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람을 힘입어 죄 사함 ː 이 사람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

 

본문: (13:38-39) 그러므로 형제들아 너희가 알 것은 이 사람을 힘입어 죄 사함을 너희에게 전하는 이것이며 *또 모세의 율법으로 너희가 의롭다 하심을 얻지 못하던 모든 일에도 이 사람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을 얻는 이것이라

 

(서론)

 

이 사람을 힘입어 죄 사함을 너희에게 전하는 이것이며, 이 사람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을 얻는 이것이라하셨다.

 

이 사람은 무엇인가?

 

(1:14)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하셨다. 그러므로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신 예수 그리스도가 이 사람이다.

 

(2:5-8) 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하셨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예수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 곧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신 이 사람이다.

 

그러면 이 사람을 힘입어 죄 사함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 사람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은 무엇인가?

 

이 글에서 조명하려는 핵심은 은혜와 믿음에 대한 것이다.

 

우리들이 은혜와 믿음에 대한 오해가 크다. 그리하여 이 사람(예수 그리스도)을 힘입어 죄 사함을 받음을 믿는 것을 믿음이라 여기고, 막상 이 사람(예수 그리스도)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이 믿음인데 도리어 믿음을 상실(喪失)하고 있다. 그래서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죄 사함을 받은 것만 보유(保有)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함을 얻는 것은 상실하고 있다.

 

그렇기에 이 사람(예수 그리스도)을 힘입어 죄 사함을 받은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영원한 속죄를 단번에 받았기에 우리가 더 이상 죄 사함을 받을 이유가 없다.

 

그러나 이 사람(예수 그리스도)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죄 사함의 구속을 힘입어 믿음 곧 새 사람으로 죄 짓지 아니하는 자로 살고, 하나님의 뜻대로 하나님께 순종하는 자로 살고, 영의 생각으로 하나님과 화목하는 자로 사는 자에게 하나님의 성령 곧 보혜사의 임하심과 주의 성령의 임하심이다. 그리하여 벧후1:1보배로운 믿음이라 하셨다. 그러므로 우리가 더욱 믿음에 힘써야 한다.

 

그래서 약2:14-26이 사람(예수 그리스도)을 힘입어 죄 사함을 받은 것만 믿는 것에 대하여 행함이 없는 죽은 믿음하셨다. 그리고 이 사람(예수 그리스도)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에 대하여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이라 하셨다. 즉 행함이 있는 산 믿음이다.


선지자선교회


- 본 자료에 대한 전문은 홈폐이지> 연구> 성경연구>에 게재하였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2024.06.16-5013 김반석 2024.03.04
공지 ‘최근 글’의 수와 게시판 전체의 글의 수가 일치 되지 않는 까닭 김반석 2022.10.05
공지 ‘최근 글'에 대한 안내 선지자 2014.05.08
3753 종교다원주의는 이종교적이다 김반석 2023.04.21
3752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103살의 고령이라 그런가 김반석 2023.04.21
3751 율법은 의(義)가 안 되고 믿음이 의(義)가 된다 김반석 2023.04.20
3750 신앙의 기준을 어디에 김반석 2023.04.20
3749 찬송가 반주 악기에 대하여 김반석 2023.04.20
3748 율법의 행위 ː 믿음으로 의롭다 함 김반석 2023.04.19
3747 선교와 전도의 개념 김반석 2023.04.19
3746 진리로 왕 노릇 김반석 2023.04.19
3745 무엇이 의(義)인가? 왜 의(義)인가? 김반석 2023.04.18
3744 표적은 무엇이며, 실상은 무엇인가 김반석 2023.04.18
3743 여덟 명, 십 인, 두 세 사람 김반석 2023.04.18
3742 신학과 성경 김반석 2023.04.17
3741 구원은 ‘중생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이다 김반석 2023.04.16
3740 신학은 좋다하고 성경은 싫다한다 김반석 2023.04.16
3739 믿음과 의롭다 함의 관계 김반석 2023.04.15
3738 성도의 물질관 김반석 2023.04.15
3737 아들도 모르고 오직 아버지만 아시느니라 김반석 2023.04.15
3736 부활절의 실상 김반석 2023.04.14
3735 피와 죄 사함의 관계 김반석 2023.04.14
3734 지옥은 무엇인가 김반석 2023.04.14