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주께로 인도한 허드슨 테일러’ - 3. 선교사 지망생들에게

  선지자선교회

테일러는 선교지망생에게 이렇게 경고한다. “이제 선교사가 되려는 사람이 선교회나 자기와 친근한 사람들로부터 떨어져 혼자 설 수 있는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면 선교를 포기하십시오. 또한 우리 선교회의 신실하고 충성스런 멤버가 되려면 선량하고 경건한 사람들로부터의 조롱과 심지어는 적대에도 각오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오직 내가 바라는 것은 내륙에 들어가 중국 옷을 입고 가능한 한 중국식으로 살아갈 준비가 온전히 되어있는 사람들입니다. 조용하고 홀가분한 자세로 진득하게 사람들을 사랑할 사람들이 아니면 중국은 그리스도께로 돌아오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원하는 선교사는 범사에 어느때든 예수님과 중국 영혼들을 첫째목표로 놓을 수 있으며 그것을 위해서라면 생명까지도 바칠 수 있는 사람입니다. 그런 남자, 그런 여자가 있다면 너무 많을까봐 개의치 마시고 얼마든지 보내주십시오. 그들이야말로 진주보다도 값진 사람들입니다.”

 

선교에 대한 테일러의 원칙이 있다.

1) 하나님의 충족하심을 의뢰하라

2) 아직 아무도 복음이 전하지 않은 곳에 복음을 가지고 들어가라

3) 그곳 사람들과 똑같이 생활하라

4) 믿는 자들을 가르치며 자국인 지도자를 훈련시키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1.02.23-119 김반석 2019.05.26
80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21. 한부선의 북장로교 탈퇴와 뉴브룬스윅 노회에의 헌정 선지자 2014.03.26
79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22. 한국에서의 미 정통장로교 선교와 한부선 선지자 2014.03.26
78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23. 일제의 신사참배(神道) 강요정책 선지자 2014.03.26
77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24. 신사참배 강요와 한국교회 선지자 2014.03.26
76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25. 신사참배 가결과정과 그 이후 선지자 2014.03.26
75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26. 한국 선교부 내에서의 다양한 반응들 선지자 2014.03.26
74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27. 만주와 한국교회의 역사 선지자 2014.03.26
73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28. 만주에서 태양신과 싸우는 한부선 선지자 2014.03.26
72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29. “장로교 언약문서”와 “한국의 청교도들” 선지자 2014.03.26
71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30. 죄수 한부선과 “감옥송(Prison Song) 선지자 2014.03.26
70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31. 한부선의 교회와 국가 분리개념과 양심의 자유 선지자 2014.03.26
69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32. 미국에서 싸운 한부선의 “태양신과의 전쟁” 선지자 2014.03.26
68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33. 해방과 한부선의 귀국 선지자 2014.03.26
67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34. 경남노회와 교회개혁운동 선지자 2014.03.26
66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35. 한부선의 신학교육과 교회개혁 운동 선지자 2014.03.26
65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36. 한부선과 한국 장로교회의 지로(指路) 선지자 2014.03.26
64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37. 박형룡과 고려파 선지자 2014.03.26
63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38. 경남노회 분규와 고려파의 분열 선지자 2014.03.26
62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39. 한부선과 한국교회 개혁운동 선지자 2014.03.26
61 (한부선) 한부선 선교사 평전 - 40. 한국 장로교회의 분열과 합동 그리고 환원 선지자 201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