(義)와 선(善)이 무엇인가 김반석 2019.02.18
613 ‘율법과 복음’에 대한 총론 김반석 2019.02.15
612 율법 對 은혜와 진리 김반석 2019.02.12
611 율법의 의 對 믿음의 의 김반석 2019.02.12
610 사망 對 영생 김반석 2019.02.02
609 하나님의 예정에 대한 문답 김반석 2019.01.28
608 성경적 구원의 서정 - 수정 2019. 1. 27. 클릭하면 상단에 수정부분 안내 김반석 2019.01.25
607 죽음에 대하여 김반석 2019.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