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외래어의 특징

외래어는 보편적인 언어현상으로 모든 민족의 각종 언어에 보이고 있다. 또한 외래어는 언어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인 동시에 문화와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어느 민족의 문화를 막론하고 그 발전의 과정 속에서 부단히 외래문화를 흡수함으로써 자신들의 문화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가는 것을 우리는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언어는 문화교류의 핵심적인 매개체이기에 문화의 교류는 반드시 언어 중에 나타나는데 이것이 바로 어휘의 교류인 것이다. 우선 중국어 외래어 수용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살펴본 후, 중국어에 보이는 외래어의 독특한 양상을 통하여 중국문화의 한 단면을 살펴보기로 하자.
선지자선교회
① 선진(先秦)·양한(兩漢) 때 중앙아시아의 제 언어에서 유입된 외래어.
②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때 범어(梵語)에서 유입된 외래어.
③ 당(唐)·송(宋)·원(元) 때 돌궐어(突厥語)·몽고어(蒙古語)에서 유입된 외래어.
④ 무술정변(戊戌政變, 1898)에서 신해혁명(辛亥革命, 1911) 사이 일본어(日本語)에서 유입된 외래어.
⑤ 5·4 운동(1919) 이후 영어(英語)에서 유입된 외래어.
⑥ 1949년 신중국성립 이후 러시아어에서 유입된 외래어.
⑦ 기타 남방방언과 중국내 소수민족언어에서 유입된 외래어.

이와 같은 외래어 수용의 역사를 통해 볼 때, 중국어가 외래어를 수용하는 양상은 ① 음역 중심시기→② 음역·의역 병행시기→③ 의역 중심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독특한 수용방식은 다른 언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희귀한 현상이다. 여타 언어에서 보이는 외래어는 모두 음역중심이기 때문이다. 중국어 음역외래어의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역외래어에 속하는 어휘의 대부분은 현대생활과 밀접한 일상용어와 외래상표이다. 이같은 현상은 구미문화의 전면적인 수입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예컨대, '派典'(paradigm), '愛死病'(AIDS), '迪斯科'(disco), '三明治'(sandwich), '肯德基'(KFC), '麥當勞'(McDonald's), '易-買得'(E-Mart), '家樂福'(Carrefour) 등이 있다.

둘째, 음역외래어에 속하는 어휘의 도태현상이 나타남과 동시에, 음역에 의역이 가미된 외래어의 생명력은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 중국어 외래어 수용의 역사를 통해 볼 때, 음역외래어의 총 수량은 의역외래어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것은 중국어의 전통인 '음·의동원(音·義同源)'과 한자의 표의문자적 특성에서 연유된 바이다. 이런 까닭에 현대 중국어에서의 순수한 음역외래어는 상기한 것처럼 일상생활과 밀접한 외래상표와 인명·지명 등의 고유명사 그리고 약간의 추상적인 문화방면의 어휘들이다. 이들 중 문화방면의 어휘는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의역외래어로 대체되는 경향이 보인다. 예컨대, '德謨克拉(democracy)'→'民主', '伯里璽天德(president)'→'總統', '賽因斯(science)'→'科學', '德律風(telephone)'→'電話', '煙士披里純(inspiration)'→'靈感' 등이 있고, 어떤 경우는 음역외래어와 의역외래어가 공존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angel'에는 '安琪兒'과 '天使'가 있고, 'motor'에는 '馬達'와 '電動機'가 있으며, 'camera'에는 '開麥拉'와 '照相機'가 있다. 또한 'microphone'에는 '麥克風'과 '擴音器'가 있고, 'boycott'에는 '杯葛'와 '抵制'가 있는 경우가 그러하다. 이러한 음역외래어는 다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 하나는 음역과 의역을 겸한 것인데, 'basic'이 '培基'로, 'humour'가 '幽默'로, 'index'가 '引得'으로, 'radar'가 '雷達'로, 'talk show'가 '脫口秀'로 표기되는 경우가 그러하고, 다른 하나는 음역 가운데 의역이 내포된 것으로 'cocacola'가 '可口可樂'로, 'pepsicola'가 '百事可樂'로, 'mini'가 '迷你'로, 'shampoo'가 '香波'로 표기되는 경우가 그러하다.

셋째, 중국어 방언에서 흡수한 음역외래어도 자주 보인다. 근대 이래로 상하이(上海)와 광저우(廣州)는 중국 대외개방의 요충지였다. 외래어들이 먼저 이 두 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한 연후에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예컨대, '沙發'나 '加拿大' 등의 외래어는 상하이로부터 수입된 것임에 틀림없다. '沙發'의 원래 어휘는 'sofa'인데, 상하이 방언에서는 '沙'자를〔so〕로 읽는다. '加拿大'의 영어 어휘는 'Canada'인데, 상하이 방언에서는 '加'자를〔ka〕로 읽는다. 이들 외래어의 음독은 상하이 방언으로 읽어야만 외래어의 원래 발음과 부합된다. 광저우 방언에서 먼저 정형화된 외래어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예로는 '鴉片'(opium)이나 '三明治'(sandwich)를 들 수 있다.

이상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외래어 수용과정에서 중국어는 의역을 특히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왜 그럴까? 그것은 아마 한자의 표의문자적 특성 때문일 것이다. 한자는 음성을 표기함과 동시에 의미도 전달한다. 대부분의 언어에 있어서 언어요소의 결합은 음성 규칙에 준하여 진행되는 반면, 중국어는 표의적 규칙에 의하여 어휘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중국어의 의역방식은 언어현상일 뿐 아니라 중국인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사유방식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의역을 일종의 문화현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중국어는 의역을 통하여 외래어휘를 중국어 자신의 어휘로 완전히 변형시켜 소화해내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의역을 일종의 문화적 동화(cultural assimilation)현상으로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1.02.23-174 김반석 2019.05.26
55 (중국 중국인 문화) 32. 한자 기원에 대한 전설 선지자 2014.08.20
54 (중국 중국인 문화) 31. 한자의 기원 선지자 2014.08.20
53 (중국 중국인 문화) 30. 한자 : 상징의 세계 선지자 2014.08.20
» (중국 중국인 문화) 29. 중국어 외래어의 특징 선지자 2014.08.20
51 (중국 중국인 문화) 28. 중국어에 보이는 친족관 선지자 2014.08.20
50 (중국 중국인 문화) 27. 중국어에 보이는 음식문화 선지자 2014.08.20
49 (중국 중국인 문화) 26. 색채어휘에 보이는 문화적 함의 선지자 2014.08.20
48 (중국 중국인 문화) 25. 중국어 어휘에 나타나는 문화의 유형 선지자 2014.08.20
47 (중국 중국인 문화) 24. 중국어의 유형학적 특징 선지자 2014.08.20
46 (중국 중국인 문화) 23. 중국어 : 중국어의 특징 선지자 2014.08.20
45 (중국 중국인 문화) 22. 중국의 언어와 문자 선지자 2014.08.20
44 (중국 중국인 문화) 21. 중국의 차 선지자 2014.08.20
43 (중국 중국인 문화) 20. 인간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중국문화 선지자 2014.08.20
42 (중국 중국인 문화) 19. 문화유형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중국문화 선지자 2014.08.20
41 (중국 중국인 문화) 18. 우주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중국문화 선지자 2014.08.20
40 (중국 중국인 문화) 17. '문화'의 문헌적 용례 선지자 2014.08.20
39 (중국 중국인 문화) 16. 중국문화 : 중국문화의 조건과 토대 선지자 2014.08.20
38 (중국 중국인 문화) 15. 전세계의 화교 네트워크 선지자 2014.08.20
37 (중국 중국인 문화) 14. 중국 내 소수민족의 역할 선지자 2014.08.20
36 (중국 중국인 문화) 13.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선지자 201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