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문헌적 용례

상식의 범위 내에서 가장 손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경로는 고대 문헌 가운데 출현하는 문화와 관련된 용례를 살펴보는 일일 것이다. 거기서는 다음과 같은 구절들이 발견된다.

"무릇 무력이 흥하면 복종하지 않게 되고, 문화를 개변하지 않으면 그 뒤 주살이 더해진다.(凡武之興, 爲不服也; 文化不改, 然後加誅.)"(劉向, 『說苑•指武』)

"안으로는 문화가 화목하게 하고, 밖으로는 무공이 멀리 미치게 한다.(文化內輯, 武功外悠.)"(束晳, 『補亡詩•由儀』)

"안으로는 문화로써 화목하게 하고, 밖으로는 무덕으로써 멀리 미치게 함을 말한 것이다.(言以文化輯和於內, 用武德加於外遠也.)"(蕭統, 『昭明文選』卷十九)

이들 구절에서 문화는 주로 '문치(文治)'의 의미로 쓰여지고 있는데, 여기서 문화는 무력이라는 의미와 짝을 이루고 있다. 그런가하면 다음 구절에서는 문화의 함의가 단순한 '문치'의 의미를 넘어 우주론적인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천문을 관찰함으로써 시세의 변동을 통찰하고, 인문을 관찰함으로써 천하를 화육(化育)하여 만들어낸다.(觀乎天文, 以察時變; 觀乎人文, 以化成天下.)"(『周易•賁卦•象傳』)1)

오늘날 우리가 '천문학'이니 '인문학'이니 할 때의 '천문'과 '인문'이란 단어가 바로 여기서 나오는데, 이때 '인문'은 또 '천문'과 짝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문화'가 '무공'의 상대적인 의미로 쓰여지고 있는데 반해 '인문'은 '천문'의 상대적인 의미보다도 오히려 상보적인 의미에 가깝다는 점이다. 이 점은 문화에 관한 서양적인 정의와 비교해 보면 보다 확연히 드러난다.
선지자선교회
서양의 맥락에서 문화는 라틴어 'cultus', 영어 'culture', 독일어 'kultur'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이 말은 본래 "밭을 갈아 경작한다"는 뜻으로 농경사회에서 생산 일반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던 것이 점차 의미가 확대되어 "가치를 창조한다"는 의미, 즉 변화•전환•발전을 포괄하는 생성 일반의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이 개념에 관한 학자들의 정의는 너무나 다양해서 일일이 나열하기가 불가능할 정도이다. 그러나 그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자들이 공히 지적하는 속성이 존재한다.

그것은 "넓은 의미에서의 문화 또는 문명이란 지식, 신념, 예술, 도덕, 법, 관습, 그리고 기타 사회성원으로서 인간에 의해 획득된 모든 능력과 습관들을 포함하는 복합적 전체"(A. Tylor, 『Primitive Culture』)라는 점, 그리고 "사회성원들에 의해 학습되고(learned), 공유되고(shared), 양식화되면서(patterned),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transmitted) 것"(Kottak, 『Anthropology』)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보면, 문화란 생물학적 유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신념이나 사회적 가치 등에 의해 이루어진 행위들이며, 동시에 언어라는 매개를 통해 학습되고 그것이 사회적으로 공유된 것이 된다.2)

이처럼 서양에서의 문화 개념이 주로 자연적인 것에 대한 인간적인 것, 비사회적인 것에 대한 사회적인 것, 비역사적인 것에 대한 역사적인 것, 무의식적인 것에 대한 의식적인 것, 무반성적인 것에 대한 반성적인 것에 무게중심이 쏠려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고대 중국에서의 '인문'이 '천문'과 상보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는 사실은 중국문화의 특수성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런 식의 문헌적 용례나 그것을 통한 동서양의 단순비교는 용이한 접근경로를 제공해주는 듯이 보이지만, 조금만 생각해 보면 이 경로가 갖는 한계가 분명해진다. 이런 경로를 통해 우리는 몇 가지 단순한 사실을 확인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사실들이 우리의 사고를 더 멀리까지 밀고나가게 하지는 못한다.

그렇다면 가능한 접근경로는 없는 것일까? 이 시점에서 우리는 생각의 방향을 중국문화 자체로 향하게 할 것이 아니라 중국문화가 성립하게 된 조건과 토대로 되돌릴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왜냐하면 "중국문화는 어떤 조건과 토대 속에서 성립되었는가?"하는 물음이야말로 "중국문화란 무엇인가?" 혹은 "중국문화는 어떤 과정을 통해 변화•발전해 왔는가?"하는 식의 성급한 물음보다 훨씬 더 많은 생각의 계기를 우리에게 제공해 줄 것처럼 보여지기 때문이다.

각주

  1. 1이상 문화에 관한 중국 문헌의 인용문은 李宗桂, 『중국문화개론』(李宰錫 옮김, 東文選, 1991) 19-20쪽을 참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1.02.23-174 김반석 2019.05.26
55 (중국 중국인 문화) 32. 한자 기원에 대한 전설 선지자 2014.08.20
54 (중국 중국인 문화) 31. 한자의 기원 선지자 2014.08.20
53 (중국 중국인 문화) 30. 한자 : 상징의 세계 선지자 2014.08.20
52 (중국 중국인 문화) 29. 중국어 외래어의 특징 선지자 2014.08.20
51 (중국 중국인 문화) 28. 중국어에 보이는 친족관 선지자 2014.08.20
50 (중국 중국인 문화) 27. 중국어에 보이는 음식문화 선지자 2014.08.20
49 (중국 중국인 문화) 26. 색채어휘에 보이는 문화적 함의 선지자 2014.08.20
48 (중국 중국인 문화) 25. 중국어 어휘에 나타나는 문화의 유형 선지자 2014.08.20
47 (중국 중국인 문화) 24. 중국어의 유형학적 특징 선지자 2014.08.20
46 (중국 중국인 문화) 23. 중국어 : 중국어의 특징 선지자 2014.08.20
45 (중국 중국인 문화) 22. 중국의 언어와 문자 선지자 2014.08.20
44 (중국 중국인 문화) 21. 중국의 차 선지자 2014.08.20
43 (중국 중국인 문화) 20. 인간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중국문화 선지자 2014.08.20
42 (중국 중국인 문화) 19. 문화유형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중국문화 선지자 2014.08.20
41 (중국 중국인 문화) 18. 우주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중국문화 선지자 2014.08.20
» (중국 중국인 문화) 17. '문화'의 문헌적 용례 선지자 2014.08.20
39 (중국 중국인 문화) 16. 중국문화 : 중국문화의 조건과 토대 선지자 2014.08.20
38 (중국 중국인 문화) 15. 전세계의 화교 네트워크 선지자 2014.08.20
37 (중국 중국인 문화) 14. 중국 내 소수민족의 역할 선지자 2014.08.20
36 (중국 중국인 문화) 13.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선지자 201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